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아시아=김수경 기자]
문문: 올해 서른인데 지난 10년간 힘들게 음악을 했다. ‘저수지의 딸들’이라는 밴드로 활동한 적도 있었지만 잘 안 됐다. 해탈한 경지에서 ‘비행운’을 냈다. 타이틀곡도 아니고 미니 앨범의 머릿수를 채우려 넣은 곡이었다. 의도한 것도 아닌데 감사할 따름이다. 역시 사람은 (억지로)뭘 어떻게 하려고 하면 안되는 것 같다.(웃음)
10. 아이유가 ‘비행운’을 추천하게 된 사연이 특이한데?
문문: 중식당에서 일하고 있을 때 아이유가 식사를 하러 왔다. 꼭 내 노래를 들려주고 싶어서 티슈에 ‘이런 아티스트가 있고 이런 노래가 있는데 들어주시면 고맙겠습니다’라고 적어서 드렸다. 그게 ‘비행운’이었다.
10. 많은 곡 중에서 왜 ‘비행운’을 들려주고 싶었나?
문문: 어른이라는 존재에 대해 한번 생각해볼 수 있는 곡이기 때문이다. 아이유의 노래 중에 ‘스물셋’이라는 노래도 있고 가사 중에 ‘I’m twenty five’라는 곡도 있지 않나. 어른이 되어간다는 것을 고민하는 아티스트가 쉬고 싶을 때 들으면 좋을 곡이라고 생각했다.
10. 또 다른 연예인도 문문의 곡을 추천한 적이 있나?
문문: 배우 박보영이 내 노래를 좋아해준다고 들었다. 네이버 V앱에서 ‘비행운’이랑 ‘앙고라’도 팬들에게 들려줬다고 알고 있다.
10. 문문의 가사에는 은유가 풍부한데.
문문: 의도한 바다. 내 노래엔 정답이 없다. 듣는 사람의 의지대로 곡을 다르게 해석할 수 있게 하고 싶어서 광범위하게 썼다.
10. 열린 결말을 좋아하나?
문문: 그렇다. 영화도 책도 확실하게 결말이 나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노래도 끝나는 듯 끝나지 않아 결국엔 원점으로 되돌아가는 이야기가 담긴 것을 선호한다. 그림으로 비유하자면 ‘여백의 미’ 같은 느낌을 주고 싶었다.
10. 자전적인 곡이 많고 전체적인 색채가 어두운데 인생에 굴곡이 많았나.
문문: 편부모 가정에서 자랐다. 새 엄마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꽤 있었다. 그러다보니 일찍부터 겪어도 되지 않을 감정들을 겪게 됐고 예민해졌다. 그러다 직업 군인이 됐는데 내가 진짜 하고 싶었던 건 음악이었다는 걸 깨달았다.
10. 음악을 좋아했는데 직업 군인이 된 이유는?
문문: 집이 가난해서 안정적인 수입으로 보탬이 되고 싶었다. 그런데 그렇게 흘려보내기엔 내 인생이 너무 아까웠다. 그래서 20대 중반에 대학교 실용음악과에 들어갔다. 작곡을 정식으로 배우면서 27살 때 결성한 밴드가 ‘저수지의 딸들’이다.
10. ‘저수지의 딸들’에서 어떻게 솔로인 문문으로 활동하게 됐나?
문문: ‘저수지의 딸들’ 활동을 1년 동안 했지만 잘 안 돼 솔로 문문으로 다시 데뷔했다. 그때 ‘Moon, Moon’을 썼다. ‘이제는 사람들이 듣든 말든 내가 지금까지 해온 음악을 작업물로 남기자’라는 생각으로 만들었는데 반응도 좋았다.
10. 자신의 음악을 기록하려 만든 첫 작업물이 ‘Moon, Moon’이라니 상징적이다.
문문: 달에서 부르는 노래라고 상상하면서 만들었다. 퇴근할 때마다 달도 많이 쳐다봤을 때였다.(웃음)
10. 문문의 음악은 과연 해보다는 달과 어울린다.
문문: 달 하면 떠오르는 특유의 정서가 있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는 초라함이 제일 크게 풍겨져 나온다고 느낀다. 달 중에서도 제일 초라한 건 초승달이다. 나는 보름달보다는 초승달을 더 좋아한다. 문문의 음악을 달로 표현하자면 절대 보름달이 아니다. 제일 가냘픈 ‘눈썹달’이다.
김수경 기자 ksk@tenasia.co.kr
“난 눈을 흘기고 / 너를 깨물고 / 손을 할퀴어서 / 너의 약을 올릴거야.”(-문문, ‘앙고라’ 中)10. 방탄소년단 정국과 아이유가 ‘비행운’을 추천해 유명해졌는데 소감은?
