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달짝지근해' 감독 이한 인터뷰
'달짝지근해' 감독 이한. /사진=(주)마인드마크
'달짝지근해' 감독 이한. /사진=(주)마인드마크
영화 '달짝지근해:7510'의 감독 이한은 로코 장르에 첫 도전한 소감을 밝혔다.

이한 감독은 10일 오전 영화 '달짝지근해:7510' 화상인터뷰에 나섰다.

‘달짝지근해’는 과자밖에 모르는 천재적인 제과 연구원 치호(유해진)가 직진밖에 모르는 세상 긍정 마인드의 일영(김희선)을 만나면서 인생의 맛이 버라이어티하게 바뀌는 이야기다. 영화’ 완득이'(2011), '우아한 거짓말'(2014), '증인'(2019)을 통해 사회적 통념을 깨부수고 모난 세상을 둥글게 바라보고자 한 태도를 보인 이한 감독의 작품이다.

그동안 사회적으로 무거운 이야기를 주로 연출했던 이한 감독은 로코 장르에 도전한 이유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누구나 힘든 시기가 있는 것 같다. 나 또한 마음이 답답하고 앞날이 어떻게 될지 모르는 힘든 상황에서 자기도 모르게 웃을 수 있는 그런 것을 보면 기분이 좋아지더라. 그런 영화를 하면 나도 기분이 좋아지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 같다. 코미디라는 장르를 안 해봐서 도전해보고 싶은 마음도 있었다”라고 이야기했다.

코미디 장르에 처음으로 도전했지만 너무 신난 경험이었다고 설명했다. 이한 감독은 “일단은 재밌더라. 제일 두려워했고 잘 모르는 분야이기는 했지만 배우들이 잘 해주셨다. 그런 분위기 속에 있으니까 어느 순간 웃음이 성장하는 느낌이 굉장히 좋았다”라고 말했다.

‘달짝지근해’는 ‘드림’, ‘극한직업’의 감독 이병헌의 각본을 바탕으로 각색한 작품이다. 이에 관해 이한 감독은 “10년이 넘은 시나리오다. 이병헌 감독도 헷갈려하더라. 갓 작가로 등장했을 무렵에 지인이 됐던 것 같다. 이병헌 감독의 팬이지만 신을 바라보는 시선이나 컷을 바라보는 것이 다르다보니, 연출을 하는데 부딪히지 않게 하려고 했다. 10년 전에도 각색을 하려고 했는데 실패했다. 이병헌 감독 특유의 재미가 사라지더라. 지금은 때가 아닌가보다라고 생각했는데, 지금 고치면 잘 고칠 수 있겠다라고 생각했다. 그냥 재미만 주는 것도 좋지만 일정 부분은 페이소스나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과 공감하는 이야기를 추가했다”라고 당시를 회상했다.

영화를 찍으면서 가장 중점을 둔 점이 무엇이냐고 묻자 “영화를 처음 시작하면서 지금까지 견지해온 부분이다. ‘열두 살 아이도 이해할 수 있는거야’라는 말을 스태프들에게 많이 물어보는 것 같다. 언제나 중고등학생들을 위해서 영화를 한다고 생각한다. 내 경험을 비춰봤을 때, 그 시기에 책, 영화, 음악 등에 영향을 받을 시기 같다. 그분들에게 재밌는 영화를 만드는 것이 일차적인 목표였다. 그 다음에는 너무 유아스러우면 안 되서 고민도 많았다”라고 밝혔다.

평소 따듯한 시선으로 캐릭터를 담아내는 이한 감독은 “기본적으로 엄청난 영화광은 아닌 것 같다. 하지만 어릴 때부터 한국 영화를 좋아했다. 임권택, 배창호, 박광수, 이장호 감독님의 공통점이 사람을 따뜻한 시선으로 그린 것 같다. 그런 영화들을 보면 내가 좋아지는 느낌이 좋아서 감독이 되겠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다행스러운 것은 나쁜 사람을 거의 못 만나본 것 같다. 그래서 사실 어렵다. 다들 나름대로 이유가 있더라. 그런 것이 영화에 투영되는 것이 아닌가라고 생각했다”라고 이야기했다.

영화가 개봉하고 특별히 듣고 싶은 영화적 평가가 있느냐고 묻자 “그동안은 안 떤다고 생각했다. 이번 작품은 유독 많이 떨린다. 경쟁작들이 쟁쟁하기도 하다. 나를 믿고 지지해준 사람에게 손해는 끼치면 안 되겠다는 마음이다. 손익분기점만 넘으면 만족할 것 같다. 시작을 할 때, 관객들이 재밌게 봤으면 했기에 ‘그 영화 재밌어’라는 평가를 듣고 싶다”라고 말했다

영화 ‘달짝지근해’는 오는 8월 15일 개봉한다.

이하늘 텐아시아 기자 greenworld@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