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율│생율밤이로구나
이율│생율밤이로구나
밤톨 같은 사내의 등장이었다. 짧은 머리는 만지면 ‘쓱싹’이라는 소리가 날 것 같이 동그랗고 맨들맨들했다. 온몸이 긴장으로 바짝 경직된 순간에도 애써 여유를 만들며 “널 유혹하겠어”라 속삭였다. 사내의 이름은 이율. 그는 제 이름과 꼭 닮은 모습으로 2007년 에 나타났다. 데뷔작, 2인극, 살인 그리고 동성애. 아직 채 빠지지 않은 뽀얀 볼살을 소년처럼 간직한 스물넷의 이율은 자신에게 주어진 불안하고 두려운 짐을 스스로 밀어버린 머리에 드러냈다. 슬픈 피아노 선율 위 600개의 눈앞에 당당히 선 이율만의 인사는 제법 강렬했고, “능력에 비해 많은 인기”를 얻었다. 하지만 딱 그만큼 “모든 작품이 와 비교”되기 시작하면서 그는 흔적을 지우듯 더 큰 보폭으로 멀찍이 달아났다. 4년간 코미디부터 멜로, 성장드라마, 고전에 이르기까지 가능한 모든 무대를 껴안았고, “20대 중반까지 똑같은 연기를 단 한 번도 하지 않았다”는 자신감도 함께 얻었다. 올 여름에 나타난 의 네이슨은 연신 ‘누나’를 연발하며 무대 위의 누나도, 무대 밖의 누나도 흔들어놓았다. 꼬집어주고 싶은 볼살도 여전했다. 그런데 그가 가쁜 숨을 몰아쉬며 잠시 멈춰 섰다.

숨고르기 끝에 시작되는 스퍼트
이율│생율밤이로구나
이율│생율밤이로구나
“잃으면 안 되는 것들이 조금씩 생겼어요.” 오히려 잃을 게 없어 자신감으로 충만했던 과거를 지나 자기만의 탑을 쌓아가는 이율에게 불어 온 제법 거센 바람. “이 끝나고 생각이 많아졌어요. 전 아예 극과 극의 캐릭터를 좋아했거든요. 그런데 사람들은 그 중간 것을 더 보고 싶어 하는 것 같아요. ‘대중예술가니까 대중에 맞춰가야지’라고 생각하다가도 제가 가진 것들이 없어지는 건 또 싫거든요.” 놓치고 싶지 않은 것들을 만난 그는, 익숙함을 선택했다. 페이스 조절이라는 이름을 붙여도 좋겠다. “를 하면서 스스로를 돌아볼까 해요. 무대를 날로 먹을 수도 없는 작품이고, 한번 경험이 있으니 편하기도 하고. 그러다보니 상대배우나 관객들이 나에게 기대고 있다는 게 느껴지는데 그런 부분은 제가 감수해야겠죠.” 그 어느 때보다 책임감이라는 단어의 무게를 온 몸으로 느끼며 이율이 바람에 나부낀다. “제 안에서 끊임없이 많은 질문이 생겨나요. 여전히 답을 못 내리고 있지만, 1년 후쯤엔 정리가 되어 있지 않을까요?” 숨고르기가 끝나면 마라톤은 다시 시작된다. 신은 감당할 수 있을 만큼의 시련과 능력을 준다고 했다. 차곡차곡 쌓인 고민 끝에 영글 이율의 열매가 기다려지는 것은 그래서다. 왠지 그 열매는 단맛부터 신맛까지 오묘하고도 환상적인 맛으로 모두를 현혹시킬 것만 같다.
이율│생율밤이로구나
이율│생율밤이로구나
My name is 이율.
1984년 2월 17일생. 형이 록을 좋아해서 어릴 때부터 임재범 씨 노래를 자주 들었다. 난 옛날부터 너무 좋아했었는데 요즘 사람들이 열광하는 게 좀 억울하다. 왜 그런 거 있지 않나. ‘숨겨두고 나만 좋아했으면 좋겠다’ 그런 느낌. 하하.
데뷔를 강한 캐릭터로 한다는 건 이후의 모든 작품들이 데뷔작과 비교된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여전히 가장 어려운 부분이지만, 지금의 와 그때의 를 비교한다면 내 연기에 있어서는 전자에 한 표를 주고 싶다. 처음으로 재공연에 참여한 작품이기도 해서 무대에서 편안해 보인다는 말을 가장 많이 듣는다. 역시 경험은 무시 못 하는 것 같다.
어느새 애교가 무기가 됐다. 의 ‘이율’도, 의 네이슨도 장난기가 많지만 미워할 수 없는 캐릭터들이다. 무대에서 몇 번 하다 보니 많이들 좋아해주시더라. 실제의 나는 그렇게까지 귀염성이 많진 않지만.
그렇다고 팬들의 환상을 깨고 싶지는 않다. 그건 하나의 이미지니까 소중히 간직해주셨으면 좋겠다. 하하하
대인관계가 나쁘지 않다. 이리저리 부르는 사람들이 많아서 집에도 좀 늦게 들어가는 편이고. 남자 선배들은 나를 같은 동료로 봐주는 반면, 누나 선배들은 좀 귀여운 동생으로 봐주시는 것 같다. 후훗
노래를 잘 했으면 홍광호 형보다 잘 나갔을 거다. 하하하. 노래방세대라서 자주 다니기는 했지만 연극을 주로 했고, 계원예고 시절에도 나는 뮤지컬을 하는 것보다 듣는 걸 좋아했다. 뮤지컬 역시 연기가 기본이라는 생각도 있고.
스스로에게 당근을 주는 타입이다. 못하는 부분은 빨리 포기하고 잘하는 부분을 극대화시켜서 더 장기를 만들자! 그런 주의지. 일에 있어서는 좀 긍정적이고 낙천적인 편이다.
그런데 올해 큰 시련이 있었다. 라는 마라톤 영화를 찍었는데, 두 무릎이 다 망가진 상태로 계속 뛰었다. 추운 날씨에 마라톤복 입고 계속 뛰고 대기하고 그러다보니 인대가 마르는 무릎 건염이라는 게 생겼다. 왼쪽이 먼저 다쳐서 오른쪽 무릎에 힘을 싣고 달렸더니 왼쪽이 나을 무렵에는 오른쪽이 아팠다. 결국엔 두 다리가 동시에 아팠다.
영화를 울면서 볼 것 같다. 많은 신에 출연하는 건 아니지만, 연기보다 무릎에 집중하는 시간이 너무 커서 후회가 많다. 좋은 기회에 좋은 기분으로 시작했는데 끝이 씁쓸했다. 다행히 지금은 다 나았다.
가을을 좀 타는 편이다. 서른이 멀지 않아서인 것 같다. 달력을 보다가 ‘작품 한두 개 하면 1년이 후딱 가네’ 라는 생각이 들었다. 데뷔 전에는 무한한 자신감과 믿음들이 있었는데, 슬슬 책임감이 자신감을 잡아먹기 시작한 단계인 것 같다.
그럴 때 마다 김달중 연출님에게 전적으로 기대는 편이다. 고등학교 은사님이고, 내 머리를 올려주셨고, 선생님 덕분에 영화도 찍을 수 있었다. 선생님은 너무 서둘러 가지 말라고 하신다. 고민은 당연한 거고 지금 잘 하고 있으니 그냥 하라고. 조언이라는 게 딱히 없는데, 난 그 그냥이라는 말이 가장 좋더라.

글. 장경진 three@
사진. 채기원 ten@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