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이'의 연상호 감독. / 사진제공=넷플릭스
'정이'의 연상호 감독. / 사진제공=넷플릭스
연상호 감독이 보편적이고 익숙한 서사의 SF물 '정이'를 만들고 싶었다고 밝혔다.

18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넷플릭스 영화 '정이'의 연상호 감독을 만났다. 연상호 감독은 이번 영화를 연출하고 각본을 썼다. 주인공은 전투 A.I. 개발을 위한 뇌복제 대상 윤정이 역의 김현주, 전투 A.I. 개발을 성공시켜야 하는 연구소장 상훈 역의 류경수, 그리고 뇌복제 및 A.I.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소 팀장이자 인간 윤정이의 딸 윤서현 역의 고(故) 강수연이다.

연상호 감독은 "'정이'가 정식 공개되기 전, 집에 장인어른이 오셨는데 궁금해하시길래 보여드렸더니 '저건 좀 너무 허무맹랑한 이야기가 아니냐'고 하시더라. 좀비도 버티셨던 분인데 갑자기 로봇 나온 거다"며 웃었다. 이어 "아무래도 한국에선 SF장르가 낯설다. 영화를 만든 저한테도 한국말을 하는 인물들이 나오 SF물은 낯선 면이 있다. 그러니 일반 대중에겐 더 낯설 수 있다고 생각한다. 만약 그 낯선 장르의 SF를, 우리 장인어른 같은 분들도 편안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게 뭘까 생각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 영화가 보편적이고 어렵지 않은 주제, SF라는 걸 빼면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이야기를 만들어보자 싶었다"고 전했다.

연상호 감독은 "보편적이고 자연스러운 서사라고 해서 주제의식이 얕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정이'에서 윤서현에게는 살아있는 엄마가 존재한다. 병원에 식물인간 상태로 누워있긴 하지만 늙어가는 엄마가 존재하기 때문에 복제 로봇들을 보고 진짜 엄마라고 착각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생각한다.전쟁 영웅 윤정이, 허무하게 막을 내려가는 전쟁, 곧 사라지게 될 운명인 딸, 여러 상황 속에서 딸은 엄마를 닮은 AI로봇에게 명분을 없애주고 싶은 마음이 들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그 감정은 일반적으로 상상하기 힘든 감정일 거다. SF라는 배경 안에서만 존재할 수 있는 게 아닐까 한다"고 이야기했다. 이어 "그런 상상은 해볼 수 있을 것 같다. 우리 엄마가 나 아니면 어떻게 살았을가. 우리 어머니도 마을에서 똑똑하자고 소문이 자자했는데 날 키우느라고... 그런 기회가 있으면 어떨까 상상해보지만 현실에서 이뤄지진 않는다. 그걸 SF를 통해 상상해보는 거다. 보편적 서사를 갖고 있지만 주제는 가볍지만은 않다. 편안하게 보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으면서도 곱씹을 수 있는 작품을 해보고 싶다는 게 제 기획 의도"라고 설명했다.

원래 SF물을 좋아했느냐는 물음에 연상호 감독은 "어렸을 때 휴먼 SF 단편선이라는 책이 있었다. 초등 때 그 책을 보고 대작가들의 작품을 접했다. 그 중에 제가 읽었던 건 필립케이딕의 '사기꾼 로봇'이라는 단편이었다. 어떤 사람이 외계인 폭탄이라고 의심 받으며 도망을 다니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진짜 외계인 폭탄이었던 거다. 자기 정체성에 관련된 이야기를 담은 거다. 저는 그런 SF를 좋아했던 편이다. 이런 주제가 저희 장인어른 같이 SF가 낯선 분들에게 편하게 전달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고 답했다.

'정이'는 기후변화로 폐허가 된 지구를 벗어나 이주한 쉘터에서 발생한 전쟁을 끝내기 위해 전설적인 용병 '정이'의 뇌를 복제, 최고의 전투 A.I.를 개발하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SF 영화. 오는 20일 공개된다.

김지원 텐아시아 기자 bella@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