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신들은 버전이 10개도 나올 겁니다."
유재명이 영화 '행복의 나라'에 담았던 열의를 이같이 밝혔다. '행복의 나라'는 1979년 10월 26일 상관의 명령으로 인해 대통령 암살 사건에 연루된 박태주(이선균 분)와 그의 변호를 맡으며 정치 재판에 뛰어든 변호사 정인후(조정석 분)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유재명은 전두환을 모티브로 한 합수부장 전상두 역을 맡았다. 전상두는 부정 재판을 주도하며 위험한 야욕을 위해 군사반란을 일으키는 거대 권력의 중심이다. 유재명은 실존인물이 있다는 점, 그 인물의 특정 이미지가 각인돼있다는 점에서 이 역할 연기에 다소 부담감을 느꼈다.
"사실 처음 대본 받았을 때는 거절했어요. 전상두라는 캐릭터가 안개 속에 있는 느낌이었어요. 파악하기 힘들었죠. 아시다시피 특정 이미지가 있는 캐릭터라서 정중히 거절했어요. 설명하기 어렵지만 시간이 지나도 그 인물이 계속 떠올랐습니다. '이태원 클라쓰' 때도 비슷했는데, 당시 박새로이 아버지 역을 제안 받았지만 다른 스케줄 때문에 거절했어요. 하지만 자꾸 떠올랐죠. 잔상이 남았어요. 감독님께 용기내서 정해지지 않았다면 해보고 싶다고 했죠. 전상두의 가만히 않아서 집중하는 모습, 눈빛들, 그때 당시에는 직접적으로 떠오르지 않았어요. 그런 걸 감독님과 함께 표현하는 과정을 거친 것 같아요." 최근 '서울의 봄', '남산의 부장들'과 같이 현대사를 다룬 영화가 흥행했다. 특히 '서울의 봄' 전두광 역의 황정민과도 나란히 언급되고 있다. 황정민은 극 중 인물의 야욕을 과감히 표현했다면, 유재명은 은밀하게 권력을 강탈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유재명은 "조용한 밀실에서 편법과 술수로 상대를 갖고 노는 듯한 모습, 자신만의 야욕을 꿈꾸는 인물들의 뉘앙스를 담았다"고 말했다. 캐릭터의 외형은 실존인물과 유사하게 연출했지만, 말투, 분위기 등은 유재명만의 연기로 풀어나갔다.
"초반에는 영상도 찾아보고 어떻게 장교가 됐고 사조직을 만들었는지 공부도 했는데, 어느 순간부터는 포기했어요. 우리 작품 안에서 어떻게 존재할 것이냐가 더 중요했죠. 외형은 분장님, 감독님과 함께 콘셉트를 정리해나갔어요. 테스트 삼아 머리카락을 면도해봤는데, 다들 닮았다고 해서 놀랐죠. 저는 닮았다는 생각을 한 번도 한 적 없거든요. 하하. 머리를 민 특별한 이유는 없었고 제가 연극을 많이 하다 보니 그런 것에 부담감이 없어요. 머리 밀고 모자 쓰고 다니면 되죠. 생니를 뽑는 것도 아닌데요 뭐. 하하하" '행복의 나라'는 이선균의 유작이기도 하다. 유재명은 이번 작품으로 '배우 이선균'의 연기 그 자체를 봐달라고 했다.
"이선균 배우와 관련된 여러 마음은 충분히 잘 말씀드린 것 같아요. 이제는 그런 얘기들이 절제되고 배우로서 이선균이 어땠는지 봐주십사 합니다. 이선균 배우의 유작이라는 타이틀을 걸고 있지만 이선균이라는 배우의 연기 그 자체, 그 결들을 소개하는 자리가 됐으면 좋겠어요. 제가 '영화는 다시 찾아볼 수 있지만 사람은 다시 찾아볼 수 없다'고 했는데, 이 영화를 통해 이선균 배우를 다시 찾아볼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에요. 그게 가장 솔직한 마음입니다. 입을 꽉 다문 극 중 박태주의 눈빛을 보며 '고생 많았구나' 생각했어요." 스무 살에 연극으로 연기 활동을 시작한 유재명. 그는"연기한 지 시간이 제법 흘렀는데, 특별한 노하우가 없는 게 노하우가 됐다. 특별한 노하우가 없어서 (역할에서) 잘 빠져나오는 것 같다. 열심히 찍고 잠시 멈추고 다시 찍고, 반복한다"고 말했다.
"일상을 유지하기 위해 뭘 안 하는 편이에요. 촬영하는 동안은 촬영장, 집 오가기를 반복한다. 촬영을 겨우 끝내고 뭘 좀 해볼까 싶어도 또 촬영에 들어가요. 취미도 별로 없고 할 줄 아는 것도 별로 없어요. 그러면서 또 좋은 작품을 만나게 되는 것 같아요. 집에선 설거지도 하고 애도 보고 그래요. 하하. 산책을 좋아하는데, 걸으면서 상상으로 연기 연습도 하죠."
