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서울의 봄' 기자 간담회
영화 '서울의 봄'의 김성수 감독은 12.12 사태 당시에 직접 총소리를 들었던 경험을 언급했다.
9일 서울 강남구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영화 '서울의 봄'(감독 김성수)의 기자 간담회가 열렸다. 행사에는 감독 김성수, 배우 황정민, 정우성, 이성민, 김성균이 참석했다.
'서울의 봄'은 1979년 12월 12일 수도 서울에서 일어난 신군부 세력의 반란을 막기 위한 일촉즉발의 9시간을 그린 영화다. 김성수 감독은 영화 '아수라', '감기', '태양은 없다', '비트' 등을 통해 몰입감 넘치는 이야기를 그려낸 바 있다.
1979년 12월 12일은 한국 현대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사건이다. 해당 사건을 다루며 부담이 되기도 했을 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출을 맡은 이유에 대해 "열아홉 살에 집이 한남동이어서 육군참모총장이 납치될 때의 총소리를 들었다. 그 일이 무슨 일인지 몰랐고 나중에 30대 중반이 되어서 알게 됐다. 당혹스럽고 놀라웠다. '이렇게 쉽게 우리나라 군부가 불과 하룻밤 사이에 무너져내렸다니'라는 생각이었다. 총소리를 듣고 44년이 지났는데, 대체 그날 무슨 일이 있었길래 한국 현대사의 운명적인 전환점이 되어있는지가 화두였다"라고 말했다.
이어 "1979년으로 돌아가서 그 사람들이 어떤 선택을 했는지와 관객들을 그 순간으로 밀어놓고 경험해보기를 바랐다. 궁금증이 생기면 진짜 역사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찾아보지 않을까라는 생각이었다"라고 이야기했다.
실제 역사를 영화화하는 과정 속 초점을 맞춘 지점에 관해 김성수 감독은 "처음 시나리오를 받았을 때는 다큐멘터리처럼 역사에 입각한 것이었다. 그때는 고사를 했다. 이후, 그들과 맞선 진짜 군인들의 시선으로 보면, 관객들이 이 영화를 반란군의 승리 역사가 아닌 잘못된 지점을 장르적으로 흥미진진하게 보여줄 수 있을 것 같았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우리나라를 책임지던 대단한 군인들이 순간순간 무엇을 보고 판단하는지와 신념을 지키고, 탐욕의 세력을 따라가거나 묵인하는 과정을 자연스럽게 보기를 바랐다. 내가 80학번인데 나의 20대는 참을 수 없는 절망감으로 가득했다. 그들은 처벌받았지만 입을 다물지 않았나. 나의 해석에 근거해서 '서울의 봄'을 만들었다. 허구와 팩트의 비율을 나누기는 힘들 것 같다"라고 덧붙였다.
12·12 사태를 재현하는 것에 목표를 두지는 않았다는 김성수 감독은 "그 사람들이 12.12의 그날을 승리의 역사로 기념하고 축하하는 것이 보기 싫었다. 그들은 역사의 패배자로 기록될 것이라는 생각이었다. 전직 대통령의 이름을 사용해도 무관하지만, 내가 변형한 인물이라서 이름을 바꿨다"라고 비하인드를 밝혔다.
영화 '서울의 봄'은 오는 11월 22일 개봉한다
이하늘 텐아시아 기자 greenworld@tenasia.co.kr
9일 서울 강남구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영화 '서울의 봄'(감독 김성수)의 기자 간담회가 열렸다. 행사에는 감독 김성수, 배우 황정민, 정우성, 이성민, 김성균이 참석했다.
'서울의 봄'은 1979년 12월 12일 수도 서울에서 일어난 신군부 세력의 반란을 막기 위한 일촉즉발의 9시간을 그린 영화다. 김성수 감독은 영화 '아수라', '감기', '태양은 없다', '비트' 등을 통해 몰입감 넘치는 이야기를 그려낸 바 있다.
1979년 12월 12일은 한국 현대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사건이다. 해당 사건을 다루며 부담이 되기도 했을 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출을 맡은 이유에 대해 "열아홉 살에 집이 한남동이어서 육군참모총장이 납치될 때의 총소리를 들었다. 그 일이 무슨 일인지 몰랐고 나중에 30대 중반이 되어서 알게 됐다. 당혹스럽고 놀라웠다. '이렇게 쉽게 우리나라 군부가 불과 하룻밤 사이에 무너져내렸다니'라는 생각이었다. 총소리를 듣고 44년이 지났는데, 대체 그날 무슨 일이 있었길래 한국 현대사의 운명적인 전환점이 되어있는지가 화두였다"라고 말했다.
이어 "1979년으로 돌아가서 그 사람들이 어떤 선택을 했는지와 관객들을 그 순간으로 밀어놓고 경험해보기를 바랐다. 궁금증이 생기면 진짜 역사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찾아보지 않을까라는 생각이었다"라고 이야기했다.
실제 역사를 영화화하는 과정 속 초점을 맞춘 지점에 관해 김성수 감독은 "처음 시나리오를 받았을 때는 다큐멘터리처럼 역사에 입각한 것이었다. 그때는 고사를 했다. 이후, 그들과 맞선 진짜 군인들의 시선으로 보면, 관객들이 이 영화를 반란군의 승리 역사가 아닌 잘못된 지점을 장르적으로 흥미진진하게 보여줄 수 있을 것 같았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우리나라를 책임지던 대단한 군인들이 순간순간 무엇을 보고 판단하는지와 신념을 지키고, 탐욕의 세력을 따라가거나 묵인하는 과정을 자연스럽게 보기를 바랐다. 내가 80학번인데 나의 20대는 참을 수 없는 절망감으로 가득했다. 그들은 처벌받았지만 입을 다물지 않았나. 나의 해석에 근거해서 '서울의 봄'을 만들었다. 허구와 팩트의 비율을 나누기는 힘들 것 같다"라고 덧붙였다.
12·12 사태를 재현하는 것에 목표를 두지는 않았다는 김성수 감독은 "그 사람들이 12.12의 그날을 승리의 역사로 기념하고 축하하는 것이 보기 싫었다. 그들은 역사의 패배자로 기록될 것이라는 생각이었다. 전직 대통령의 이름을 사용해도 무관하지만, 내가 변형한 인물이라서 이름을 바꿨다"라고 비하인드를 밝혔다.
영화 '서울의 봄'은 오는 11월 22일 개봉한다
이하늘 텐아시아 기자 greenworld@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