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 김한민 감독 인터뷰
김한민 감독. /사진제공=롯데엔터테인먼트
김한민 감독. /사진제공=롯데엔터테인먼트
10여 년간의 시간을 한 사람에게 매달린다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 2014년 '명량', 2022년 '한산: 용의 출현', 2023년 '노량: 죽음의 바다'까지. 김한민 감독의 지난 10년은 충무공(忠武公) 이순신에게 몰두하던 기간이었다. 때로는 지치고 고되기도 했을 테지만, 김한민 감독은 본인만의 뚝심과 배짱으로 밀어붙였다.

이순신 3부작은 각기 다른 모습으로 그려진다. '명량'의 용장(勇將)으로서의 면모 지닌 최민식, '한산'의 지장(智將)으로서의 모습 담은 박해일, '노량'은 현장(賢將)으로서의 태도 지닌 김윤석까지. 이순신의 겉모습은 달랐지만, 동일한 것은 지난한 전쟁을 견뎌내고 무사로서의 기개를 지닌 그야말로 성웅(聖雄)이었다. 7년간 진행된 임진왜란을 버티듯, 꿋꿋하게 이순신을 그리고자 했던 김한민 감독의 집요한 묵묵함에 박수를 보내고 싶다.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 스틸컷. /사진제공=롯데엔터테인먼트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 스틸컷. /사진제공=롯데엔터테인먼트
'명량'(2014), '한산: 용의 출현'(2022), '노량: 죽음의 바다'(2023)에 이르는 이순신 3부작의 대장정을 마무리한 김한민 감독은 소회를 밝혔다. 그는 "1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더라. '명량'이 흥행적으로 성공을 거뒀기에, '한산', '노량'을 후속편으로 가는 식은 안 된다고 생각했다.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지 철저하게 생각하게 되었다. 그렇게 해야 매너리즘에 빠지지 않을 수 있고, 관객들에게도 의미가 있겠다고 생각했다"라고 이야기했다.

10여년 간의 프로젝트를 준비해오면서 부담감도 컸을 테지만, '노량'은 의외로 담백하고 고요하게 밀어붙이는 구석이 있다. 김한민 감독은 이순신의 입을 빌어 '완전한 항복'에 대해 표현하고 싶었다고. 그는 "'노량'을 만들어야 하는 이유를 찾았던 것 같다. '완전한 항복'이라는 대사가 이 노량을 만드는 의미이자 대의라고 판단했다. 사실 '난중일기'의 어디를 봐도 그런 대사는 없다. 하지만 완전한 종결이라는 것이 이순신 장군이 바라던 전쟁의 모습이 아니었겠느냐는 생각이었다"라고 설명했다.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 스틸컷. /사진제공=롯데엔터테인먼트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 스틸컷. /사진제공=롯데엔터테인먼트
'명량'의 최민식, '한산: 용의 출현'의 박해일에 이어 '노량: 죽음의 바다'의 김윤석을 캐스팅한 이유에 대해 김한민 감독은 "이순신의 모습은 각기 다르다. '명량'의 용장(勇將), '한산'이 지장(智將), '노량'은 현장(賢將)이다. '명량'은 두려움을 극복한 장수 느낌의 최민식, '한산'은 지략과 정보전에 있어서 능수능란한 예민하게 반응하는 느낌의 박해일이, '노량'에서 이순신은 그 두 가지의 면모를 다 갖춘 배우로서 김윤석이었다. 김윤석은 되게 희귀하고 귀한 느낌의 배우였던 것 같다"라고 애정을 드러냈다.

"나의 죽음을 적들에게 알리지 마라" 누구나 익숙하게 한 번쯤은 들어본, 이순신이 전사하기 전에 내뱉었던 말을 어떤 식으로 표현할지 고민이 많았다고 밝힌 김한민 감독은 "그 장면은 뺄까도 생각했다. 괜히 찍었다가 득이 될 것 같지 않은 느낌이었다. 빼는 것이 오히려 참신하지 않겠느냐는 얕은 생각도 했다. 다만 타이밍적으로 관객들이 원할 때 말고 다른 곳에 넣자고 생각했다"라며 고민했던 지점을 털어놨다.

