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아시아=김하진 기자]
빛과 소금의 박성식(왼쪽부터), 봄여름가을겨울의 김종진, 빛과 소금의 장기호. / 조준원 기자 wizard333@
빛과 소금의 박성식(왼쪽부터), 봄여름가을겨울의 김종진, 빛과 소금의 장기호. / 조준원 기자 wizard333@
“마치 신혼여행 같은 설렘이 느껴졌어요.”

남성듀오 빛과 소금의 박성식이 27일 오후 2시 서울 서교동 더 노라 스테이지 와이(The Nora Stage.y)에서 열린 새 미니음반 ‘리:유니온(Re:union)’의 발매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이 말했다. 빛과 소금의 장기호, 남성듀오 봄여름가을겨울의 김종진과 33년 만에 녹음 스튜디오에서 호흡을 맞춘 소감이다.

이날 정오 각 음악사이트에 공개된 ‘리:유니온’은 김종진과 장기호·박성식이 33년 만에 뭉쳐 완성한 음반이다. 이들은 1986년 고(故) 김현식의 밴드 봄여름가을겨울로 음악 인생을 시작해 한국 대중음악사의 새 역사를 썼다. 지난해 세상을 떠난 봄여름가을겨울의 故 전태관의 1주기에 맞춰 음반을 공개했다.

‘동창회’라는 의미의 ‘Re:union’에는 함께 출발선을 밟고 달리기 시작한 세 사람이 긴 시간이 흐른 뒤 다시 한자리에 모여 자축하는 의미를 담았다. 김종진, 장기호, 박성식이 각자 쓴 세 곡과 봄여름가을겨울과 빛과 소금의 명곡을 다시 녹음한 리메이크까지 총 다섯곡이 담긴다. 신곡은 김종진이 작사·작곡한 타이틀곡 ‘동창회’를 비롯해 장기호의 ‘난 언제나 널’, 박성식의 ‘행복해야 해요’ 등이다. 이어 ‘보고 싶은 친구’ ‘오래된 친구’ 등을 재해석했다.

다시 뭉치게 된 배경을 물으니 박성식은 “지난해 김종진이 봄여름가을겨울의 데뷔 30주년 기념 음반을 발표하고 공연을 열었다. 공연에 게스트로 빛과 소금이 참여했는데, 그때 ‘다시 기회가 되면 뭉쳐야겠다’는 마음을 가졌다”면서 “이후 김종진이 느닷없이 녹음 3주 전에 ‘(음악) 작업 해야한다’고 연락이 왔다. 곡도 써놓지 않은 상황이었는데 벼락같은 호출을 받고 작업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에 김종진은 “사실”이라며 호탕하게 웃었다.

장기호는 “(전)태관이에 대한 생각도 있고, 우리 모두 (김)현식이 형과 (유)재하에게 ‘우리 아직 음악하고 있어’라는 메시지를 주고 싶었던 것 같다”고 덧붙였다. 故 유재하 역시 김현식의 봄여름가을겨울의 초창기 멤버였다.

김종진은 “33년 만에 다시 스튜디오에서 만난 기분은 말로 표현하기 힘든 기분이었다”고 했다. 장기호 역시 “나이를 먹어서 다시 만나니까 젊었을 때는 티격태격하면서 다투기도 했는데 이제는 서로를 위하고 위로하고 이해하는 관계로 바뀐 것 같다. 행복했다”고 덧붙였다.

김하진 기자 hahahajin@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