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아시아=박슬기 기자]
영화보다 더 영화 같았던 실화를 담은 영화 ‘1987’이 공개됐다.
‘1987’ 언론시사회 및 기자간담회가 13일 서울 용산구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개최됐다. 김윤석, 하정우, 유해진, 김태리, 박희순, 이희준, 장준환 감독이 참석했다. 장 감독과 배우들은 영화를 보고 난 뒤 먹먹함에 말을 잇지 못했다. 특히 장 감독은 몇 차례 눈물을 보였다.
‘1987’은 1987년 1월, 스물두 살 대학생이 경찰 조사 도중 사망하고 사건의 진상이 은폐되자 진실을 밝히기 위해 용기를 냈던 사람들의 가슴뛰는 이야기를 다룬 영화다. 장 감독은 “비록 상업영화지만 진심을 다했다. 1987년에 양심의 소리를 내고 길거리에 나와서 땀 흘리고 피 흘렸던 분들을 생각하면서 만든 영화”라고 소개했다.
장 감독은 “모두가 주인공이었던 그 해를 담고 싶었다. 결국에는 온 국민이 거리로 뛰쳐나와서 대통령 직선제를 쟁취해 낸 그런 의미가 있는 해였다”며 “1987년을 바라봤을 때 그 사람들의 온기, 양심을 저버릴 수 없었던, 두려움에 떨면서도 한 마디라도 내뱉어야 했던 사람들이 저한테 많은 용기와 힘이 됐다”고 영화 연출을 하게 된 이유를 밝혔다.
이어 “영화에서 각기 다른 캐릭터들이 모두 다 주인공이 되는, 그래서 결국에는 전 국민이 주인공이 되는 그런 구조를 만들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장 감독은 그 시절 겪었던 관객들이 영화를 봤을 때, 당시를 회상하고 감동 받을 수 있기를 바라 1987년 모습 그대로를 재현하고자 했다. 1980년대 후반의 모습은 거의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45,000평의 부지에 오픈 세트를 지었고 뜨거운 열기가 하나로 모였던 연세대학교 정문부터 시청 광장, 명동 거리, 유네스코 빌딩, 코리아 극장 등을 되살렸다. 건물의 사이즈부터 건축 자재 하나까지도 실제 당시에 사용했던 소재를 썼다.
특히 역사적인 사건의 진실을 대하는 느낌을 담아내기 위해 익숙한 화면 비율인 1.85:1을 선택하고 사실적인 접근으로 시작해 드라마틱한 순간을 담아내기 위한 노력을 했다. 영화의 전반부는 필름 영화가 주를 이뤘던 80년대 시절인 만큼 그 느낌이 잘 살아나는 렌즈를 사용했고 사실적인 접근을 위해서 핸드헬드 촬영으로 인물의 감정을 놓치지 않았다.
극 중 김윤석은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은폐를 지시하는 대공수사처 박 처장 역을 맡았다. 박 처장은 이번 영화에서 1950년 월남한 인물로 설정돼 김윤석은 평양 사투리를 구사하며 카리스마 있는 연기를 펼쳤다.
김윤석은 “극 중 ‘탁치니 억하고 죽었다’는 대사를 내가 하게 될 줄은 몰랐다. 그 말을 일간 신문에 도배된 것들을 본 세대”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30년 뒤에 내가 이 말을 하게 될 줄은 생각도 못했다. 사실 박종철 열사가 제 고등학교 1회 선배다. 그래서 이왕에 할 거 최선을 다하자고 해서 하게 됐다”고 작품 선택 이유를 밝혔다.
하정우는 박종철 사건에서 화장에 대한 동의를 거부하고 부검을 밀어붙이는 서울지검 최 검사 역을 맡았다. 위트 있는 연기로 극에 재미를 더했다. 그는 “극 중 남영동에 있는 인물들이 딱딱하고 수직적인 느낌이었다. 그래서 대항할 수 있는 게 물렁물렁한 캐릭터라고 생각했다”면서 “장 감독과 상의해서 좀 부드럽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김태리는 시국 문제로 시끄럽던 당시 87학번 대학 새내기 연희 역을 맡았다. 그는 교도관인 외삼촌 유해진의 부탁으로 옥중서신을 대신 전하기도 하지만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잘 아는 인물이다.
김태리는 “사실 시대를 바라보는 입장은 비관적이었다. 그런데 이 시나리오 속에서 연희는 저랑 닮았지만 분명히 다른 지점이 있었다”며 “선배 배우들도 말했지만 이 영화를 통해 희망을 볼 수 있었던 것 같다. 국민들이 광장에 모여서 힘과 에너지를 뿜어낼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됐고 그런 모습들을 연희라는 인물을 통해 보여드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1987’은 격렬하고 엄혹했던 당시의 시국과 참여자들의 피, 땀, 눈물을 최대한 현실감 있게 담아냈다. 이 시대를 겪었던 세대뿐만 아니라 2016년 광장에서 열린 촛불집회에 참여했던 이들, 또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모든 세대들에게 깊은 감동을 준다.