오랜 기간 영화를 제작하며, 7년간 진행된 임진왜란을 들여다보며 느낀 이순신이라는 인물을 어떤지 묻자 김한민 감독은 "임진왜란은 한마디로 처참했지만 지리한 전쟁이었다. 그 중심에 이순신과 백성들이 있었다. 이순신은 들여다보면 볼수록 위대한 면모가 드러나는 것 같다"라고 답했다. 이어 10여년간 이순신 삼부작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김한민 감독은 이순신 장군이 한 번도 꿈에 나오지 않았다며 "아마 이순신 장군에게도 거슬림이 없어서이지 않을까(웃음) 그랬다면 호통을 치셨을 텐데. 나름 위안으로 삼는다"라고 덧붙였다.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 스틸컷. /사진제공=롯데엔터테인먼트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 스틸컷. /사진제공=롯데엔터테인먼트
명나라-왜군-조선군을 균형 잡힌 시선으로 바라보는 '노량', 그중에서도 100여분 간의 해전 신 중 일반 병사들의 눈으로 바라본 독특한 롱테이크가 시선을 사로잡는다. 김한민 감독은 해당 시퀀스의 비하인드에 대해 "치열한 전장의 중심에 어떻게 이순신이 설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컸다. 명나라-조선-왜군-고함 지르는 이순신의 모습으로 설계했을 때, 모든 스태프가 어떻게 찍을지를 묻더라. 하지만 이순신 장군의 그 느낌이 고스란히 전달될 수 있을 것 같았다"라고 답변했다.

극 중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 역에 박용우, 광해 역에 이제훈, 이순신의 셋째 아들 이면 역에 여진구가 특별 출연한다. 어떠한 인연으로 '노량'에 특별출연을 하게 되었는지 연유를 묻자 김한민 감독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임팩트 있게 해줄 만한 배우가 누구일지를 생각했을 때, 박용우 배우였다. 두말 하지 않고 해주더라. 광해 역의 이제훈 배우는 소속사와 친분이 있었다. 차분하면서도 결기가 있는 모습이 광해와도 같았다. 아들 이면의 여진구는 성실하면서도 효심이 보이는 느낌이 마음에 들어서 제안하게 됐다"라고 언급했다.
김한민 감독. /사진제공=롯데엔터테인먼트
김한민 감독. /사진제공=롯데엔터테인먼트
김한민 감독은 이순신 3부작을 마무리하고, 다시금 7년간의 임진왜란을 다룬 드라마를 기획한다는 계획을 전했다. 그는 "드라마는 7년을 다루는 정치 외교사적 입장이고, 이순신 3부작은 전쟁 액션 영화다. 사실 임진왜란을 안 들여다볼 수 없었다. 정치 외교사적으로 흥미로운 부분들이 있었기에. (드라마의 경우) 우리가 알고 있는 한음 이덕형의 이야기다. 그는 광해 때까지 정치에 있었고 인조반정이 나면서 정치를 내려왔다"라고 소개했다.

2007년 영화 '극락도 살인사건'으로 데뷔한 김한민 감독은 '최종병기 활'(2011), '명량', '한산: 용의 출현', '노량: 죽음의 바다'에 이르기까지 줄곧 사극 장르만 해온바. 혹시나 현대극을 연출하고픈 갈증은 없느냐는 질문에 전하고픈 메시지는 동일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김한민 감독은 "현대극을 찍을 수 있다면 하겠지만, 따로 영역이 있는 것 같다. 지금 영화로서 기획하는 것은 SF다. 사극과 SF가 전혀 연결고리가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꼭 그렇지는 않은 것 같다. 과거나 미래이냐의 문제지. 메시지를 던지는 지점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 같다"라며 미소를 지어 보였다.

이하늘 텐아시아 기자 greenworld@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