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2 '달뜨강', 중국어 간체자 사용 의혹
거센 논란에 해명 요구 쇄도
거센 논란에 해명 요구 쇄도
KBS 2TV 월화드라마 '달이 뜨는 강'(이하 '달뜨강')이 때아닌 동북공정 논란에 휩싸였다. 중국어 간체 사용에 대한 의혹이 불거지면서 해명 요구가 쏟아진 것. 이로 인해 주연 배우 교체 이후 또 다른 위기에 봉착했다.
문제의 장면은 지난달 30일 방영된 '달뜨강' 14회차에서 비롯됐다. 극 중 해모용(최유화 분)이 남긴 편지를 고건이 읽는 모습이다. 일각에서는 문서 내 글씨가 중국 본토에서 사용되는 간체자라고 지적했다. 더불어 동북공정으로 시끄러운 지금, 공영방송이 시청자를 우롱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난도 적지 않았다.
간체자는 중국에서 본래의 복잡한 한자 점획을 간단하게 변형시켜 만든 문자로, 1946년에 한자의 자획을 간략화하기 시작했다. 이후 1956년에는 한자 간화 방안이 정식 공포됐다.
앞서 주연 배우였던 지수가 학폭(학교 폭력) 논란으로 하차했다. 이에 대체 배우로 나인우가 투입되면서 위기를 극복하고 유종의 미를 거둘 것으로 보였다. 이런 가운데, '달뜨강'이 논란을 해결하고 종영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을까.
이와 관련해 '달뜨강' 측은 7일 텐아시아에 "해당 논란을 인지하고 있다"면서 "한자 고증이 잘못된 것 맞다. 재방송부터 다시 편집 후 VOD도 수정하겠다"고 전했다.
박창기 기자 spear@tenasia.co.kr
문제의 장면은 지난달 30일 방영된 '달뜨강' 14회차에서 비롯됐다. 극 중 해모용(최유화 분)이 남긴 편지를 고건이 읽는 모습이다. 일각에서는 문서 내 글씨가 중국 본토에서 사용되는 간체자라고 지적했다. 더불어 동북공정으로 시끄러운 지금, 공영방송이 시청자를 우롱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난도 적지 않았다.
간체자는 중국에서 본래의 복잡한 한자 점획을 간단하게 변형시켜 만든 문자로, 1946년에 한자의 자획을 간략화하기 시작했다. 이후 1956년에는 한자 간화 방안이 정식 공포됐다.
앞서 주연 배우였던 지수가 학폭(학교 폭력) 논란으로 하차했다. 이에 대체 배우로 나인우가 투입되면서 위기를 극복하고 유종의 미를 거둘 것으로 보였다. 이런 가운데, '달뜨강'이 논란을 해결하고 종영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을까.
이와 관련해 '달뜨강' 측은 7일 텐아시아에 "해당 논란을 인지하고 있다"면서 "한자 고증이 잘못된 것 맞다. 재방송부터 다시 편집 후 VOD도 수정하겠다"고 전했다.
박창기 기자 spear@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