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이승환이 윤석열 대통령을 비판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연예인이라는 직업 특성상 대중에게 큰 영향력을 끼치는 만큼, 이들이 '정치적 발언'을 할 때마다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연예인 또한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내비칠 수 있다는 의견과 일반인보다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나뉘었다.
이승환은 지난해 12월 30일 자신의 SNS에 윤 대통령이 후보 시절 특검에 대해 발언한 내용을 게재했다. 공개된 사진 속 윤 대통령은 "특검을 왜 거부합니까. 죄지었으니까 거부하는 겁니다"고 발언했다.
이승환은 해당 게시물과 함께 '#공정과 상식'이라는 해시태그를 걸었다. 공정과 상식은 윤 대통령이 그간 주장해온 가장 첫 번째 원칙이기도 하다.
이승환은 대통령실이 쌍특검(김건희·대장동 특검) 관련 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한 것에 대해 비판한 것으로 보인다. 국회는 지난해 12월 28일 쌍특검법을 통과시킨 바 있다. 이에 대통령실은 거부권을 행사하겠다고 알렸다. 대통령실과 여당은 당시 "국민의 눈과 귀를 가리는 것"이라며 거부권 행사 이유를 설명했다. 연예인의 정치적 발언은 매번 관심을 받는다. 그 발언이 개인의 의견이더라도 대중에게 큰 영향력을 끼치기 때문이다. 이에 같은 의견의 누리꾼들이라면 동의하고, 반대 의견이라면 서슬 퍼렇게 비판한다.
지난해 8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당시 자우림 김윤아의 발언 또한 마찬가지다. 그는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 오염수 해양 방류에 대해 비판했다. 김윤아는 자신의 SNS를 통해 "오늘 같은 날 지옥에 대해 생각한다"라며 공개적으로 의견을 드러냈다.
'디스토피아'까지 동원한 감정적 언어에 대중은 불안감을 느꼈다. 정확하지 않은 정보로 인해 '대중 선동' 가능성이 있다는 말이다. 물론, 연예인 역시 정치 성향을 드러낼 수 있다. 다만, 김윤아의 경우 누군가의 생계가 걸려있는 문제에 대한 감정적 언어 사용은 그 자체로 또 다른 폭력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비슷한 사례로 2008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광우병 논란'이 있다. 당시 광우병 시위에서 연예인들은 MBC, KBS와 함께 국민 선동에 앞장섰다. 서옥식 대한언론인회 부회장이 지난 4월 발표한 광우병 연예인 40명 명단도 있다. 15년이 지났지만, 미국산 소고기를 먹고 광우병에 걸렸다는 소식은 전해지지 않았다. 106일간의 광우병 시위로 3조7513억원의 사회·경제적 손실, 국민 분열을 일으킨 사건의 결과다.
정치적 소신 발언을 하는 연예인은 어느 나라에든 있다. 하지만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연예인을 통해 확산되는 건 경계할 일이다. 비과학적 비유도 공포 심리만 부풀린다. 득과 실이 분명한 연예인의 정치적 발언, 자유지만 책임도 크다.
윤준호 텐아시아 기자 delo410@tenasia.co.kr
이승환은 지난해 12월 30일 자신의 SNS에 윤 대통령이 후보 시절 특검에 대해 발언한 내용을 게재했다. 공개된 사진 속 윤 대통령은 "특검을 왜 거부합니까. 죄지었으니까 거부하는 겁니다"고 발언했다.
이승환은 해당 게시물과 함께 '#공정과 상식'이라는 해시태그를 걸었다. 공정과 상식은 윤 대통령이 그간 주장해온 가장 첫 번째 원칙이기도 하다.
이승환은 대통령실이 쌍특검(김건희·대장동 특검) 관련 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한 것에 대해 비판한 것으로 보인다. 국회는 지난해 12월 28일 쌍특검법을 통과시킨 바 있다. 이에 대통령실은 거부권을 행사하겠다고 알렸다. 대통령실과 여당은 당시 "국민의 눈과 귀를 가리는 것"이라며 거부권 행사 이유를 설명했다. 연예인의 정치적 발언은 매번 관심을 받는다. 그 발언이 개인의 의견이더라도 대중에게 큰 영향력을 끼치기 때문이다. 이에 같은 의견의 누리꾼들이라면 동의하고, 반대 의견이라면 서슬 퍼렇게 비판한다.
지난해 8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당시 자우림 김윤아의 발언 또한 마찬가지다. 그는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 오염수 해양 방류에 대해 비판했다. 김윤아는 자신의 SNS를 통해 "오늘 같은 날 지옥에 대해 생각한다"라며 공개적으로 의견을 드러냈다.
'디스토피아'까지 동원한 감정적 언어에 대중은 불안감을 느꼈다. 정확하지 않은 정보로 인해 '대중 선동' 가능성이 있다는 말이다. 물론, 연예인 역시 정치 성향을 드러낼 수 있다. 다만, 김윤아의 경우 누군가의 생계가 걸려있는 문제에 대한 감정적 언어 사용은 그 자체로 또 다른 폭력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비슷한 사례로 2008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광우병 논란'이 있다. 당시 광우병 시위에서 연예인들은 MBC, KBS와 함께 국민 선동에 앞장섰다. 서옥식 대한언론인회 부회장이 지난 4월 발표한 광우병 연예인 40명 명단도 있다. 15년이 지났지만, 미국산 소고기를 먹고 광우병에 걸렸다는 소식은 전해지지 않았다. 106일간의 광우병 시위로 3조7513억원의 사회·경제적 손실, 국민 분열을 일으킨 사건의 결과다.
정치적 소신 발언을 하는 연예인은 어느 나라에든 있다. 하지만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연예인을 통해 확산되는 건 경계할 일이다. 비과학적 비유도 공포 심리만 부풀린다. 득과 실이 분명한 연예인의 정치적 발언, 자유지만 책임도 크다.
윤준호 텐아시아 기자 delo410@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