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지호│스릴을 즐기는 플레이어
최지호│스릴을 즐기는 플레이어
충무로의 오래된 뒷골목 어딘가에 최지호가 있었다. 그는 계단에 앉아 촬영에 필요한 의상을 기다리며 아이폰을 만지작거렸다. 전화를 했고, 주변을 두리번거렸다. 사소한 행동이 하나의 화보처럼 보이고, 그에 걸맞은 까칠함도 가졌을 것 같은 사람. 대중에게 모델이라는 직업은 언제나 그런 존재로 인식되었다. 그래서 의상을 갈아입을 곳이 여의치 않았던 뒷골목, “그냥 여기서 하자”며 좁다랗고 후미진 건물 안으로 쏙 들어가 버린 최지호는 낯설었다. 하지만 그는 예전에도 그렇게 자신이 가진 외형을 지우고 어수룩한 모습에 진심을 담아내 왔다. 계란말이를 제대로 말지 못해 쩔쩔매면서도 매일 친구의 아침을 챙기는 보디가드()였고, 남들이 다 웃을지언정 예능프로그램에서 진지하게 김광석의 ‘사랑했지만’을 열창하는 남자였다. 그리고 갑작스러운 요청에 “술 먹고 자주 부르던 노래”라 선택했다고 말하는 최지호는, 솔직하고 명쾌하다.

최지호를 이끄는 사고의 유연성과 객관화
최지호│스릴을 즐기는 플레이어
최지호│스릴을 즐기는 플레이어
“어떤 선택의 단계에 왔을 때, 잘 재지 않는 편이에요. 특별한 기준도 없어요. 그냥 하고 싶으면 하는거에요.” Simple is best. 그래서 < GQ >를 보다 “주지훈, 여욱환이 멋져보여서” 중학교때부터 했던 태권도를 그만두고, 제대 바로 다음 날 모델아카데미에 등록했다. “멋 부리고 서있으면 되는 거라던 감독의 말에” MBC (이하 )을 통해 TV 속으로 불쑥 들어왔고, “사석에서 우연히 만난 성재준 연출로부터 오디션 제의를 받아” 초연멤버들이 모두 모인 뮤지컬 에 겁 없이 덤볐다.

남들에 비해 쉽게 기회를 얻은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그 기회를 놓치지 않고 계속 이어갈 수 있었던 것은 그만이 가진 사고의 유연성과 빠른 순발력, 그리고 객관화 덕분이었다. “ 이후 연기를 안하려고 했거든요. 그러다 제의를 받았는데 친구들이랑 하는 작업이라 재밌겠다, 라는 생각으로 시작했어요. 그런데 하다 보니 이건 뭐 발성도 안 되고, 국어책 읽고 있고. 바로 연기 트레이닝을 받았죠.” 자신의 부족함을 깨닫는 순간, 스스로를 탓하기 보다는 앞을 향해 전진할 또 다른 자양분을 찾아낸 셈이다. 그래서 “잘한다는 말보다는 왜 그렇게 못해, 라는 말을 들어야 속에서 뭔가가 끓어오른다”는 최지호와 뮤지컬 의 조합은 그 자체로 하나의 스릴 넘치는 게임이 된다.

“접근은 단순하게, 부딪힘은 치열하게”
최지호│스릴을 즐기는 플레이어
최지호│스릴을 즐기는 플레이어
190cm의 훤칠한 키와 수트를 멀끔하게 소화해낼 수 있는 탄탄한 몸. 최지호는 모든 이의 눈길을 사로잡는 ‘그’를 위한 외형적 필요충분조건을 가졌다. 하지만 동시에 “1장부터 마지막 장까지 디테일하게 분석”하는 의 마니아들과 디테일한 연기가 강점인 배우들 사이에도 서있다. 매번 뮤지컬 관계자와 팬들로부터 노래의 취약성을 지적받는 그는 8명의 배우 중 노래를 가장 잘하는 최수형과 한 팀도 되었다. “인정할 건 인정하자고 해버렸어요. 열등감으로 접근하면 5~6개월씩 함께 못 가요.” 그런 마음가짐 때문인지 제법 불리한 출발선에서 “눈빛, 손짓 하나까지도 계산하는” 다른 배우들에 비해 “그저 물 흐르는 대로” 감정을 담담하게 무대에 펼쳐놓는다. 하지만 최지호만의 ‘그’는 관습을 벗어난 새로움으로 무대를 잔뜩 긴장시키며 에 정확한 자기 이름을 새기는 중이다. 운동선수에서 화려한 런웨이의 모델로, 다시 연기자로 움직인 그가 어느 순간 외줄타기에 도전한다고 해도 놀랄일은 없을 것 같다. “접근은 단순하게 하되 부딪히는 건 치열하게, 그게 좋더라구요.” Simple is best. 역시다.

글. 장경진 three@
사진. 채기원 ten@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