‘1987’은 오는 27일 개봉한다.
박슬기 기자 psg@tenasia.co.kr
‘1987’ 언론시사회 및 기자간담회가 13일 서울 용산구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개최됐다. 김윤석, 하정우, 유해진, 김태리, 박희순, 이희준, 장준환 감독이 참석했다. 장 감독과 배우들은 영화를 보고 난 뒤 먹먹함에 말을 잇지 못했다. 특히 장 감독은 몇 차례 눈물을 보였다.
‘1987’은 1987년 1월, 스물두 살 대학생이 경찰 조사 도중 사망하고 사건의 진상이 은폐되자 진실을 밝히기 위해 용기를 냈던 사람들의 가슴뛰는 이야기를 다룬 영화다. 장 감독은 “비록 상업영화지만 진심을 다했다. 1987년에 양심의 소리를 내고 길거리에 나와서 땀 흘리고 피 흘렸던 분들을 생각하면서 만든 영화”라고 소개했다.
장 감독은 “모두가 주인공이었던 그 해를 담고 싶었다. 결국에는 온 국민이 거리로 뛰쳐나와서 대통령 직선제를 쟁취해 낸 그런 의미가 있는 해였다”며 “1987년을 바라봤을 때 그 사람들의 온기, 양심을 저버릴 수 없었던, 두려움에 떨면서도 한 마디라도 내뱉어야 했던 사람들이 저한테 많은 용기와 힘이 됐다”고 영화 연출을 하게 된 이유를 밝혔다.
이어 “영화에서 각기 다른 캐릭터들이 모두 다 주인공이 되는, 그래서 결국에는 전 국민이 주인공이 되는 그런 구조를 만들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장 감독은 그 시절 겪었던 관객들이 영화를 봤을 때, 당시를 회상하고 감동 받을 수 있기를 바라 1987년 모습 그대로를 재현하고자 했다. 1980년대 후반의 모습은 거의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45,000평의 부지에 오픈 세트를 지었고 뜨거운 열기가 하나로 모였던 연세대학교 정문부터 시청 광장, 명동 거리, 유네스코 빌딩, 코리아 극장 등을 되살렸다. 건물의 사이즈부터 건축 자재 하나까지도 실제 당시에 사용했던 소재를 썼다.
특히 역사적인 사건의 진실을 대하는 느낌을 담아내기 위해 익숙한 화면 비율인 1.85:1을 선택하고 사실적인 접근으로 시작해 드라마틱한 순간을 담아내기 위한 노력을 했다. 영화의 전반부는 필름 영화가 주를 이뤘던 80년대 시절인 만큼 그 느낌이 잘 살아나는 렌즈를 사용했고 사실적인 접근을 위해서 핸드헬드 촬영으로 인물의 감정을 놓치지 않았다.
극 중 김윤석은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은폐를 지시하는 대공수사처 박 처장 역을 맡았다. 박 처장은 이번 영화에서 1950년 월남한 인물로 설정돼 김윤석은 평양 사투리를 구사하며 카리스마 있는 연기를 펼쳤다.
김윤석은 “극 중 ‘탁치니 억하고 죽었다’는 대사를 내가 하게 될 줄은 몰랐다. 그 말을 일간 신문에 도배된 것들을 본 세대”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30년 뒤에 내가 이 말을 하게 될 줄은 생각도 못했다. 사실 박종철 열사가 제 고등학교 1회 선배다. 그래서 이왕에 할 거 최선을 다하자고 해서 하게 됐다”고 작품 선택 이유를 밝혔다.
하정우는 박종철 사건에서 화장에 대한 동의를 거부하고 부검을 밀어붙이는 서울지검 최 검사 역을 맡았다. 위트 있는 연기로 극에 재미를 더했다. 그는 “극 중 남영동에 있는 인물들이 딱딱하고 수직적인 느낌이었다. 그래서 대항할 수 있는 게 물렁물렁한 캐릭터라고 생각했다”면서 “장 감독과 상의해서 좀 부드럽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김태리는 시국 문제로 시끄럽던 당시 87학번 대학 새내기 연희 역을 맡았다. 그는 교도관인 외삼촌 유해진의 부탁으로 옥중서신을 대신 전하기도 하지만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잘 아는 인물이다.
김태리는 “사실 시대를 바라보는 입장은 비관적이었다. 그런데 이 시나리오 속에서 연희는 저랑 닮았지만 분명히 다른 지점이 있었다”며 “선배 배우들도 말했지만 이 영화를 통해 희망을 볼 수 있었던 것 같다. 국민들이 광장에 모여서 힘과 에너지를 뿜어낼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됐고 그런 모습들을 연희라는 인물을 통해 보여드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1987’은 격렬하고 엄혹했던 당시의 시국과 참여자들의 피, 땀, 눈물을 최대한 현실감 있게 담아냈다. 이 시대를 겪었던 세대뿐만 아니라 2016년 광장에서 열린 촛불집회에 참여했던 이들, 또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모든 세대들에게 깊은 감동을 준다.
‘1987’은 오는 27일 개봉한다.
박슬기 기자 psg@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