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9′ 손석희 앵커
16일 손석희 앵커가 컴백했다. 국내에서는 대중적 신뢰도가 높은 그가 지난 5월 JTBC 보도담당 사장으로 취임한 지 4개월 만에 ‘NEWS9′의 단독 앵커로 컴백했다. 이날의 뉴스는 방송 전후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손석희는 존재 자체가 신뢰의 상징이 되는 국내의 몇 안되는 언론인 중 하나다. 정치적 중립성, 즉 균형에 더해 현안을 파고드는 날카로운 질문, 모호한 인터뷰이의 답변을 명확하게 꼬집어내는 언론인으로서의 단단함이 그 근거가 된다.그런 손석희 앵커의 색깔은 ‘NEWS9′에 그대로 반영됐다. 그간의 TV 방송 뉴스와는 달리, ‘NEWS9′이 이원중계나 인사를 직접 스튜디오로 초청해 대담을 나누는 방식 등은 그가 JTBC로 오기 전 진행한 MBC 라디오 ‘시선집중’과 닮아있다. 이런 대담의 방식은 단순히 리포팅으로 전하는 뉴스보다 현안에 대한 보다 깊숙한 분석을 보여줄 수 있는 형태였다.
ADVERTISEMENT
이외에도 뉴스 이전에 가장 화제가 된 안철수 의원과도 채동욱 총장에 대한 현안을 놓고 대담을 가졌다. 특히나 채동욱 총장과 관련, 정치적 외압이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안 의원이 모호한 답변을 하자 “정확한 답을 주신 것은 아닌 것 같다”라고 정곡을 찌르기도 했다. 또 모두가 궁금해했던 최장집 교수와의 결별과 관련해서도 대담은 이어졌다.
이런 방식의 보도는 국내에서도 인기가 높은 미국 드라마 아론 소킨의 ‘뉴스룸’과도 상당부분 닮아있다. 이런 점 탓에 손석희를 ‘뉴스룸’의 주인공, 케이블채널 ‘이브닝뉴스’의 단독 메인 앵커 윌 매커보이와 비교하는 분석들도 나오고 있다.
ADVERTISEMENT
변화 이후, 윌 매커보이가 전하는 그날 그날의 뉴스는 모두 진실과 가장 맞닿아있는 뉴스를 전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뉴스룸’을 둘러싼 사람들의 합작품임을 보여준다.
때로는 초청한 인터뷰이에 대한 공격적인 질문을 던져 생기는 돌발변수들, 그리고 이런 뉴스를 전하기 위한 언론인으로서의 당연한 노력들이 여러 국가기관을 비롯, 사내에서의 정치적 외압과 맞부딪히며 생겨나는 일련의 에피소드들, 그리고 시청률 그리고 광고료와 어디까지 타협해야만 하는 것인지, 과연 타협을 해야만 하는 것인지와 관련된 방송 뉴스가 직면한 현실과 관련해서도 ‘뉴스룸’은 말하고 있다. 이 모든 사안들이 국내의 뉴스 환경과도 크게 다르지 않다.
ADVERTISEMENT
이날 앵커로 돌아온 손석희는 뉴스 오프닝에서 르몽드 지의 창간자 위베르 뵈브메리가 한 ‘진실을, 모든 진실을, 오직 진실을’을 인용하며 “오직 진실을 다루겠다. 그럴 수만 있다면 저희들의 몸과 마음도 그만큼 가벼워지리라 믿는다. 그렇게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그리고 엔딩에는 필 콜린스(원곡은 밥 딜런)가 부른 ‘더 타임즈 데이 알어 체인징(The Times They Are A-Changin’)’이 깔렸다. 이 노래는 ‘어디서 떠돌고 있던지 우리 함께 모이자. 차오르는 새로운 물결을 인정하고 그 물결이 우리의 뼛속까지 흠뻑 적시게 될 것을 받아들이자. 자신의 인생이 소중하다면, 헤엄치기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아니라면 돌처럼 가라앉게될 것이니, 시대는 변하고 있으니까’라는 가사로 시작해, ‘국회의원, 정치인들아, 부름에 응답하라. 입구를 가로막지 말고, 복도를 막지마라. 결국 상처받는 이는 가로막고 서있는 당신이 될 것이다. 바깥의 싸움은 격렬해지고, 머지않아 당신의 창문을 흔들고 벽을 두드릴 것이다’를 거쳐 ‘지금 느린 자는 미래의 빠른 자가 될 것이며, 현재는 과거가 된다. 현질서는 빠르게 사라지며, 지금 선두에 있는 이들이 나중엔 마지막이 될 것이다. 시대는 변하고 있으니까’라고 마무리 된다. 이 노래는 손석희 앵커가 직접 선곡한 것이며, 앞으로도 엔딩곡은 손석희 앵커가 직접 선곡할 것이라고 JTBC는 밝혔다.
글. 배선영 sypova@tenasia.co.kr
사진제공. JTBC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