김지원 텐아시아 기자 bella@tenasia.co.kr
유재명이 영화 '행복의 나라'에 담았던 열의를 이같이 밝혔다. '행복의 나라'는 1979년 10월 26일 상관의 명령으로 인해 대통령 암살 사건에 연루된 박태주(이선균 분)와 그의 변호를 맡으며 정치 재판에 뛰어든 변호사 정인후(조정석 분)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유재명은 전두환을 모티브로 한 합수부장 전상두 역을 맡았다. 전상두는 부정 재판을 주도하며 위험한 야욕을 위해 군사반란을 일으키는 거대 권력의 중심이다. 유재명은 실존인물이 있다는 점, 그 인물의 특정 이미지가 각인돼있다는 점에서 이 역할 연기에 다소 부담감을 느꼈다.
"사실 처음 대본 받았을 때는 거절했어요. 전상두라는 캐릭터가 안개 속에 있는 느낌이었어요. 파악하기 힘들었죠. 아시다시피 특정 이미지가 있는 캐릭터라서 정중히 거절했어요. 설명하기 어렵지만 시간이 지나도 그 인물이 계속 떠올랐습니다. '이태원 클라쓰' 때도 비슷했는데, 당시 박새로이 아버지 역을 제안 받았지만 다른 스케줄 때문에 거절했어요. 하지만 자꾸 떠올랐죠. 잔상이 남았어요. 감독님께 용기내서 정해지지 않았다면 해보고 싶다고 했죠. 전상두의 가만히 않아서 집중하는 모습, 눈빛들, 그때 당시에는 직접적으로 떠오르지 않았어요. 그런 걸 감독님과 함께 표현하는 과정을 거친 것 같아요." 최근 '서울의 봄', '남산의 부장들'과 같이 현대사를 다룬 영화가 흥행했다. 특히 '서울의 봄' 전두광 역의 황정민과도 나란히 언급되고 있다. 황정민은 극 중 인물의 야욕을 과감히 표현했다면, 유재명은 은밀하게 권력을 강탈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유재명은 "조용한 밀실에서 편법과 술수로 상대를 갖고 노는 듯한 모습, 자신만의 야욕을 꿈꾸는 인물들의 뉘앙스를 담았다"고 말했다. 캐릭터의 외형은 실존인물과 유사하게 연출했지만, 말투, 분위기 등은 유재명만의 연기로 풀어나갔다.
"초반에는 영상도 찾아보고 어떻게 장교가 됐고 사조직을 만들었는지 공부도 했는데, 어느 순간부터는 포기했어요. 우리 작품 안에서 어떻게 존재할 것이냐가 더 중요했죠. 외형은 분장님, 감독님과 함께 콘셉트를 정리해나갔어요. 테스트 삼아 머리카락을 면도해봤는데, 다들 닮았다고 해서 놀랐죠. 저는 닮았다는 생각을 한 번도 한 적 없거든요. 하하. 머리를 민 특별한 이유는 없었고 제가 연극을 많이 하다 보니 그런 것에 부담감이 없어요. 머리 밀고 모자 쓰고 다니면 되죠. 생니를 뽑는 것도 아닌데요 뭐. 하하하" '행복의 나라'는 이선균의 유작이기도 하다. 유재명은 이번 작품으로 '배우 이선균'의 연기 그 자체를 봐달라고 했다.
"이선균 배우와 관련된 여러 마음은 충분히 잘 말씀드린 것 같아요. 이제는 그런 얘기들이 절제되고 배우로서 이선균이 어땠는지 봐주십사 합니다. 이선균 배우의 유작이라는 타이틀을 걸고 있지만 이선균이라는 배우의 연기 그 자체, 그 결들을 소개하는 자리가 됐으면 좋겠어요. 제가 '영화는 다시 찾아볼 수 있지만 사람은 다시 찾아볼 수 없다'고 했는데, 이 영화를 통해 이선균 배우를 다시 찾아볼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에요. 그게 가장 솔직한 마음입니다. 입을 꽉 다문 극 중 박태주의 눈빛을 보며 '고생 많았구나' 생각했어요." 스무 살에 연극으로 연기 활동을 시작한 유재명. 그는"연기한 지 시간이 제법 흘렀는데, 특별한 노하우가 없는 게 노하우가 됐다. 특별한 노하우가 없어서 (역할에서) 잘 빠져나오는 것 같다. 열심히 찍고 잠시 멈추고 다시 찍고, 반복한다"고 말했다.
"일상을 유지하기 위해 뭘 안 하는 편이에요. 촬영하는 동안은 촬영장, 집 오가기를 반복한다. 촬영을 겨우 끝내고 뭘 좀 해볼까 싶어도 또 촬영에 들어가요. 취미도 별로 없고 할 줄 아는 것도 별로 없어요. 그러면서 또 좋은 작품을 만나게 되는 것 같아요. 집에선 설거지도 하고 애도 보고 그래요. 하하. 산책을 좋아하는데, 걸으면서 상상으로 연기 연습도 하죠."
김지원 텐아시아 기자 bella@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