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김고은 계정, 쇼박스
사진=김고은 계정, 쇼박스
일부 중국인들이 영화 '파묘' 흠집내기, 일명 '억까'(억지 까기)에 나섰다. '파묘' 속 인물들이 얼굴에 축경 분장을 한 데 대해 트집을 잡은 것. 그러면서 불법 시청도 서슴지 않고 있다. 얼토당토 않은 딴지와 '도둑 시청'에 장재현 감독은 '농담'으로 응수했다.

21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파묘'의 장재현 감독을 만났다. 중국 누리꾼들의 트집잡기 소식을 접하고 기분이 어땠냐는 물음에 장 감독은 "제가 어떠한 걸 의도하지 않았기 때문에 별로 크게 생각하진 않는다"며 덤덤해했다. 이어 "오히려 영화에 관심을 가져줘서 괜찮았다"며 "제가 뭔가 의도해서 논란이 됐다면 생각할 여지가 있을텐데, 한 부분만 보고 얘기하는 걸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고 말했다.

도둑 시청 논란에 대해 언급하자 장 감독은 잠시 망설이더니 "'패왕별희'가 재개봉하지 않나"라며 너스레를 떨었다. 그러면서 "중국에서도 한국 영화가 자유롭게 개봉될 수 있으면 좋겠다. 우리는 중국 영화를 사랑하지 않나. 중국에 한국의 장르 영화도 많이 보여주고 싶은 마음뿐이다"라고 말했다.
'파묘' 장재현 감독 / 사진제공=쇼박스
'파묘' 장재현 감독 / 사진제공=쇼박스
최근 한 중국인 누리꾼은 영화 '파묘' 속 얼굴 축경 분장을 공연히 책잡았다. 해당 누리꾼은 "중국에서는 얼굴에 글을 쓰거나 새기는 행위가 매우 모욕적이고 굴욕적인 행위"라고 비판했다. 또한 "한국인들이 얼굴에도 모르는 한자를 쓴다는 게 참 우스꽝스럽다. 한국에서는 멋있는 말이 중국어로 번역되면 우스꽝스러워진다"며 "얼굴에 한글을 쓰는 것에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나"라며 비꼬았다.

이러한 조롱에 한국 누리꾼들은 "'파묘'는 한국의 영화이기에 중국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 "괜한 트집 잡기 하지 마라" 등 지적했다.

영화에서는 무속인 봉길 역의 이도현이 온몸에 축경(태을보신경)을 새긴 모습으로 등장한다. 풍수사 상덕 역의 최민식, 장의사 영근 역의 유해진, 무속인 화림 역의 김고은이 극 중 '험한 것'에 맞서기 위해 얼굴에 금강경을 그려넣는다.
영화 '파묘' 스페셜 포스터  / 사진제공=쇼박스
영화 '파묘' 스페셜 포스터 / 사진제공=쇼박스
이러한 트집잡기에도 아이러니한 것은 '파묘'를 본 중국 누리꾼들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파묘'는 중국에서 정식 개봉하지 않은 상태. 불법적인 '도둑 시청'을 한 것이다. 21일 기준 중국 콘텐츠 리뷰 사이트인 '더우반'에는 '파묘' 리뷰가 1165개나 있다.

중국의 한국 콘텐츠 훔쳐보기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세계적으로 화제가 된 넷플릭스 '오징어게임'은 중국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았다. 중국은 넷플릭스가 서비스되지 않은 국가. 많은 중국인이 우회해서 시청했거나 불법 사이트를 통해서 봤다는 이야기다.

이를 두고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중국 당국이 모르는 게 아니다. 알면서도 지금까지 K콘텐츠에 대한 '도둑시청'을 눈감아 왔던 게 사실"이라며 "이제부터라도 중국 당국은 다른 나라 문화를 먼저 존중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반드시 행동으로 보여줘야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식 개봉하지 않은 국가에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는 '파묘'는 현재 국내에서 천만까지 약 50만 명 남았다.

김지원 텐아시아 기자 bella@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