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박 2일’ 같은 경우는 어떻게 보면 손님처럼 찾았다가 어쩌다보니 결과적으로 가장 큰 형이 되어버렸어요. 물론 너무나 알아서 잘하는 동생들이라 별 걱정은 없겠지만 그래도 맏형으로서 오는 부담은 있나요.
엄태웅: 부담보다는 너무 고맙죠. 한 때는 제가 짐이 되는 기분이 들어서 멤버들에게 미안한 기분도 들었는데 그런 저를 내치는 게 아니라 다 같이 으?으? 해서 같이 가주고 이 이야기가 어떻게 가야지 가장 멋있는지, 이 상황이 어떻게 가야지 가장 최선이라는가를 늘 같이 걱정해줘요. 물론 5명이 하다 보니까 찍어야 할 분량도 부담도 많아지는데 그래도 녹화 다 끝내고 올라올 때는 정말 놀다 오는 것처럼 킥킥대면서 와요. 제가 진행을 잘하는 사람도 아니고 웃기는 것도 아니고 그냥 가서 최대한 즐겁게 놀다 오는 것, 그게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이니까요. 처음엔 재밌게 놀아야지, 내 본 모습을 보여줘야지 하다가도 코앞에서 카메라가 돌아가는 상황에서는 그게 안 되더라고요. 괜히 모범적이어야 하나, 이래도 되나 싶고. 그런데 이제는 좀 창피한 행동을 해도 바보 같다기보다는 재밌다는 생각이 드니까 좋아요.
‘뽀숑’ 대신 난데없는 “꽈랑꽈랑”을 외치게 되는 상황 같은 거 말이죠? (웃음)
엄태웅: 네, 그런 것들이 너무 재밌어요.
그건 멤버들 뿐 아니라 내가 어떤 짓을 해도 밉지 않게 편집해 줄 거라는 믿음이 쌓여서 기도 하겠죠?
엄태웅: 예, 그렇죠. 제작진도 이제는 편해지니까. 예전엔 나이는 조금 어린데 나영석 PD에게도 작가들에게도 말을 편하게 잘 못 놓겠더라고요. 이제는 형이라고 부르니까. 멤버나 제작진들이 내가 이상한 장난을 쳐도 받아주고 이해해줄거라는 믿음이 있어요. 예전엔 생각이 있어도 머릿속에만 있었지 꺼내지 못했는데 지금은 머리에 있으면 일단 하고 보는 거죠.
그래서 확실히 ‘감` 잡으신 것 같나요?
엄태웅: 어떻게 하고 놀면 되겠구나, 정도는 알게 된 것 같아요. 섭외하러 나 PD가 왔을 때 처음에 나는 아무것도 못한다고 했어요. 그때 아무것도 안 해도 된다고 했는데, 그 말이 이거구나 생각하게 되죠. 내가 내 모습 보여주면서 같이 놀 수 있으면 된다는 말이었는데, 스스로 그걸 깨닫기 까지가 시간이 걸린 거죠.
영화의 단역에서 조연으로 그러다가 드라마에서 다시 영화로 김유신에서 ‘1박 2일`로 서서히 조금씩 더 넓게 대중들을 만나고 있습니다. 이런 변화들이 태도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게 있나요?
엄태웅: 그냥 영화만 하다가 <선덕여왕>을 하게 되니까 휴게소에서 만난 분들이 “김유신 화이팅!”하고 지나가고 어딜 가면 장군님, 장군님 하고. 그런데 ‘1박 2일’을 하니까 이건 뭐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지금은 어딜 가면 밥값도 내주시고, 손도 만지고 그러세요. 그런데 이게 좀 힘든 게 방송을 할 때는 그나마 괜찮은데 정말 나인 순간에는 여전히 대처하기 쑥스럽고 배우 감성으로 돌아오는 순간에는 약간은 도망가게 되더라고요. 그런 게 아직은 서툴고 힘들어요.
