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아시아=김지원 기자]
영화 ‘식구’ 포스터/사진제공=스톰픽쳐스코리아
영화 ‘식구’ 포스터/사진제공=스톰픽쳐스코리아
혈연으로 맺어진 가족이라는 끈끈한 관계. 누군가 이 강한 벽을 뚫고 들어오려 한다면 사람들은 어떻게 할까. 그런 의미에서 식구라는 말은 가족이라는 단어보다 좀 더 유연하게 느껴진다. 함께 밥을 먹는 누구라도 가족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두기 때문이다.

영화 ‘식구’는 장애인과 전과자 등 사회적으로 소외된 계층의 인물들이 한 지붕 아래 같이 사는 모습을 통해 가족의 의미를 돌아보게 한다. 또한 그들을 향한 사회의 불편한 시선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재구(윤박 분)는 출소 후 가족들에게 버림받고 도박장과 공사판을 전전하며 무의미한 날들을 보낸다. 한 끼를 때우기 위해 들어간 장례식장에서 재구는 지적장애인 순식(신정근 분)을 만난다. 다 된 밥상에 숟가락 하나 얹듯 순식을 얼렁뚱땅 ‘형’이라 부르며 그의 집에 객식구로 눌러앉는다.

그 집에는 순식과 그의 아내 애심(장소연 분), 딸 순영(고나희 분)이 살고 있다. 애심도 지적 장애를 갖고 있다. 하지만 그들의 딸은 여느 아이들과 다름없다. 차이가 있다면 좀 더 순수하다는 것. 남들 보기엔 장애인 부부가 어떻게 아이를 키우나 싶지만 세 사람은 어느 가정보다 행복하다.

재구는 막무가내로 이 집에 눌러앉긴 했지만 그래도 이들에게 꽤나 살갑게 군다. 순영을 데리고 놀이공원에 가기도 하고 공부를 가르쳐주기도 한다. 애심에게 계란후라이 하는 법을 알려주기도 한다. 동네 사람들에게는 자신을 순영의 ‘삼촌’이라고 소개한다.

하지만 순영과 둘만 집에 있을 때면 종종 그의 눈빛이 달라진다. 음흉한 시선으로 아이의 몸을 훑는다. 정신을 차리려 해도 재구는 자신을 제어하지 못한다. 재구의 이러한 이중적인 모습은 보는 이들을 혼란스럽게 한다. 재구가 원하던 것은 가족이 아니었나라는 의심이 들게 한다. “순영이에게 미안하다고 전해 달라. 형수에게도” “같이 살자”며 술에 취해 소리치는 재구를 보면 그래도 일말의 진심이 있지 않았나 생각이 들기도 한다.

영화 ‘식구’의 장소연(왼쪽부터), 고나희, 신정근./사진제공=스톰픽쳐스코리아
영화 ‘식구’의 장소연(왼쪽부터), 고나희, 신정근./사진제공=스톰픽쳐스코리아
‘식구’의 연출과 각본을 맡은 임영훈 감독은 언론시사회에서 “재구가 작품 속 인물 중 가장 소외된 사람”이라고 했다. “전과자는 사회에서 보호해주는 게 없다. 재구는 이 집에서 새로운 인생을 찾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전과자가 아니라 범죄자에게까지 동정의 시선을 보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도통 답을 알 수가 없다. 또한 순식과 애심에게 강압적인 힘을 행사하기도 하는 재구의 모습에서 이들을 모두 소외된 사람으로 여겨도 되는가하는 의문이 든다.

영화 마지막 부분에서 오열하는 순식을 관객들은 오히려 편안한 마음으로 동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울부짖음은 인정이 있는 사람이라면 특별한 이유 없이 공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순식은 “우리 행복하게 사는 데 왜 그러냐. 아무도 오지 마라. 나가라”며 감정을 폭발시킨다. 그렇게 자신들을 바라보는 불편한 시선에 맞선다.

추운 겨울에 개봉했다면 따뜻한 손난로 같은 영화가 됐을 것이다.

‘식구’는 오는 12일 개봉한다. 15세 관람가.

김지원 기자 bella@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