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원 성수동 건물 공실…매년 2억원 손실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High risk, High return)의 구조
법인 설립, 신의 한 수…세금 절감의 통로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High risk, High return)의 구조
법인 설립, 신의 한 수…세금 절감의 통로

건물주가 됐다는 연예인들의 소식이 연이어 전해지고 있다. 빌딩 등 건물에 투자하는 건 수익이 들쑥 날쑥한 연예인들에게는 보험과도 같은 성격이다. 부동산에 투자했다고 하면 리스크가 낮을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연예인들의 투자는 결코 그렇지 않다. 사업 못지 않은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High risk, High return)의 구조가 많다. 그러다보니 성공과 실패 사례가 극명하게 나뉜다.
이효리, 이상순 부부는 지난 6월 한남동 건물을 매각했다. 2019년 58억 2000만 원에 매입한 건물을 올해 88억 원에 매각해 시세 차익 약 30억 원을 남겼다. 서태지는 2002년 50억 원에 매입한 건물을 올해 387억 원에 매각하며 시세 차익 약 300억 원을 남겼다. 이외에도 류준열, SS501 박정민, 송혜교 등 매입가 이상의 이익을 거뒀다.
ADVERTISEMENT
부동산 등기부등본에 따르면 해당 건물에 설정된 채권최고액은 90억원 수준이다. 채권최고액이 보통 대출의 120%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약 80억 원의 대출 금액이 예상된다. 하지원이 매달 내야하는 이자가 2600만원(연 금리 4% 수준), 매년 약 2억 원이란 이야기다.
성공과 실패를 모두 경험하고 있는 연예인은 가수 비와 배우 김태희 부부다. 비는 지난 2008년 168억원에 매입해 소속사 사옥으로 쓰던 청담동 건물을 지난해 6월 459억원에 매각했다. 차익은 327억원이지만, 보유 기간을 따져보면 큰 수익은 아니라는 평가가 많다. 김태희도 132억원에 매입한 서울 역삼동 빌딩을 지난해 3월 203억원에 매각, 71억원의 차익을 냈다.
ADVERTISEMENT
이런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연예인들이 건물 매입에 적극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소득 불안정성과 투자처 다각화가 가장 큰 이유다. 한 번 활동할 때 크게 벌고, 휴식기에는 돈이 일정하게 들어오지 않는 것. 건물주가 됨으로서 안정적인 수입원을 확보할 수 있다는 얘기다. 또 주식 등 금융투자 대비 논란이 생길 가능성이 적다.

나덕규 세무사는 "법인을 설립해 취득세 중과를 피해 갈 수 있으며 보유 및 처분 수익에 대해서도 법인세율은 22%로 개인 최고 세율 49.5%보다 훨씬 낮다. 이런 이유로 연예인들이 부동산 가족 법인을 설립해 건물을 매입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걸로 보인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