갑작스러운 강호동 씨의 부재가 주는 빈자리는 당연히 크지만 이 사건이 엄태웅 씨 본인을 비롯해서 멤버들에게 긍정적인 자극이 되는 부분도 분명 있었죠?
엄태웅: 분명 있겠죠. 호동이 형이 있었을 때는 특별히 제가 뭘 안 해도 너무 잘해주시니까 더 가만히 있었던 것 같아요. 그런데 호동이 형이 빠지게 되면서 그 다음에 오프닝에 나가는데 어휴- 이거 막막하더라고. 그래서 멤버들이 모여서 우리가 한마디라도 더 해야겠다고 끝까지 잘하자 했죠. 어차피 시한부로 정해진 운명이긴 하지만 마지막까지 열심히 하자고 화이팅하고 들어갔어요. 한 사람이 없는 시간을 다른 멤버들이 메워야 하니까 신경 써야 하는 부분도 있겠지만 한 회를 해보고 나니까 이렇게 가야겠구나 하는 게 조금 보이기도 한 것 같아요. 나 PD는 “이 형이 작정하고 왔네”라고 하는데 그런 건 아니고. 아마 시청자들도 아버지 없는 집안의 형제들이 힘 합쳐 사는 걸 보는 것 같은 대견함이랄까 그렇게 예쁘게 봐주시는 것 같기도 하고요.
시련이 닥쳐 올수록 더 강해지는 타입인가요?
엄태웅: 뭐든지 닥쳐야 하는 스타일인 것 같아요. 남들 역할은 대충 얼개가 보이는데, 제 촬영은 들어가기 전까진 전혀 모르겠더라고요. 하지만 한 회 두 해 들어가면서 그냥 닥치면서 배워요. 몇 대 맞아봐야지 화도 나고 반격도 하는 스타일이지 처음부터 확 때리고 들어가는 스타일은 아닌 것 같아요.
운영하는 트위터는 거의 애견인 모임장이랄까, 잃어버린 개 찾는 게시판 같기도 하고요.
엄태웅: 처음엔 재밌어서 하다가 시간이 지나면 좀 시들해지잖아요. 그런데 제가 개를 잃어버렸고 어떤 분들은 제 트위터를 통해서 잃어버린 개를 찾기도 하고 그랬어요. 백통이가 지금도 어디선가 잘 지내고 있으면 좋겠어요.
동물은 어릴 때부터 좋아하셨나요?
엄태웅: 어머님은 개를 싫어하셨고 누나들은 예뻐했지만 저처럼은 아니었고, 그런데 저는 늘 옆에 개가 한 마리는 있어야 안정이 됐어요. 어릴 적에 전학을 많이 다녔는데 친해지고 헤어지고 하는 게 싫어지는 시기가 있었어요. 그래도 집에 가면 안 헤어져도 되는 친구가 있다는 게 그렇게 좋더라고요. 어릴 때 돈도 없는 게 그렇게 개를 구하러 다니고 그랬어요.
누나 많은 집안에서 자란 사람이라는 생각이 안들 정도로 독특한 남성미가 있는데요. 어른 남자로서의 롤 모델은 어디서 찾게 되었나요?
엄태웅: 어릴 때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늘 누나들 틈에서 자라다보니 결국 영화나 드라마에서 그런 비슷한 존재를 찾게 된 것 같아요. 굳이 꼽으라면 최민수 선배님? <사랑이 뭐길래>의 대발이에서 <모래시계> 태수를 오갈 수 있는 귀엽기도 하고 강하기도 한 남자. 겉이 센 사람이 속에는 쓸쓸함과 고독함이 있는. 의외성이 있달까. 그래서 고등학교 때 비슷하게 하고 다녔어요. 찢어진 청바지에 말 구두 신고 가서 학교에서 맞고. (웃음) 당시 토요일에는 최민수 선배님이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를 진행하고 계셨는데 그래서 저도 토요일에는 머리를 올백으로 넘기고 평일에는 <무동이네 집> 같은 순진한 스타일로 다니고 그랬죠. 지금 생각해보니 <제주도 푸른 밤>을 찍을 때 감독님이 “넌 되게 귀여운 마초 같아”라고 하셨는데 그런 영향도 있었던 것 같네요.
