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 황동혁 감독이 표절 논란과 전화번호 노출 피해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28일 '오징어게임'을 연출한 황동혁 감독과 화상 인터뷰로 만났다. '오징어 게임'은 황 감독이 2008년부터 구상해온 이야기로, 게임을 소재로 한 이야기에 매료됐던 그가 어린 시절 추억의 놀이와 극한 경쟁에 내몰린 현대사회를 결부시킨 작품. 456억 원의 상금이 걸린 의문의 서바이벌에 참여한 사람들이 최후의 승자가 되기 위해 목숨을 걸고 극한의 게임에 도전하는 이야기를 담았다.
'오징어 게임'은 장르의 유사성으로 공개 전부터 영화 '신이 말하는 대로', '아리스 인 보더랜드' 등과 비슷하다며 표절 의혹이 일었다. 그러나 앞서 제작발표회에서 황동혁 감독은 "'오징어게임'은 2008년부터 구상한 작품이다. 유사 포맷이라 언급되는 작품은 그보다 훨씬 이후에 공개됐다. 굳이 우선권을 따지자면 제가 원조"라고 밝힌 바 있다.
공개 후에도 계속되는 표절 시비에 대해 황 감독은 '오징어 게임' 만의 독창성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큰 차이점은 두 가지"라며 "게임보다는 사람이 보이는 작품이다. 다른 작품들의 게임이 어렵고 복잡해서 풀어내면서 진행되는데, '오징어 게임'은 아이들 게임 중에서도 제일 단순한 것들이라 남녀노소 누구나 30초 안에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사람의 감정에 더 집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두 번째는 한 명의 영웅을 내세워 리더가 되는 과정이 아닌 루저의 이야기를 담는다"며 "어떤 위너도 영웅도 천재적인 사람도 없다. 기훈(이정재 분)도 남의 도움을 받아 한 단계식 앞으로 나간 것 뿐이다. 영웅이 없는 루저들의 이야기를 말하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한미녀(김주령 분)의 육체를 재화로 삼는 설정, 보디프린팅 된 여성의 도구화 등 젠더감수성 부재가 문제로 지적되기도 했다.
이에 황 감독은 "극한 상황에 놓이면 무슨 짓이든 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한미녀 캐릭터를 만들었다. 여성을 비하하거나 혐오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 인간이 최악의 상황에 놓여있을 때 할 수 있는 행위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또한 "보디페인팅은 여성의 도구화라기 보다 VIP 권력자들이 사람을 어디까지 경시까지 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기 위해 사람을 사물화 한 거다. 인간을 도구화하는 VIP를 묘사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극중에 노출된 전화번호와 통장번호 사용자가 심각한 피해를 호소하기도. 이에 황 감독은 "예상 못했다. 없는 번호라고 해서 썼는데 제작진이 예측을 못했던 것 같다. 끝까지 확인하지 못해서 죄송하게 생각한다. 제작진 쪽에서 해결해가고 있는 걸로 알고 있다"고 사과했다.
이어 "통장번호는 제작진 번호인데, 그 계좌로 계속 456원 씩 들어오고 있다더라. 추후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를 위해 계좌는 정리하는 걸로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태유나 텐아시아 기자 youyou@tenasia.co.kr
28일 '오징어게임'을 연출한 황동혁 감독과 화상 인터뷰로 만났다. '오징어 게임'은 황 감독이 2008년부터 구상해온 이야기로, 게임을 소재로 한 이야기에 매료됐던 그가 어린 시절 추억의 놀이와 극한 경쟁에 내몰린 현대사회를 결부시킨 작품. 456억 원의 상금이 걸린 의문의 서바이벌에 참여한 사람들이 최후의 승자가 되기 위해 목숨을 걸고 극한의 게임에 도전하는 이야기를 담았다.
'오징어 게임'은 장르의 유사성으로 공개 전부터 영화 '신이 말하는 대로', '아리스 인 보더랜드' 등과 비슷하다며 표절 의혹이 일었다. 그러나 앞서 제작발표회에서 황동혁 감독은 "'오징어게임'은 2008년부터 구상한 작품이다. 유사 포맷이라 언급되는 작품은 그보다 훨씬 이후에 공개됐다. 굳이 우선권을 따지자면 제가 원조"라고 밝힌 바 있다.
공개 후에도 계속되는 표절 시비에 대해 황 감독은 '오징어 게임' 만의 독창성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큰 차이점은 두 가지"라며 "게임보다는 사람이 보이는 작품이다. 다른 작품들의 게임이 어렵고 복잡해서 풀어내면서 진행되는데, '오징어 게임'은 아이들 게임 중에서도 제일 단순한 것들이라 남녀노소 누구나 30초 안에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사람의 감정에 더 집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두 번째는 한 명의 영웅을 내세워 리더가 되는 과정이 아닌 루저의 이야기를 담는다"며 "어떤 위너도 영웅도 천재적인 사람도 없다. 기훈(이정재 분)도 남의 도움을 받아 한 단계식 앞으로 나간 것 뿐이다. 영웅이 없는 루저들의 이야기를 말하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한미녀(김주령 분)의 육체를 재화로 삼는 설정, 보디프린팅 된 여성의 도구화 등 젠더감수성 부재가 문제로 지적되기도 했다.
이에 황 감독은 "극한 상황에 놓이면 무슨 짓이든 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한미녀 캐릭터를 만들었다. 여성을 비하하거나 혐오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 인간이 최악의 상황에 놓여있을 때 할 수 있는 행위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또한 "보디페인팅은 여성의 도구화라기 보다 VIP 권력자들이 사람을 어디까지 경시까지 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기 위해 사람을 사물화 한 거다. 인간을 도구화하는 VIP를 묘사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극중에 노출된 전화번호와 통장번호 사용자가 심각한 피해를 호소하기도. 이에 황 감독은 "예상 못했다. 없는 번호라고 해서 썼는데 제작진이 예측을 못했던 것 같다. 끝까지 확인하지 못해서 죄송하게 생각한다. 제작진 쪽에서 해결해가고 있는 걸로 알고 있다"고 사과했다.
이어 "통장번호는 제작진 번호인데, 그 계좌로 계속 456원 씩 들어오고 있다더라. 추후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를 위해 계좌는 정리하는 걸로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태유나 텐아시아 기자 youyou@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