
최지예 텐아시아 기자가 영화 이야기를 전합니다. 현장 속 생생한 취재를 통해 영화의 면면을 분석하고, 날카로운 시각이 담긴 글을 재미있게 씁니다.
한국 영화, 부진의 늪에 빠졌다. 미국 블록보스터에 치이나 싶었는데, 일본 애니메이션에도 맥을 못 춘다. 코로나19 관련 방역 지침들이 완화되면서 오랜 시간 얼어붙었던 극장가에 조금씩 활기가 도는 듯 했다. 이에 따라 한국 영화 시장 역시 기지개를 켜면서 본격적으로 활성화가 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2023년 새해 이후 스크린에 걸리는 한국 영화들이 하나같이 기를 못 쓰며 체면을 구기고 있다.
1월 18일 나란히 개봉된 계묘년 첫 한국 영화 '교섭'(감독 임순례, 누적 관객수 172만)과 '유령'(감독 이해영, 누적 관객수 66만)은 손익분기점에 한참 못 미치는 스코어로 불명예 퇴장했다. '교섭'은 황정민과 현빈, '유령'은 이하늬와 박소담, 설경구 등 국내 내로라하는 배우를 내세워 홍보에 열을 올렸지만, 본전 구경도 못 한 채 스크린에서 내려와 IP TV로 향하는 신세를 면치 못했다.
ADVERTISEMENT
이후 2월 22일 '카운트'(감독 권혁재)가 개봉됐지만, 일일 박스오피스 톱5에도 들지 못하고 고전 중이다. 3월 1일 나란히 극장에 걸린 '대외비'(감독 이원태)와 '멍뭉이'(감독 김주환) 역시 개봉 초반임에도 분위기가 좋지 못하다. '대외비'의 경우 배우 조진웅과 이성민, 김무열 등 굵직한 존재감의 배우가 참여했지만, 기존의 범죄드라마와 차별점 없는 뻔한 서사로 지적받고 있다.

다만, 상기 내용은 전 세계 영화시장이 맞닥뜨린 문제일 뿐 한국 영화 부진의 이유가 될 수 없다. 사람들은 여전히 '아바타: 물의 길'(감독 제임스 카메론)을 보기 위해 극장에서 3D 안경 쓰는 것을 마다하지 않고, '더 퍼스트 슬램덩크'(감독 이노우에 다케히코) N차 관람을 하러 극장을 찾는다. 심지어 25년 전 개봉한 '타이타닉'(감독 제임스 카메론)을 다시 보기 위해서도 영화관에 간다. 어찌 됐든 끌리는 게 있으면, 재미와 감동이 있다면 본다는 얘기다.
ADVERTISEMENT
한국 영화는 코로나19로 숨죽였던 지난 2년간 발전하지 못했다. 나아가지 못했다는 것은 퇴보했다는 뜻이다. 예전의 관성대로 영화를 만드니 트렌드에도 뒤떨어지고, 제대로 된 실험과 도전의 흔적도 없다. 팬데믹 기간 OTT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접할 기회가 많아지고, 해외 작품의 접근성도 높아졌다. 관객들의 눈은 높아졌는데, 한국 영화는 답보하고 있다.
한 영화 관계자는 텐아시아에 "영화는 특별히 티켓값을 지불하고 보는 콘텐츠니, 좋지 않은 평가와 소문이 나면 관객들은 바로 관람을 포기한다"며 "OTT를 통해 눈이 높아진 관객들은 영화 자체의 퀄리티에 더 집중한다. OTT를 통한 대체제가 많기 때문에 영화의 작품성이나 완성도를 더 따지는 흐름이 생긴 것 같다"고 코멘트 했다.
ADVERTISEMENT
최지예 텐아시아 기자 wisdomart@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