<부활>이라는 작품이 엄태웅이라는 배우를 발견하게 했고 이후 많은 기대를 안겨주기도 했지만 그 이후 드라마들에서 약간의 정체기를 겪었던 것도 사실인 것 같아요. 어떻게 보면 슬럼프에 가까운 그 시간들은 어떻게 이겨내셨나요.
엄태웅: 예, 사실 그 이후 거품…도 많았고, 결국은 시간… 인 것 같아요. 시간. 누구에게 이야기 한다고 풀어지는 것도 아니니까. 곪고 터지고 곪고 터지고 그러는 거죠. 방법이 없더라고요. <부활> 끝나고 나니까 사람들이 연기 잘한다고 했는데 사실 그렇진 않았거든요. 그러니까 늘 다음 작품에서 ‘뽀록’나면 어떻게 하나, 들키면 어떻게 하나 그게 항상 불안하고 걱정이었던 것 같아요. 지금은 패를 깐 상태니까 이제는 재밌게 잘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죠. 그 전에는 일에 눌려서 잘해가야 하는 숙제처럼 했는데 이제는 정말 즐기면서 일을 하게 된 것 같아요.
‘1박 2일’이 예능을 떠나 어떤 남자들의 드라마라면 혹시 생각하고 있는 라스트 신이 있나요.
엄태웅: 엄청 슬픈 라스트 신이 될 것 같아요. 저는 그나마 내년 2월이 되면 1년이지만 다른 멤버들은 3, 4년씩 함께 한 사람들이고 (이)수근이 같은 경우는 애가 5살이 될 정도의 시간이잖아요. 스태프나 연기자들이나 얼마나 슬플까 생각하면 너무 울컥해서 더 이상 생각을 안 하게 되더라고요. 정말 있어야 할 멤버도 없는 상태니까. 물론 웃으면서 다 행복한 엔딩이 됐으면 좋겠는데 절망적이라서가 아니라 어쩔 수 없이 정말 많이 울 게 될 것은 느낌이 들어요.
<10 아시아>와 사전협의 없이 본 기사의 무단 인용이나 도용,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엄태웅: 부담보다는 너무 고맙죠. 한 때는 제가 짐이 되는 기분이 들어서 멤버들에게 미안한 기분도 들었는데 그런 저를 내치는 게 아니라 다 같이 으?으? 해서 같이 가주고 이 이야기가 어떻게 가야지 가장 멋있는지, 이 상황이 어떻게 가야지 가장 최선이라는가를 늘 같이 걱정해줘요. 물론 5명이 하다 보니까 찍어야 할 분량도 부담도 많아지는데 그래도 녹화 다 끝내고 올라올 때는 정말 놀다 오는 것처럼 킥킥대면서 와요. 제가 진행을 잘하는 사람도 아니고 웃기는 것도 아니고 그냥 가서 최대한 즐겁게 놀다 오는 것, 그게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이니까요. 처음엔 재밌게 놀아야지, 내 본 모습을 보여줘야지 하다가도 코앞에서 카메라가 돌아가는 상황에서는 그게 안 되더라고요. 괜히 모범적이어야 하나, 이래도 되나 싶고. 그런데 이제는 좀 창피한 행동을 해도 바보 같다기보다는 재밌다는 생각이 드니까 좋아요.
“그냥 닥치면서 배워요”
엄태웅: 네, 그런 것들이 너무 재밌어요.
그건 멤버들 뿐 아니라 내가 어떤 짓을 해도 밉지 않게 편집해 줄 거라는 믿음이 쌓여서 기도 하겠죠?
엄태웅: 예, 그렇죠. 제작진도 이제는 편해지니까. 예전엔 나이는 조금 어린데 나영석 PD에게도 작가들에게도 말을 편하게 잘 못 놓겠더라고요. 이제는 형이라고 부르니까. 멤버나 제작진들이 내가 이상한 장난을 쳐도 받아주고 이해해줄거라는 믿음이 있어요. 예전엔 생각이 있어도 머릿속에만 있었지 꺼내지 못했는데 지금은 머리에 있으면 일단 하고 보는 거죠.
