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웨덴과 스위스에서 공학 공부를 하며 가끔 한국에서 음반을 내던 루시드폴이 공학도의 삶을 포기하고 한국에 정착한 뒤 발매한 4집 앨범의 제목이다. ‘불쌍한 사람들’이라니. 그에게 앨범 얘기보다 먼저 동시대의 한국은 어떤 의미였는지 물어본 건 그래서다. 3집 에 수록된 ‘사람이었네’에서 노동력을 착취당하는 중동 소녀에 대해 쓰고 디지털 싱글 ‘물고기 마음’에서 ‘당신의 목소리’가 되겠노라 말했던 그에게 과연 누가, 그리고 왜 불쌍하게 느껴졌던 것일까. 그리고 그것은 루시드폴이라는 뮤지션의 음악적 방법론 안에서 어떤 방식으로 표현됐을까.

2009년 초에 한국에 돌아와 거의 온전히 1년을 보냈다. 직접 숨 쉬며 느낀 동시대의 한국은 어떤 느낌이었나.
루시드폴: 민감한 얘기일 수 있는데 일단 자본주의적이라는 생각이 먼저 든다. 어떤 이데올로기를 얘기하려는 건 아니고 뭔가 옛것이나 비효율적인 것을 효율적으로 바꿔가는 게 당연시되는 풍토가 된 것 같다. 그저 똑같이 생긴 아파트들이 쭉쭉 올라가고 철거되고 재개발되는 지역은 늘어가고. 2009년의 이야기는 아니지만 새만금이나 천성산 터널 문제를 들으면서도 너무 가슴이 아팠는데 4대강 사업도 비슷한 느낌이다.

“여러 방식이 있다면 그 중 옛날 방식이 더 좋지 않을까”
루시드폴│“내 목소리 때문에 고민이 많다” -1
루시드폴│“내 목소리 때문에 고민이 많다” -1
말하자면 경제적 효율성이 사회적 가치를 대체하는 것에 대한 아쉬움이겠다.
루시드폴: 굳이 자본주의가 아니더라도 사라져 가는 것에 대한 아쉬움이 크다. 예를 들어 경희궁을 보라. 경복궁은 과거의 40% 정도밖에 안 남아있는데 경희궁은 완전히 제로다. 정말 아무 것도 없다. 그런데 아이러니한 건 경희궁이 복원되기도 전에 ‘경희궁의 아침’이라는 초고층 오피스텔이 들어서는 거다. 그 동네 갔을 때 끔찍하더라. 광화문 광장도 너무너무 이해가 안 가는 게 그게 덩치가 큰 국가적 프로젝트 아닌가. 그렇다면 도로를 지하에 내고 그 위에 진짜 광장을 만들고 옛 것을 복원했으면 어땠을까 싶다.

조금 뜬금없는 얘기지만 남대문이 불탔을 땐 어땠나.
루시드폴: 그땐 솔직히 말해 별 느낌 없었다. 한국에 없어서 피부에 와 닿지 않으니까. 그런데 요즘 지나다니다 보면 환자를 보는 거 같다. 붕대를 감고 병들어 있는 모습? 뭔가 우리나라 동시대의 단면을 보는 거 같다.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떠나서 기본적으로 옛 것에 대한 감수성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루시드폴: 꼭 유물이나 그런 게 아니더라도 그렇다. 예를 들어 내가 정말 못 버리던 것 중 하나가 MD 플레이어다. 1999년에 용산에 갔는데 그게 최고의 디지털 매체였다. 12개월 할부로 사서 CD에 있는 음악을 넣어 다녔는데 음질도 좋아서 되게 좋아했다. 그래서 버리기 힘들더라. 고장 나서 용산 어디에 맡겼는데 못 찾았다. 게임도 옛날 게임, 가령 같은 거 찾아본다. 퇴행적이라 그런 건지도 모르겠다. (웃음) 여러 방식이 있다면 그 중 옛날 방식이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하는 편이다. 악기 같은 것도 예전에 만들어진 악기가 지금까지 전승되는 건 디지털 악기로 대체할 수 없는 뭔가가 있어서는 아닐까.

자연스레 음악 얘기로 넘어가게 되는데, 이번 4집을 들으면서 루시드폴이란 뮤지션은 어쿠스틱 기타라는 악기의 소리를 좋아하는 게 아닌가 싶었다. 단순히 최소 편성을 위해서가 아니라.
루시드폴: 나는 스스로 내 취향에 대한 인식을 못하는 사람인데 어쿠스틱 악기를 좋아하더라. 악기 자체의 음에 매료되는 부분이 있다. 그래서 이번에도 베이스도 콘트라베이스로 했고. 모든 악기를 아날로그로 편성하는 게 로망이었는데 일렉트릭 피아노가 한 곡 정도 들어갔다. 그래도 일렉트릭 악기지, 일렉트로닉 악기는 아니니까. 방금 어쿠스틱 기타 얘기를 했지만 통에서의 울림이 좋다. 심지어는 일렉트릭 기타를 쓸 때도 할로 바디(통기타처럼 안에 울림통이 있는 일렉트릭 기타 모델)가 있는 걸 쓴다. 내추럴한 소리에 대한 욕심이 있다.

