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인·김영철, 이태원 참사' 원인 지목돼
근거없는 날조…'2차 가해' 경종
국가 애도 기간, 유가족 슬픔 위로할 때
근거없는 날조…'2차 가해' 경종
국가 애도 기간, 유가족 슬픔 위로할 때
배우 유아인과 방송인 김영철이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해명했다. 참사 직전 이들의 등장으로 인파가 몰렸다는 것. 해당 주장은 사실이 아니었다. 선동과 날조가 동반된 2차 피해에 씁쓸함이 더해졌다.
지난달 29일 밤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일대에는 핼러윈을 맞아 몰린 인파로 인해 대규모 압사 사고가 발생했다. 현재까지 사망자는 156명, 부상자는 157명으로 집계됐다.
생명에 경중은 없다. 다만 젊은이들의 집단적 비보는 사람들을 슬픔에 깊이를 더하고 있다. 국가 애도 기간이 가진 이유이기도. 현재 전국에서는 분향소가 설치돼, 사망자들의 마지막을 함께하고 있다.
전 국민이 슬픔에 빠진 상황. 선동성 주장과 음모론이 나오고 있다. 참담한 사고가 터지면, 자연스럽게 날조된 정보가 나온다. 이번에는 특정 유명인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허위 사실에 혼란만 남긴 이야기. 많은 이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
유아인이 도마 위에 올랐다. 유아인은 이태원 일대에 거주 중이다. 유아인의 등장에 사람들이 보기 위해 나왔다는 루머. 소속사 UAA 측은 "유아인은 이태원 참사와 무관하다"면서 "지난달 29일에 출국해 해외 체류 중"이라고 밝혔다. 근거 없는 루머에 유아인만 억울하게 된 모양새. 이뿐만 아니다. 김영철 역시 당일 이태원에 있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영철은 자신이 진행하는 라디오 방송을 통해 직접 해명했다.
그는 "29일 촬영이 있어 오후 8시쯤 이태원에서 짧게 촬영하고 철수했다"고 알렸다. 첫 사망 신고 접수 시간은 밤 10시 15분이다. 사고 발생 이전에 떠난 김영철은 억측을 감당해야 했다.
온 국민이 '이태원 참사'로 슬픔에 잠겼다. 추모가 끝나기도 전에 '마녀사냥'이 시작됐다. 젊은이들의 죽음에 애도의 감정 보다 원색적이고 자극적인 이슈에 집중되고 있다. 유가족들과 슬픔을 공유하고자 했던 마음이 '잘잘못 가리기'로 변색됐다.
잘잘못을 따지려 한다면 개인보다 제도를 비판해야 한다. 다수의 외신에서 같은 맥락의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밀라드 하가니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 교수의 말을 인용해 "분명 피할 수 있던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경찰이나 관련 당국은 이 골목이 위험한 병목 지역이라는 점을 파악하고 있었어야 한다"며 "그러나 경찰도, 서울시도, 중앙정부도 이 지역의 군중 관리 계획을 수립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정부는 현재 '이태원 참사' 사실 규명에 집중하고 있다. 원인과 책임자들의 잘못이 드러나면, 제도적 보완도 진행할 방침이다. 명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과정인 것. 하지만, 이미 누군가는 특정 인물을 죄인으로 단정 지어 혼란만을 야기하고 있다.
국가 애도 기간은 오는 5일까지다. '국가 애도 기간'이란 국가와 국민이 서로를 향한 비난, 이해 충돌은 잠시 내려두고 사망자를 추모한다는 뜻이다. 선동과 음모로 조작된 정보에 신경 쓸 여유는 없다. 또한 2차 피해가 나와서도 안 된다.
윤준호 텐아시아 기자 delo410@tenasia.co.kr
지난달 29일 밤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일대에는 핼러윈을 맞아 몰린 인파로 인해 대규모 압사 사고가 발생했다. 현재까지 사망자는 156명, 부상자는 157명으로 집계됐다.
생명에 경중은 없다. 다만 젊은이들의 집단적 비보는 사람들을 슬픔에 깊이를 더하고 있다. 국가 애도 기간이 가진 이유이기도. 현재 전국에서는 분향소가 설치돼, 사망자들의 마지막을 함께하고 있다.
전 국민이 슬픔에 빠진 상황. 선동성 주장과 음모론이 나오고 있다. 참담한 사고가 터지면, 자연스럽게 날조된 정보가 나온다. 이번에는 특정 유명인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허위 사실에 혼란만 남긴 이야기. 많은 이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
유아인이 도마 위에 올랐다. 유아인은 이태원 일대에 거주 중이다. 유아인의 등장에 사람들이 보기 위해 나왔다는 루머. 소속사 UAA 측은 "유아인은 이태원 참사와 무관하다"면서 "지난달 29일에 출국해 해외 체류 중"이라고 밝혔다. 근거 없는 루머에 유아인만 억울하게 된 모양새. 이뿐만 아니다. 김영철 역시 당일 이태원에 있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영철은 자신이 진행하는 라디오 방송을 통해 직접 해명했다.
그는 "29일 촬영이 있어 오후 8시쯤 이태원에서 짧게 촬영하고 철수했다"고 알렸다. 첫 사망 신고 접수 시간은 밤 10시 15분이다. 사고 발생 이전에 떠난 김영철은 억측을 감당해야 했다.
온 국민이 '이태원 참사'로 슬픔에 잠겼다. 추모가 끝나기도 전에 '마녀사냥'이 시작됐다. 젊은이들의 죽음에 애도의 감정 보다 원색적이고 자극적인 이슈에 집중되고 있다. 유가족들과 슬픔을 공유하고자 했던 마음이 '잘잘못 가리기'로 변색됐다.
잘잘못을 따지려 한다면 개인보다 제도를 비판해야 한다. 다수의 외신에서 같은 맥락의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밀라드 하가니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 교수의 말을 인용해 "분명 피할 수 있던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경찰이나 관련 당국은 이 골목이 위험한 병목 지역이라는 점을 파악하고 있었어야 한다"며 "그러나 경찰도, 서울시도, 중앙정부도 이 지역의 군중 관리 계획을 수립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정부는 현재 '이태원 참사' 사실 규명에 집중하고 있다. 원인과 책임자들의 잘못이 드러나면, 제도적 보완도 진행할 방침이다. 명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과정인 것. 하지만, 이미 누군가는 특정 인물을 죄인으로 단정 지어 혼란만을 야기하고 있다.
국가 애도 기간은 오는 5일까지다. '국가 애도 기간'이란 국가와 국민이 서로를 향한 비난, 이해 충돌은 잠시 내려두고 사망자를 추모한다는 뜻이다. 선동과 음모로 조작된 정보에 신경 쓸 여유는 없다. 또한 2차 피해가 나와서도 안 된다.
윤준호 텐아시아 기자 delo410@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