그래서 확실히 ‘감` 잡으신 것 같나요?
엄태웅: 어떻게 하고 놀면 되겠구나, 정도는 알게 된 것 같아요. 섭외하러 나 PD가 왔을 때 처음에 나는 아무것도 못한다고 했어요. 그때 아무것도 안 해도 된다고 했는데, 그 말이 이거구나 생각하게 되죠. 내가 내 모습 보여주면서 같이 놀 수 있으면 된다는 말이었는데, 스스로 그걸 깨닫기 까지가 시간이 걸린 거죠.
영화의 단역에서 조연으로 그러다가 드라마에서 다시 영화로 김유신에서 ‘1박 2일`로 서서히 조금씩 더 넓게 대중들을 만나고 있습니다. 이런 변화들이 태도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게 있나요?
엄태웅: 그냥 영화만 하다가 <선덕여왕>을 하게 되니까 휴게소에서 만난 분들이 “김유신 화이팅!”하고 지나가고 어딜 가면 장군님, 장군님 하고. 그런데 ‘1박 2일’을 하니까 이건 뭐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지금은 어딜 가면 밥값도 내주시고, 손도 만지고 그러세요. 그런데 이게 좀 힘든 게 방송을 할 때는 그나마 괜찮은데 정말 나인 순간에는 여전히 대처하기 쑥스럽고 배우 감성으로 돌아오는 순간에는 약간은 도망가게 되더라고요. 그런 게 아직은 서툴고 힘들어요.
갑작스러운 강호동 씨의 부재가 주는 빈자리는 당연히 크지만 이 사건이 엄태웅 씨 본인을 비롯해서 멤버들에게 긍정적인 자극이 되는 부분도 분명 있었죠?
엄태웅: 분명 있겠죠. 호동이 형이 있었을 때는 특별히 제가 뭘 안 해도 너무 잘해주시니까 더 가만히 있었던 것 같아요. 그런데 호동이 형이 빠지게 되면서 그 다음에 오프닝에 나가는데 어휴- 이거 막막하더라고. 그래서 멤버들이 모여서 우리가 한마디라도 더 해야겠다고 끝까지 잘하자 했죠. 어차피 시한부로 정해진 운명이긴 하지만 마지막까지 열심히 하자고 화이팅하고 들어갔어요. 한 사람이 없는 시간을 다른 멤버들이 메워야 하니까 신경 써야 하는 부분도 있겠지만 한 회를 해보고 나니까 이렇게 가야겠구나 하는 게 조금 보이기도 한 것 같아요. 나 PD는 “이 형이 작정하고 왔네”라고 하는데 그런 건 아니고. 아마 시청자들도 아버지 없는 집안의 형제들이 힘 합쳐 사는 걸 보는 것 같은 대견함이랄까 그렇게 예쁘게 봐주시는 것 같기도 하고요.
시련이 닥쳐 올수록 더 강해지는 타입인가요?
엄태웅: 뭐든지 닥쳐야 하는 스타일인 것 같아요. 남들 역할은 대충 얼개가 보이는데, 제 촬영은 들어가기 전까진 전혀 모르겠더라고요. 하지만 한 회 두 해 들어가면서 그냥 닥치면서 배워요. 몇 대 맞아봐야지 화도 나고 반격도 하는 스타일이지 처음부터 확 때리고 들어가는 스타일은 아닌 것 같아요.
“영화나 드라마에서 어른 남자의 존재를 찾게 된 것 같아요”
엄태웅: 처음엔 재밌어서 하다가 시간이 지나면 좀 시들해지잖아요. 그런데 제가 개를 잃어버렸고 어떤 분들은 제 트위터를 통해서 잃어버린 개를 찾기도 하고 그랬어요. 백통이가 지금도 어디선가 잘 지내고 있으면 좋겠어요.
