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V, 메가박스에 이어 롯데시네마까지 멀티플렉스 3사가 코로나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하며 모두 영화 관람료를 인상했다.
7일 롯데시네마는 코로나19로 인해 붕괴 직전인 영화산업의 장기침체를 극복하고자 영화관람요금 정책을 오는 7월 1일부터 변경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인상 이후 6개월 만이다. 롯데시네마의 영화관람요금은 성인 2D 일반영화 기준 주중 1만3000원, 주말 1만4000원으로 기존보다 1000원 인상된다. 대신 영화관 운영 시간과 고객 편의를 고려해 영화관람 시간대를 기존 3개(조조/일반/프라임)에서 2개(조조/일반)로 개편했고, 조조 범위를 '10시 전'에서 '12시 전'으로 확대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사상 초유의 사태로 인해 2020년의 영화 관람객과 매출은 전년 대비 73.7% 급감했다. 2021년 역시 상황은 나아지지 않았으며 1분기 관객 수는 2019년 동기 대비 85.2% 줄어들었다.
롯데시네마의 영업손실은 지난해 1600억 원, 올해 1분기 400억 원에 달하고 있으며 영화시장 침체 장기화, 거리두기 강화에 따른 상영관 내 취식 금지, 임차료 등 고정비 부담의 지속 증가가 예상되어 경영상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한국 영화산업 주요 부문의 매출 중 70% 이상은 영화관 매출에서 발생한다. 영화관의 장기침체로 인한 수익성 악화는 배급사의 개봉 연기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관람객 감소와 신규 작품 투자 중단이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실제로 2020년 상업영화 제작 편수는 전년 대비 16편 감소했다. 신작 공급의 부재는 영화관뿐만 아니라 IPTV, OTT 서비스 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영화진흥위원회의 2020년 한국 영화산업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의 TV VOD 시장과 OTT 서비스 시장 매출은 전년 대비 상당한 감소세를 보였다.
영화관의 수익성 악화로 인한 인력 고용의 한계도 발생하고 있다. 롯데시네마의 2021년 3월 말 기준 드리미(롯데시네마 아르바이트 직원) 인력은 2019년 3월 보다 무려 85% 이상 줄어들었다.
롯데시네마는 지난 1년 동안 직영관 영업 중단, VOD사업 종료 등 운영 효율화와 임직원 임금 반납, 자율 무급 휴가, 창사 이래 첫 희망퇴직 등 비용 절감을 위해 힘써왔으며 지난해 11월 부터는 국내외 영화관 사업 재검토를 통한 몸집 줄이기를 진행해오고 있다.
롯데시네마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영화산업 정상화를 위한 각종 노력들을 지속하고 있다. 재무적 어려움 속에서도 신작 개봉 촉진을 위한 지원금을 지급했고 6월 1일부터는 코로나19 종식과 빠른 일상 회복을 위해 백신 접종자를 대상으로 영화 관람료 할인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롯데시네마 관계자는 "이번 영화관람요금 정책 변경으로 인해 관객들의 부담이 늘어난 점에 대해서는 죄송하며 마음이 무겁다"며 "영화관은 이미 한계에 다다랐다. 영화관산업의 붕괴가 영화산업에 끼치는 파급력을 생각했을 때 이번 영화관람요금 정책 변경은 영화산업의 정상화와 생존을 위해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밝혔다.
CGV는 지난해 10월에 이어 올해 4월 2일부 영화 관람료를 한 차례 더 올렸다. 인상 수준은 평균 1000원으로, 성인 2D 영화 일반 시간대를 기준으로 영화 관람료는 주중 1만3000원, 주말 1만 4000원으로 조정됐다. 3D를 비롯한 IMAX, 4DX, ScreenX 등 기술 특별관 및 스윗박스 가격도 1000원씩 일괄 인상됐다.
CGV는 "지난해 국내 매출 3258억 원에 영업 손실이 2036억 원에 달해 창사 이래 가장 어려운 한해를 보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희망퇴직을 실시하고 일부 직영점 일시 영업 중단, 자율 무급 휴직 등 자구 노력에도 불구하고 적자 기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인상 이유를 밝혔다.
메가박스는 지난해 11월 23일 영화 관람료를 인상했다. 메가박스는 평균 1000원 정도 인상해, 현재 영화 관람료는 2D 일반 영화 성인 기준, 주중 1만2000원, 주말 1만3000원이다. 가격인상 대상 상영관은 일반관, 컴포트관, MX관 등이었고, 돌비 시네마, 프리미엄 특별관 더 부티크, 발코니, 프라이빗 상영관 등은 기존 가격을 유지했다. 메가박스는 서로 다른 요금제를 적용하는 시간대를 3단계에서 4단계로 조정했다. 인상 전 조조(10시 이전), 일반(10~23시), 심야(23시 이후)의 3단계에서 인상 후에는 조조(10시 이전), 브런치(10~13시), 일반(13~23시), 심야(23시 이후)의 4단계로 세분화됐다.