“나는 내 목소리를 되게 싫어하는 편이다”
루시드폴│“내 목소리 때문에 고민이 많다” -1
루시드폴│“내 목소리 때문에 고민이 많다” -1
루시드폴│“내 목소리 때문에 고민이 많다” -1
루시드폴│“내 목소리 때문에 고민이 많다” -1
실제로 이번 음반에서도 어쿠스틱 기타나 현악 등 악기 자체의 소리에 집중하면서 굉장히 명료해진 느낌이다. 단순한 엔지니어링의 성과인지, 지향점이 있었는지 궁금하다.
루시드폴: 정교하게 모든 것을 다 의도하는 뮤지션도 있겠지만 내 경우엔 ‘그냥 어떤 결과가 나올지 볼까? 이렇게 시도하니 좋네?’ 할 때도 많다. 과연 편곡이란 것이 무엇일까. 예전에 내가 생각했던 편곡이란 모든 요소가 매체에 기록되어 모든 연주인들이 보고 연주를 할 수 있는 거였다. 하지만 지금 내가 생각하는 음악적 결과물이란 의도된 것을 기반으로 한 우연의 산물인 거 같다.

이번엔 특히 현악 편곡이 돋보였는데.
루시드폴: ‘레미제라블 Part 1’의 경우 코드로 노래를 만들고서 좀 더 살릴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현악 4중주를 넣을까 생각했다. 딱 거기까지만 내 편곡이었다. 현악 편곡자를 섭외해서 부탁하고 별다른 피드백 없이 결과물이 나왔는데 편곡이 좋더라. 그리고 녹음도 잘 됐고.

‘고등어’의 편곡도 궁금하다. 현악 편성이지만 버라이어티하기보다는 미니멀한 느낌이다.
루시드폴: 일단 현악을 쓰긴 했는데 목소리가 안 들리더라. 내 목소리의 경우 유행하는 말로 엣지가 없다. 윤곽이 뚜렷하지 않아서 귀에 잘 안 들린다. 그래서 목소리가 잘 들리게 하는 게 내 믹싱의 키다. 그걸 신경 쓰지 않으면 가사 전달이 안 되니까. 사실 현악기를 쓰겠다고 할 때 내 목소리가 가려질 거라 말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런데 정말 ‘고등어’는 첫 믹싱 때 목소리가 안 들려서 목소리 파트를 높이고 현악 파트를 줄였다. 그래야 겨우 목소리가 들렸다.

엣지가 없다고 했지만 당신의 목소리는 음악 스타일 안에서 소박하게 묻어나오는 당신만의 스타일로 느껴진다. 그게 의도하지 않은 결과일지도 모르겠지만.
루시드폴: 나는 내 목소리를 되게 싫어하는 편이다. 분명 어떤 장점이, 다른 이가 못 가진 게 있겠지만 그만큼 핸디캡도 크다. 어쨌든 극단적인 목소리다.

그 핸디캡이 아니라면 현재 음악 스타일보다 좀 더 화려한 음악을 시도할 욕심도 있나.
루시드폴: 글쎄? 시도하면 재밌긴 하겠지. 빅밴드 같은 거. 그런데 꼭 그렇게 하고 싶다는 욕심이 있다기보다는 목소리에 엣지가 있으면 다 될 텐데 싶은 아쉬움이 더 크다. 가령 사물놀이를 도입한다고 해서 ‘깨갱깨갱’ 거리면 목소리가 전혀 안 들릴 거 아닌가. 정말 뭔가 하고 싶다면 나는 그에 따른 목소리 믹싱의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그런 걸 많이 느낀다.

그렇다면 루시드폴 음악의 기본적 출발점을 목소리라고 보면 될까.
루시드폴: 그러려고 하는데 잘 안 된다. 내가 노래를 잘 못하지만 그나마 잘 소화할 수 있는 음역이 있지 않나. 그 음역대의 곡을 불러야 나도 기분이 좋고 듣는 사람도 좋고, 그렇지 않으면 부르다 ‘삑사리’날까봐 땀나고 걱정되고. 그런 걸 알면서도 고민을 하게 된다. 그래서 라이브 할 때 힘들고 안 부르게 되는 곡도 나오고. 그러다 보니 3집 때는 (이)적이 형한테도 곡을 줬는데 이번 앨범에서도 그것 때문에 고민이 많았다. ‘레미제라블 part1’을 다른 사람에게 줘야 하나. 결국 내가 부르긴 했지만.

글. 위근우 eight@10asia.co.kr
사진. 이진혁 eleven@10asia.co.kr
편집. 이지혜 seven@10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