동물은 어릴 때부터 좋아하셨나요?
엄태웅: 어머님은 개를 싫어하셨고 누나들은 예뻐했지만 저처럼은 아니었고, 그런데 저는 늘 옆에 개가 한 마리는 있어야 안정이 됐어요. 어릴 적에 전학을 많이 다녔는데 친해지고 헤어지고 하는 게 싫어지는 시기가 있었어요. 그래도 집에 가면 안 헤어져도 되는 친구가 있다는 게 그렇게 좋더라고요. 어릴 때 돈도 없는 게 그렇게 개를 구하러 다니고 그랬어요.
누나 많은 집안에서 자란 사람이라는 생각이 안들 정도로 독특한 남성미가 있는데요. 어른 남자로서의 롤 모델은 어디서 찾게 되었나요?
엄태웅: 어릴 때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늘 누나들 틈에서 자라다보니 결국 영화나 드라마에서 그런 비슷한 존재를 찾게 된 것 같아요. 굳이 꼽으라면 최민수 선배님? <사랑이 뭐길래>의 대발이에서 <모래시계> 태수를 오갈 수 있는 귀엽기도 하고 강하기도 한 남자. 겉이 센 사람이 속에는 쓸쓸함과 고독함이 있는. 의외성이 있달까. 그래서 고등학교 때 비슷하게 하고 다녔어요. 찢어진 청바지에 말 구두 신고 가서 학교에서 맞고. (웃음) 당시 토요일에는 최민수 선배님이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를 진행하고 계셨는데 그래서 저도 토요일에는 머리를 올백으로 넘기고 평일에는 <무동이네 집> 같은 순진한 스타일로 다니고 그랬죠. 지금 생각해보니 <제주도 푸른 밤>을 찍을 때 감독님이 “넌 되게 귀여운 마초 같아”라고 하셨는데 그런 영향도 있었던 것 같네요.
<부활>이라는 작품이 엄태웅이라는 배우를 발견하게 했고 이후 많은 기대를 안겨주기도 했지만 그 이후 드라마들에서 약간의 정체기를 겪었던 것도 사실인 것 같아요. 어떻게 보면 슬럼프에 가까운 그 시간들은 어떻게 이겨내셨나요.
엄태웅: 예, 사실 그 이후 거품…도 많았고, 결국은 시간… 인 것 같아요. 시간. 누구에게 이야기 한다고 풀어지는 것도 아니니까. 곪고 터지고 곪고 터지고 그러는 거죠. 방법이 없더라고요. <부활> 끝나고 나니까 사람들이 연기 잘한다고 했는데 사실 그렇진 않았거든요. 그러니까 늘 다음 작품에서 ‘뽀록’나면 어떻게 하나, 들키면 어떻게 하나 그게 항상 불안하고 걱정이었던 것 같아요. 지금은 패를 깐 상태니까 이제는 재밌게 잘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죠. 그 전에는 일에 눌려서 잘해가야 하는 숙제처럼 했는데 이제는 정말 즐기면서 일을 하게 된 것 같아요.
‘1박 2일’이 예능을 떠나 어떤 남자들의 드라마라면 혹시 생각하고 있는 라스트 신이 있나요.
엄태웅: 엄청 슬픈 라스트 신이 될 것 같아요. 저는 그나마 내년 2월이 되면 1년이지만 다른 멤버들은 3, 4년씩 함께 한 사람들이고 (이)수근이 같은 경우는 애가 5살이 될 정도의 시간이잖아요. 스태프나 연기자들이나 얼마나 슬플까 생각하면 너무 울컥해서 더 이상 생각을 안 하게 되더라고요. 정말 있어야 할 멤버도 없는 상태니까. 물론 웃으면서 다 행복한 엔딩이 됐으면 좋겠는데 절망적이라서가 아니라 어쩔 수 없이 정말 많이 울 게 될 것은 느낌이 들어요.
<10 아시아>와 사전협의 없이 본 기사의 무단 인용이나 도용,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