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백현, 민희진, 강다니엘/ 사진=텐아시아 사진 DB
왼쪽부터 백현, 민희진, 강다니엘/ 사진=텐아시아 사진 DB
6월 연예계가 소송전으로 뒤덮였다. 여러 아티스트가 컴백을 예고한 가운데, 즐거운 소식으로 가득해야 할 가요계는 속 시끄러운 소식으로 가득 찼다.

10일 그룹 엑소 첸백시 측과 SM 엔터테인먼트의 갈등이 다시 불거졌다. 첸백시의 소속사 INB100은 이날 오후 서울 신라호텔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SM이 합의 조건으로 제안해 INB100에 보장한 음반·음원 수수료율 5.5%를 불이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아티스트에게는 개인 활동이나 개인 음반 발매·콘서트·광고 등으로 올리는 매출의 10%를 요구하는 부당한 행동을 하고 있다"며 SM의 10%가 부당하다는 것을 주장하는 내용증명을 보냈으나, 2개월이 넘었는데도 SM은 아무 답변이 없다"고 말했다.

첸백시의 소속사 INB100은 차가원 피아크 그룹 회장과 가 MC몽이 공동 투자해 설립한 원헌드레드의 자회사로 지난달 편입됐다. 이 과정에서 템퍼링 의혹을 받기도 했다.

SM엔터는 공식 입장을 내고 "이 모든 사건의 본질은 당사 소속 아티스트들에 대한 MC몽, 차가원 측의 부당한 유인(템퍼링)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오래전부터 MC몽, 차가원 측은 당사와 전속계약이 유효하게 체결돼 있는 여러 아티스트들에게 접근해 왔다. 이후 첸백시 측은 유효하게 체결한 재계약을 무효화하기 위해 갖은 트집을 잡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첸백시/ 사진=텐아시아 사진 DB
첸백시/ 사진=텐아시아 사진 DB
더불어 "첸백시는 개인 법인 매출의 10%를 지급하는 등으로 합의서에 스스로 날인했다"며 "오늘 명확히 확인된 바와 같이, 첸백시의 INB100은 첸백시가 독자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이 아니었다. 첸백시의 INB100은 어느새 MC몽, 차가원 측의 자회사로 편입된 상황이다. 이미 충분히 짐작하고 있던 부분이지만, 금일 기자회견에서 스스로 밝힌 내용을 통해 첸백시에 대한 템퍼링이 분명한 사실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아일릿의 소속사 빌리프랩과 민희진 어도어 대표의 싸움도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빌리프랩은 이날 민 대표를 상대로 민사소송을 추가 제기했다고 밝혔다. 빌리프랩은 "민희진 대표는 자신의 사익을 위해 무고한 신인그룹을 희생양 삼았다. 민희진 대표가 택한 하이브 압박 수단 중 하나가 같은 하이브 레이블의 신인그룹을 '아류'나 짝퉁'으로 폄훼하는 것이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본인의 사익 확보 수단으로 표절을 주장함으로써 대중문화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한다. 특히 '제작 포뮬러'라는 자의적인 기준을 앞세워 마케팅 활동과 명절 한복 화보 등 이미 수많은 유사 사례가 이전부터 있었던 것조차 새로 창조한 것인 양 포장했다"고 말했다.
아일릿/ 사진=텐아시아 사진 DB
아일릿/ 사진=텐아시아 사진 DB
앞서 민 대표는 아일릿을 두고 뉴진스 표절 의혹을 제기했다. 민 대표는 지난 4월 25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진짜 문제는 제작 포뮬러를 너무 모방했다는 거다. 따라 해서 잘 되면 없는 팀들은 더 좌절에 빠진다. 같은 류를 따라 해서 제작한다면 다 뉴진스가 될 것이다. 이건 장기적으로 모든 팀, 업계에 안 좋은 일이며 망가뜨리는 일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강다니엘은 직접 설립한 커넥트엔터테인먼트의 막을 내리며 소송전에 나섰다. 그는 "좋지 않은 소식과 함께 지난 여정을 마무리하게 돼 아쉽고 애석한 마음이지만, 지금껏 늘 그랬듯이 묵묵히 열심히 헤쳐나가 보려고 한다"며 담담하게 심경을 전했다.

그는 지난달 최근 커넥트엔터의 대주주 A씨를 사문서위조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다. 강다니엘의 고소 대리인은 "강다니엘은 커넥트의 대주주 A씨에 대하여 사문서위조, 횡령, 배임, 정보통신망 침해 및 컴퓨터 등 사용 사기 등 혐의에 관해 20일 서울경찰청에 형사고소를 제기했다"고 밝혔다.

이어 "2022년 12월 대표이사 명의를 도용하여 의뢰인 모르게 법인 인장을 날인하는 방법으로 100억 원대 선급 유통 계약이 체결된 사실을, 의뢰인은 2023년 1월 알게 됐다"며 "대표이사의 승인, 이사회 결의 및 주주총회 결의 등 어떠한 적법 절차 없이 소속사의 계좌에서 최소 20억 원 이상의 돈이 해외송금, 사업소득 처리 방법으로 인출된 사실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또 "회사의 금융거래내역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의뢰인은 본인 명의 은행 계좌에서 무려 17억 원이 넘는 돈이 의뢰인 모르게 인출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특히 이 가운데 민 대표와 하이브의 다툼은 지난 4월부터 이어지며 대중을 피로하게 만들고 있다. 첸백시와 SM엔터의 다툼도 1년여 만에 재점화되며 피로도를 높이는 모양새다. 6월에는 이제 막 자리를 잡아가는 저연차 보이그룹은 물론, 쟁쟁한 여러 여자 솔로 아티스트들의 컴백 대전도 예고돼 있다. 소송전이 전개됨에 따라 시선이 분산돼 컴백에 대한 주목도가 떨어지진 않을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상황이다.

김지원 텐아시아 기자 one@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