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원│직구를 날리는 청춘
아직은 주원보다 ‘구마준’이 더 익숙하다. “세 가지가 있어요. 마준이, 태조, 그리고 제가 탁구를 부를 때 쓰는 ‘그지 새끼’. (웃음)” 당연한 일이다. 이름도 얼굴도 생소한 이 스물넷의 신인배우가 KBS 의 주연으로 캐스팅 될 줄, 그리고 역시 신인인 윤시윤이 주인공 김탁구 역을 맡아 이야기를 이끌어간 이 작품이 시청률 50%를 넘나드는 히트작이 될 줄 누가 알았을까.
‘아무 이유 없이 당당해지라’라는 말을 되새기며
주원│직구를 날리는 청춘
그러나 어쩌면 처음부터 주원은 구마준과의 만남을 누구보다 자연스럽게 받아들인 이였는지도 모른다. “시놉시스와 대본을 맨 처음 봤을 때 ‘악역도 악역이 아니다’라고 느꼈어요. 서인숙(전인화 분)과 한승재(정성모 분)는 이렇게 불쌍한데 악역이라 할 수 있을까 생각했고, 마준이 얘기 역시 얘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까 싶어 너무 마음이 아팠어요.” 욕망으로 망가져 가는 어머니, 자신에게 멀기만 한 아버지, 마음을 주지 않는 연인 때문에 고립되고 비뚤어진 나머지 탁구를 괴롭히고 함정에 빠뜨리는 마준의 캐릭터는 첫 드라마 도전에서 결코 만만치 않은 상대였지만 강은경 작가의 “할 수 있겠어?”라는 물음에 그는 주저 없이 “할 수 있어요”라고 답했다.
“새로운 게 닥쳤을 때 겁먹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요. 그게 잘 되든 안 되든 어차피 부딪혀야 되는 거니까. 머리에서 ‘잘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순간 자신감이 없어지면 할 수 있는 것도 못 하게 되잖아요.” 배우 문소리가 방송에서 말한 ‘아무 이유 없이 당당해지라’는 말에 공감해 휴대폰 바탕화면에 그 문구를 적어놓고 잊지 않으려 애썼다던 주원이지만 그가 처음부터 이렇게 당찬 성격이었던 것은 아니다. 중학생 시절, 남보다 훨씬 커다란 키에도 소심하고 내성적이었던 그를 걱정한 부모님이 연극반 가입을 권유했고 의 엉뚱한 경찰 역을 맡아 처음 축제 무대에 서던 날 주원은 진로를 결정했다. “제가 그냥 말할 땐 한 명도 안 웃던 애들이, 대사를 하니까 웃는 거예요. 아, 이게 재밌나보다. 그럼 더 열심히 해야지! 하는 생각이 든 거죠.”
“20대의 열정을 보여줄 수 있는 캐릭터를 하고 싶어요”
주원│직구를 날리는 청춘
주원│직구를 날리는 청춘
대학에 들어가 뮤지컬을 시작하고, 지난 해 에서 김무열의 뒤를 이어 멜키어 역을 따내기까지 주원을 움직인 것도 지칠 줄 모르는 열정이었다. 배역을 따낼 수 있다는 가능성도 보이지 않는 상황이었지만 그는 김무열의 공연을 80여 회나 챙겨 보며 모니터링을 했다. “무열이 형이 이렇게 했는데 이건 괜찮은 것 같다. 나도 한 번 생각해보자. 저건 좀 다르게 해 보자. 그런 내용을 매일 노트에 적어놓고 집에 가서 연습했어요. 그 때 또 느꼈죠. 아, 재밌어! (웃음)” 심드렁한 듯 장난기 어린 표정으로 처음 적응하는 드라마 시스템의 어려움도, 지방 합숙과 밤샘이 이어진 촬영 현장에 대해서도 “진짜 재미있었어요!”라는 고백으로 시작하고 마는 낙천적인 성격은 사실 구마준보다 김탁구에 가까워 보인다. “마준이를 연기하고 있으니까 내 안에서 캐릭터를 최대한 정당화시키려고 노력했지만 가끔 얘가 너무 유치하게 굴 때가 있는 거예요. 나쁜 짓 저질러놓고 ‘탁구가 그랬습니다’ 하고 이를 땐 그렇게 말하는 제 자신이 슬펐어요. (웃음) 속으로 ‘마준아, 이건 아닌 거 같다’와 ‘하지만 그럴 수도 있어’ 사이에서 막 고민을 했어요. 하지만 실제 마준이도 그랬겠죠?”
그래서 대본을 파악할 때도, 캐릭터를 연구할 때도, 자신의 이야기를 할 때도 꾸밈없고 직관적인 태도가 가장 인상적인 주원이 앞으로 연기하고 싶은 인물로 “정해 놓진 않았지만 20대의 열정을 보여줄 수 있는 캐릭터”를 지목한 것은 그가 누구보다 자신의 가능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갑작스런 스포트라이트에 겁먹지 않고 보이지 않는 미래 또한 계산하지 않고 앞을 향해 성큼성큼 걸어 나가는 젊음은 스트레이트, 청춘은 역시 직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