김지원 텐아시아 기자 bella@tenasia.co.kr
7일 롯데시네마는 코로나19로 인해 붕괴 직전인 영화산업의 장기침체를 극복하고자 영화관람요금 정책을 오는 7월 1일부터 변경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인상 이후 6개월 만이다. 롯데시네마의 영화관람요금은 성인 2D 일반영화 기준 주중 1만3000원, 주말 1만4000원으로 기존보다 1000원 인상된다. 대신 영화관 운영 시간과 고객 편의를 고려해 영화관람 시간대를 기존 3개(조조/일반/프라임)에서 2개(조조/일반)로 개편했고, 조조 범위를 '10시 전'에서 '12시 전'으로 확대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사상 초유의 사태로 인해 2020년의 영화 관람객과 매출은 전년 대비 73.7% 급감했다. 2021년 역시 상황은 나아지지 않았으며 1분기 관객 수는 2019년 동기 대비 85.2% 줄어들었다.
롯데시네마의 영업손실은 지난해 1600억 원, 올해 1분기 400억 원에 달하고 있으며 영화시장 침체 장기화, 거리두기 강화에 따른 상영관 내 취식 금지, 임차료 등 고정비 부담의 지속 증가가 예상되어 경영상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한국 영화산업 주요 부문의 매출 중 70% 이상은 영화관 매출에서 발생한다. 영화관의 장기침체로 인한 수익성 악화는 배급사의 개봉 연기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관람객 감소와 신규 작품 투자 중단이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실제로 2020년 상업영화 제작 편수는 전년 대비 16편 감소했다. 신작 공급의 부재는 영화관뿐만 아니라 IPTV, OTT 서비스 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영화진흥위원회의 2020년 한국 영화산업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의 TV VOD 시장과 OTT 서비스 시장 매출은 전년 대비 상당한 감소세를 보였다.
영화관의 수익성 악화로 인한 인력 고용의 한계도 발생하고 있다. 롯데시네마의 2021년 3월 말 기준 드리미(롯데시네마 아르바이트 직원) 인력은 2019년 3월 보다 무려 85% 이상 줄어들었다.
롯데시네마는 지난 1년 동안 직영관 영업 중단, VOD사업 종료 등 운영 효율화와 임직원 임금 반납, 자율 무급 휴가, 창사 이래 첫 희망퇴직 등 비용 절감을 위해 힘써왔으며 지난해 11월 부터는 국내외 영화관 사업 재검토를 통한 몸집 줄이기를 진행해오고 있다.
롯데시네마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영화산업 정상화를 위한 각종 노력들을 지속하고 있다. 재무적 어려움 속에서도 신작 개봉 촉진을 위한 지원금을 지급했고 6월 1일부터는 코로나19 종식과 빠른 일상 회복을 위해 백신 접종자를 대상으로 영화 관람료 할인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롯데시네마 관계자는 "이번 영화관람요금 정책 변경으로 인해 관객들의 부담이 늘어난 점에 대해서는 죄송하며 마음이 무겁다"며 "영화관은 이미 한계에 다다랐다. 영화관산업의 붕괴가 영화산업에 끼치는 파급력을 생각했을 때 이번 영화관람요금 정책 변경은 영화산업의 정상화와 생존을 위해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밝혔다.
CGV는 지난해 10월에 이어 올해 4월 2일부 영화 관람료를 한 차례 더 올렸다. 인상 수준은 평균 1000원으로, 성인 2D 영화 일반 시간대를 기준으로 영화 관람료는 주중 1만3000원, 주말 1만 4000원으로 조정됐다. 3D를 비롯한 IMAX, 4DX, ScreenX 등 기술 특별관 및 스윗박스 가격도 1000원씩 일괄 인상됐다.
CGV는 "지난해 국내 매출 3258억 원에 영업 손실이 2036억 원에 달해 창사 이래 가장 어려운 한해를 보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희망퇴직을 실시하고 일부 직영점 일시 영업 중단, 자율 무급 휴직 등 자구 노력에도 불구하고 적자 기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인상 이유를 밝혔다.
메가박스는 지난해 11월 23일 영화 관람료를 인상했다. 메가박스는 평균 1000원 정도 인상해, 현재 영화 관람료는 2D 일반 영화 성인 기준, 주중 1만2000원, 주말 1만3000원이다. 가격인상 대상 상영관은 일반관, 컴포트관, MX관 등이었고, 돌비 시네마, 프리미엄 특별관 더 부티크, 발코니, 프라이빗 상영관 등은 기존 가격을 유지했다. 메가박스는 서로 다른 요금제를 적용하는 시간대를 3단계에서 4단계로 조정했다. 인상 전 조조(10시 이전), 일반(10~23시), 심야(23시 이후)의 3단계에서 인상 후에는 조조(10시 이전), 브런치(10~13시), 일반(13~23시), 심야(23시 이후)의 4단계로 세분화됐다.
김지원 텐아시아 기자 bella@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