싱어송라이터 문문의 두 번째 미니 앨범 ‘물감’에 실린 ‘앙고라’의 가사다. 한 곡에 하나의 화자만 존재하는 여느 곡들과는 달리 문문의 곡에는 다양한 화자가 존재한다. ‘앙고라’에서 화자는 제목처럼 앙고라가 될 수도, 고양이가 될 수도, 연인을 구질구질하게 붙잡는 사람이 될 수도 있다고 문문은 말했다.
이처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것이 문문만의 매력이다. 세련된 멜로디에 담백한 목소리가 듣는 즐거움을 배가한다. 화폭에 담긴 여백의 미를 닮은 음악을 만들어내고 싶다는 문문을 만났다.
문문: 올해 서른인데 지난 10년간 힘들게 음악을 했다. ‘저수지의 딸들’이라는 밴드로 활동한 적도 있었지만 잘 안 됐다. 해탈한 경지에서 ‘비행운’을 냈다. 타이틀곡도 아니고 미니 앨범의 머릿수를 채우려 넣은 곡이었다. 의도한 것도 아닌데 감사할 따름이다. 역시 사람은 (억지로)뭘 어떻게 하려고 하면 안되는 것 같다.(웃음)
10. 아이유가 ‘비행운’을 추천하게 된 사연이 특이한데?
문문: 중식당에서 일하고 있을 때 아이유가 식사를 하러 왔다. 꼭 내 노래를 들려주고 싶어서 티슈에 ‘이런 아티스트가 있고 이런 노래가 있는데 들어주시면 고맙겠습니다’라고 적어서 드렸다. 그게 ‘비행운’이었다.
10. 많은 곡 중에서 왜 ‘비행운’을 들려주고 싶었나?
문문: 어른이라는 존재에 대해 한번 생각해볼 수 있는 곡이기 때문이다. 아이유의 노래 중에 ‘스물셋’이라는 노래도 있고 가사 중에 ‘I’m twenty five’라는 곡도 있지 않나. 어른이 되어간다는 것을 고민하는 아티스트가 쉬고 싶을 때 들으면 좋을 곡이라고 생각했다.
10. 또 다른 연예인도 문문의 곡을 추천한 적이 있나?
문문: 배우 박보영이 내 노래를 좋아해준다고 들었다. 네이버 V앱에서 ‘비행운’이랑 ‘앙고라’도 팬들에게 들려줬다고 알고 있다.
10. 문문의 가사에는 은유가 풍부한데.
문문: 의도한 바다. 내 노래엔 정답이 없다. 듣는 사람의 의지대로 곡을 다르게 해석할 수 있게 하고 싶어서 광범위하게 썼다.
10. 열린 결말을 좋아하나?
문문: 그렇다. 영화도 책도 확실하게 결말이 나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노래도 끝나는 듯 끝나지 않아 결국엔 원점으로 되돌아가는 이야기가 담긴 것을 선호한다. 그림으로 비유하자면 ‘여백의 미’ 같은 느낌을 주고 싶었다.
문문: 편부모 가정에서 자랐다. 새 엄마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꽤 있었다. 그러다보니 일찍부터 겪어도 되지 않을 감정들을 겪게 됐고 예민해졌다. 그러다 직업 군인이 됐는데 내가 진짜 하고 싶었던 건 음악이었다는 걸 깨달았다.
10. 음악을 좋아했는데 직업 군인이 된 이유는?
문문: 집이 가난해서 안정적인 수입으로 보탬이 되고 싶었다. 그런데 그렇게 흘려보내기엔 내 인생이 너무 아까웠다. 그래서 20대 중반에 대학교 실용음악과에 들어갔다. 작곡을 정식으로 배우면서 27살 때 결성한 밴드가 ‘저수지의 딸들’이다.
10. ‘저수지의 딸들’에서 어떻게 솔로인 문문으로 활동하게 됐나?
문문: ‘저수지의 딸들’ 활동을 1년 동안 했지만 잘 안 돼 솔로 문문으로 다시 데뷔했다. 그때 ‘Moon, Moon’을 썼다. ‘이제는 사람들이 듣든 말든 내가 지금까지 해온 음악을 작업물로 남기자’라는 생각으로 만들었는데 반응도 좋았다.
10. 자신의 음악을 기록하려 만든 첫 작업물이 ‘Moon, Moon’이라니 상징적이다.
문문: 달에서 부르는 노래라고 상상하면서 만들었다. 퇴근할 때마다 달도 많이 쳐다봤을 때였다.(웃음)
10. 문문의 음악은 과연 해보다는 달과 어울린다.
문문: 달 하면 떠오르는 특유의 정서가 있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는 초라함이 제일 크게 풍겨져 나온다고 느낀다. 달 중에서도 제일 초라한 건 초승달이다. 나는 보름달보다는 초승달을 더 좋아한다. 문문의 음악을 달로 표현하자면 절대 보름달이 아니다. 제일 가냘픈 ‘눈썹달’이다.
김수경 기자 ksk@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