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기환 트레이너와 서프라이즈 멤버들의 연기수업.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는 현장이다



어느 배우가 드라마에서 오열하는 연기를 하고나면, 다음 날 포털사이트는 ‘오열 열연’이라는 기사로 도배된다. 비슷한 사례로 여배우의 ‘출산 열연’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배우들은 이런 류의 연기는 오히려 쉬운 것이라고 말한다. 배우들에게 어려운 연기는 에너지를 발산하는 연기보다는 에너지를 품고 있으면서도 그것을 정확히 전달하는 류의 연기다.

배우들이 어떤 인물의 감정을 정확하게 조각하는 일은 생각보다 훨씬 이성적인 작업에 근접해있다. 대다수 사람들은 배우가 그 인물에 완전히 몰입하여 연기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연기란 실은 상대 배우는 물론 스태프들과의 정확한 약속 안에서 이뤄지는 작업이기에 우리 생각 이상으로 정확한 계산을 요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따라서 어느 배우는 “연기를 하는 순간 내 머릿 속에는 두 가지의 내가 있다. 하나는 그 인물과 동화돼있는 나, 또 하나는 이 상황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나 말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앞에서 말한 에너지를 폭발하는 류의 연기는 그 표현방식이 오히려 단순하지만, 지극히 일상적인 연기이거나 에너지를 품고 있으면서도 그것이 사소한 동작이나 표정을 통해 드러내는 방식의 연기는 고도의 계산을 요하면서 또한 그 인물이나 상황 속으로 배우가 완전히 걸어들어가야 가능한 작업인 것이다.

이런 배우들의 노력을 한층 더 이해해보고자, 또 노력하는 배우들이 보여주는 좋은 연기를 좀 더 잘 감별해내기 위해 하정우, 김성균, 주진모 등이 소속된 판타지오에서 서프라이즈 등 신인 배우를 비롯해 강한나, 윤승아, 김새론 등의 연기지도를 담당하는 구기환 연기 트레이너와 ‘배우’ 그리고 ‘연기’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배우에 대한 편견을 꼭 하나만 말해야한다면, 대다수가 ‘배우는 극도로 예민한 종족(?)이다’라고 말하지 않을까? 사실 감정을 잘개 쪼개어 표현하는 직업인만큼 당연히 감정적으로 예민해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긴 하다. 이들의 노동이야말로 감정 노동이니까. 그렇다면 예민한 배우가 연기도 잘 할까? 물론, 일부분 맞는 말일 것이다. 하지만 감정적 예민함이 극에 달해있는 것이 배우의 미덕은 아니다. 감정적 예민함을 타인과 소통하는 것에 사용하는 배우가 오히려 배우로서 가장 중요한 미덕을 갖춘 이다.

구기환 트레이너는 “배우에게 ‘예민한 감성’은 분명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예민한 감성이 꼭 훌륭한 연기와 직결되는 것은 아니다. 예민한 감성을 가졌지만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표현하는 ‘사회화’가 되어 있지 않은 이들이라면, 그것은 다른 형태로 표현될 뿐이다”라고 말했다.

구기환 트레이너와 서프라이즈 멤버들의 연기수업.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는 현장이다

인간이란 본래 감정을 지닌 동물이기에 누구나 껍질을 깨고 들여다보면 예민한 구석은 있기 마련이다. 다만, 자유롭게 웃고 울 수 있는 환경에서 성장한 이들이라면 표현을 하는 것에도 거침이 없지만, 흔히 ‘남자는 절대 울면 안돼’식의 보수적 환경에서 성장한 이들이라면 자신의 예민한 감성을 스스로 들여다보고 드러낼 기회가 적었던 탓에 그것을 적절한 형태로 표현을 하는 것에 서툴 수 있다는 것이 구기환 트레이너의 설명이다.

그는 ‘예민함’ 보다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은 ‘소통능력’이라고 말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배우가 연기를 하는 공간은 그 자신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다. 상대 배우는 물론, 여러 스태프들과 약속된 공간에서 규칙을 지켜서 연기를 해야하며, 또 연기라는 작업이 이미 관객과의 소통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간혹 다른 이들과 소통하지 않고 혼자 자기가 준비한 대로 연기를 하는 배우들이 기성배우들 중에도 분명 있다. 아마 배우 스스로도 연기를 즐기지 못할 것이며 무엇보다 관객과의 소통에도 결국 실패하게 된다. 오늘날 관객들이 연극이나 드라마, 영화를 볼 때 그 이야기 자체에 흥미를 가지는 경우는 많지 않다. 정말 충격적인 사건은 가공된 작품보다는 현실에서 벌어지는 세상이니까. 관객들이 정말 보고자 하는 것은 이미 알고 있는 이야기일지라도 그것이 어떻게 표현되어지느냐하는 점일 것이다. 뮤지컬 배우나 연극배우의 팬들이 그 배우의 모든 공연 회차를 다 보고자 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기본적으로 관객은 배우와 소통하고 싶어한다. 관객은 배우의 연기를 보며 결국 자신의 이야기를 떠올리며 공감하고 함께 그 감정을 느낀다. 그런데 배우가 자신만의 세계에 갇혀 타인과 소통을 하려하지 않는다? 그것은 실패한 연기라 볼 수 있다.”

비단 배우의 영역에서 뿐 아니라, 여러 예술적 영역에서 ‘천재’라고 하면 우리는 흔히 극도로 예민하고 오만한 존재들을 떠올리지만 연기를 포함한 거의 모든 영역에서 요구되는 자질은 ‘타인과의 소통능력’이다. 그리고 배우들이 하는 작업이야말로 굉장히 많은 사람들이 투입된 공동의 작업 아닌가. 실제로 연기를 잘 하는 배우들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듯 자신만의 세계에 갇혀있지 않고, 그 캐릭터를 함께 만들어나가는 감독, 작가를 비롯해 여러 스태프와 상대 배우와의 소통을 게을리 하지 않는다. 관객들은 무심코 지나가는 하나의 장면을 찍기 위해서도 여러 대화를 나누는 것이 배우이다. 예민한 감성은 물론 배우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지만, 그 감성을 자신만의 세계에 가둬버리는 것은 연기의 방해요인으로 작용한다.

구기환 트레이너는 중앙대학교 연극학과,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중국 희곡학원(경극 대학교) 연수과정 및 일본 스즈키타다시 연기메소드 워크숍 등의 과정을 거쳤다.현재는 동서울대학 연기예술학과 연기 강사 및 중앙대학교 연극학과 연기 강사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판타지오의 교육사업본부 실장을 맡고 있다.

글. 배선영 sypova@tenasia.co.kr
사진. 구혜정 photonine@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