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용 감독 / 사진=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김수용 감독 / 사진=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1960년대 한국 영화를 이끈 거장 김수용 감독이 3일 세상을 떠났다. 향년 94세.

3일 영화계에 따르면 김 감독은 이날 오전 1시 50분께 요양 중이던 서울대병원에서 노환으로 숨을 거뒀다.

김 감독은 1929년 경기도 안성에서 태어나, 학창 시절이던 1945년 해방 직후 3·1 운동에 관한 연극을 연출하는 등 일찍부터 극 예술에 재능을 보였다. 6·25 전쟁 때 통역장교로 복무했던 김 감독은 정전 이후 국방부 정훈국 영화과에 배치되면서 영화계로 들어서게 됐다.
'저 하늘에도 슬픔이' 스틸 / 사진제공=신필름
'저 하늘에도 슬픔이' 스틸 / 사진제공=신필름
데뷔작은 1958년 개봉한 '공처가'다. 이 영화는 딸의 혼사를 앞두고 가정불화를 겪는 곰탕집 주인이 기발한 아이디어로 문제를 해결하는 내용의 코미디물이다. 당시 군인 신분이었던 김 감독은 주말에 시간을 내 이 작품을 연출했다고 한다.

김 감독은 전역 후 본격적으로 영화에 뛰어들었다. 그는 '벼락부자'(1961), '청춘교실'(1963), '내 아내가 최고야'(1963) 등 주로 코미디물을 내놓다가 '굴비'(1963), '혈맥'(1963), '갯마을'(1965), '안개'(1967), '만선'(1967), '토지'(1974), '산불'(1977), '화려한 외출'(1977), '만추'(1981) 등 영화를 내놓으며 뛰어난 작품성으로 인정받았다. 1960년대 최고의 흥행작으로 꼽히는 고인의 작품 '저 하늘에도 슬픔이'(1965)는 당시 대만 등 해외에도 수출됐다.

고인은 다작으로도 유명하다. 1999년 '침향'에 이르기까지 40년 동안 109편의 영화를 선보였다. 1967년에만 10편을 내놓기도 했다. 김 감독은 신상옥, 유현목 감독과 함께 1960년대 한국 영화의 르네상스를 주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 감독은 2005년, 자신의 영화 인생을 반추하는 '나의 사랑 씨네마'라는 제목의 회고록을 출간했다.

장례식은 영화인장으로 치러진다. 고인의 문하생이라고 할 수 있는 정지영 감독과 이장호 감독, 배우 안성기, 장미희 등이 공동 장례위원장을 맡았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발인은 오는 5일 오후 1시다. 장지는 서울추모공원(1차), 모란공원(2차)이다.

김지원 텐아시아 기자 bella@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