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극적이지 않아도 통하는 대화" /> 화 KBS2 밤 11시 15분
토크에서 MC의 역할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은 의 고질적인 문제였다. 하지만 이로 인해 게스트가 공격받거나 MC와 대치하지 않고, 편안하게 자신의 말을 하고 갈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도 사실이다. 아마도 이는 가 토크쇼이며 예능 프로그램임에도 불구하고, 가정의 달 특집으로 강의라는 형식을 선택할 수 있었던 이유인지도 모른다. 한 사람이 말하고 다수가 듣는 형태의 강의는 현재 토크쇼의 형식으로 진행되는 예능 프로그램들 중 유일하게 만이 소화할 수 있는 형식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김정운 교수는 “자기 말만 하는” 교수라는 직업을 가진 사람으로서의 정체성을 그대로 유지한 채, 자신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 특집에 임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특집은 새로운 형식에도 불구하고 기존 와 본질적인 면에서 크게 다르지 않았다. 하지만 그래서 오히려 더 ‘듣는 토크쇼’로서의 장점이 부각될 수 있었다. MC들과 특별 게스트였던 박지윤-최동석 아나운서 부부, 그리고 이수근 부부는 모두 강의를 듣는 사람의 입장에서 질문을 던졌고, 김정운 교수는 상담을 들어주듯 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자신의 이야기와 적절히 섞어가며 하고 싶은 이야기를 지루하지 않게 전달했다. 는 김정운 교수의 강의 방식과 내용을 거의 훼손하지 않았고, 부부 게스트들에게서 자극적이거나 색다른 사연을 끌어내려 하지도 않았다. 와 김정운 교수가 끝까지 견지한 것은 결국 공감하면서 소통하는 것, 서로 고개를 끄덕여주고 어깨를 토닥여주는 마음이었고, 거기엔 수식이나 장치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의 이런 착하고 순진한 토크 방식은 돌려 보았을 때 게으르거나 촌스러운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그렇지만 바쁘고 정신없는 일상에는 반드시 “자신과의 대화를 위한 휴식”이 필요하다던 강의의 내용처럼, 화려하고 정신없고 더 센 이야기와 화면들에 지쳐 있는 순간이라면, 가 “휴식”이 되어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글. 윤이나(TV평론가)
토크에서 MC의 역할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은 의 고질적인 문제였다. 하지만 이로 인해 게스트가 공격받거나 MC와 대치하지 않고, 편안하게 자신의 말을 하고 갈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도 사실이다. 아마도 이는 가 토크쇼이며 예능 프로그램임에도 불구하고, 가정의 달 특집으로 강의라는 형식을 선택할 수 있었던 이유인지도 모른다. 한 사람이 말하고 다수가 듣는 형태의 강의는 현재 토크쇼의 형식으로 진행되는 예능 프로그램들 중 유일하게 만이 소화할 수 있는 형식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김정운 교수는 “자기 말만 하는” 교수라는 직업을 가진 사람으로서의 정체성을 그대로 유지한 채, 자신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 특집에 임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특집은 새로운 형식에도 불구하고 기존 와 본질적인 면에서 크게 다르지 않았다. 하지만 그래서 오히려 더 ‘듣는 토크쇼’로서의 장점이 부각될 수 있었다. MC들과 특별 게스트였던 박지윤-최동석 아나운서 부부, 그리고 이수근 부부는 모두 강의를 듣는 사람의 입장에서 질문을 던졌고, 김정운 교수는 상담을 들어주듯 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자신의 이야기와 적절히 섞어가며 하고 싶은 이야기를 지루하지 않게 전달했다. 는 김정운 교수의 강의 방식과 내용을 거의 훼손하지 않았고, 부부 게스트들에게서 자극적이거나 색다른 사연을 끌어내려 하지도 않았다. 와 김정운 교수가 끝까지 견지한 것은 결국 공감하면서 소통하는 것, 서로 고개를 끄덕여주고 어깨를 토닥여주는 마음이었고, 거기엔 수식이나 장치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의 이런 착하고 순진한 토크 방식은 돌려 보았을 때 게으르거나 촌스러운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그렇지만 바쁘고 정신없는 일상에는 반드시 “자신과의 대화를 위한 휴식”이 필요하다던 강의의 내용처럼, 화려하고 정신없고 더 센 이야기와 화면들에 지쳐 있는 순간이라면, 가 “휴식”이 되어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글. 윤이나(TV평론가)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