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유튜브 '살롱드립2'
사진=유튜브 '살롱드립2'
'살롱드립2' 변우석과 김혜윤이 설렘 케미를 발산했다.

27일 유튜브 채널 '테오'의 '살롱드립2'에는 tvN 인기 드라마 '선재 업고 튀어'의 주역 김혜윤, 변우석이 출연했다.

이날 변우석은 "인기를 체감하냐"는 질문에 "끝나면 너무 재밌다는 소감을 보내주는데 강도가 세졌다. 누나는 '친구들이 난리났다'고 하고, 부모님은'사인 많이 해놓고 가'라고 하시더라"고 말했다. 김혜윤은 "드라마 리액션 영상, 방송을 즐기는 모습을 보고 체감한다"고 밝혔다.

작품 속에서 '실제로 업고 튀고 싶었던 순간'이 있었는지 묻자 변우석과 김혜윤은 동시에 눈을 맞춰 핑크빛 분위기를 자아냈다. 이에 장도연은 "너네 사귀지?"라며 과몰입한 모습으로 폭소를 자아냈다.
사진=유튜브 '살롱드립2'
사진=유튜브 '살롱드립2'
사진=유튜브 '살롱드립2'
사진=유튜브 '살롱드립2'
사진=유튜브 '살롱드립2'
사진=유튜브 '살롱드립2'
"벚꽃놀이하는 장면이 설레더라"는 장도연의 말에 김혜윤은 "벚꽃 장면 연습하는 동안 오빠가 소원을 빌더라"고 폭로했다. 이에 변우석은 "드라마 잘 되라는 거랑 가족 관련 소원을 빌었다"고 전했다.

김혜윤은 배가 아픈 솔이를 위해 버스 세워주는 장면을 든든했던 순간으로 꼽았다. 변우석은 "10개월간 촬영했는데, 김혜윤이 주는 감정이 너무 잘 느껴져서 그럴 때마다 업고 튀고 싶었다"고 털어놨다.

메이킹 필름에서는 컷 이후에도 손을 잡고 있는 두 사람의 모습이 공개됐다. 이에 대해 김혜윤은 "제가 우는 장면이 많아서 고생했다는 의미의 터치였고, 또 몸에 붙어 있는 핫팩 부분을 잘 찾더라"고 말했다.

두 사람은 '전우애'를 느낀 장면이 있다고 말해 궁금증을 자아냈다. 추운 겨울 촬영했던 장면으로, 선재가 솔이를 물속에서 구하는 씬이다. 둘은 "지구상에 우리만 있는 느낌, 우리만 느낄 수 있는 감정이 있었다"고 회상했고, 변우석은 "군대에서도 느껴보지 못했던 전우애를 느꼈다"고 밝혀 웃음을 선사했다.
사진=유튜브 '살롱드립2'
사진=유튜브 '살롱드립2'
사진=유튜브 '살롱드립2'
사진=유튜브 '살롱드립2'
사진=유튜브 '살롱드립2'
사진=유튜브 '살롱드립2'
명장면 중 하나로 꼽히는 임솔의 "내가 갑자기 떠나도 울지마" 장면에 대해 김혜윤은 "대본에는 우는 내용이 없었다"면서 슬픔을 보이지 않아야 하는 장면이었다고 설명했다. 눈물을 흘리는 자체보다 울고 나면 졸음이 쏟아져 문제였다는 그의 말에 변우석은 "혜윤이가 과자나 젤리를 주면서 방전되지 않게 해주더라"고 고마움을 전했다.

'연기 생활 중 힘들었던 장면'으로 김혜윤은 UCC 영상 '태성 좋아송'을 꼽았다. 춤을 추며 노래하는데 현타가 왔다고. 김혜윤은 즉석에서 '선재 좋아송'을 불렀고, 변우석은 '솔이 좋아송'으로 화답했다.

캐릭터와 본체의 닮은 점에 대해 김혜윤은 망설임 없이 "오빠는 선재 허당미가 닮았다. 완벽한 얼굴에 허당기가 있다"고 말했다. 변우석은 "내가 잘하는 게 없다, 다른 건 바보다. 기계 못 만지고, 차도 잘 모른다"며 연기 외에는 서툴다고 밝혔다.

반대로 변우석은 김혜윤에 대해 "솔이처럼 진솔하고 밝다. 주변사람들을 항상 웃게 해준다"고 이야기했다. 이에 김혜윤은 "보통 밝은 사람들이 혼자 집에 있으면 다운되거나 하지 않냐고 묻는데, 나는 집에서도 이 텐션이다. 혼자 브이로그 하는 것처럼 말을 하곤 한다. 어릴 때부터 말이 많은 아이였다"고 말했다.
사진=유튜브 '살롱드립2'
사진=유튜브 '살롱드립2'
사진=유튜브 '살롱드립2'
사진=유튜브 '살롱드립2'
사진=유튜브 '살롱드립2'
사진=유튜브 '살롱드립2'
변우석은 절친 주우재가 '선업튀' 방영 이후 문자를 보내왔다고 밝히며 "1,2화 보고 이번 작품 잘될 것 같다"고 했다. 축하를 해주긴 하는데 약간 찝찝하더라"며 찐친의 편안함을 드러냈다.

'과거로 돌아오는 시계가 있다면?'이라는 질문에 김혜윤은 "내가 대학생 때 힘들었다. 돌아가면 잘하고 있으니 믿고 꾸준히 했으면 좋겠다는 말을 해주고 싶다"고 말했다. 변우석은 "전에는 후회되는 순간들을 되돌리고 싶다, 천재 효자 아들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했는데, 오늘은 책상에 공책을 놔두고 불로소득과 인생의 가이드를 만들고 싶다"면서 "만약 배우가 아니더라도 또 다른 삶을 살아도 괜찮을 것 같다"고 밝혔다.

김은정 텐아시아 기자 eun@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