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2인자 MC’로 불리우던 예능인들의 설 자리가 줄어 들고 있다. 박명수, 김태현, 이휘재, 김신영, 탁재훈, 김구라, 이수근 등 예능계의 블루칩으로 통했던 이들의 프로그램이 여럿 폐지되고 있는 것이다. 그 자리를 메꾸는 것은 동료 예능인이 아니라 예능 프로그램의 초대 손님이나 패널의 입장이었던 사람들이다. SBS 의 ‘키스 앤 크라이‘의 메인은 누가 뭐래도 김연아고, MBC 과 Mnet 는 가수지망생들이, KBS ‘불후의 명곡2’는 아이돌이 주인공이다. SBS 도 일반인들이 주인공이다. 화제의 중심에 있는 MBC 의 ‘나는 가수다’의 주역은 임재범, 이소라 등 지금까지 예능 프로그램과 거리가 멀었던 가수들이다.
확연히 줄어든 위상, 여전히 굳건한 유-강 체제
특히 ‘나는 가수다’는 2인자 MC, 혹은 예능인들의 낮아진 위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박명수, 지상렬, 김태현, 이병진 등은 한때 개그맨 매니저들이 ‘가수’보다 더 출연료가 많다는 소문이 돌 만큼 방송가에서의 위상이 낮은 편이 아니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의 원동력은 가수들이 만들어내는 무대에서 나오고, 개그맨 매니저들의 역할은 크지 않다. ‘나는 가수다’ 방송 초기에는 일부 시청자들이 개그맨 매니저들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을 제가하기까지 했다. MBC ‘신입사원’ 역시 정형돈, 길, 조형기 등이 출연하지만 그들이 프로그램에서 하는 역할은 미미하다. 대신 아나운서에 도전한 일반인들에게 시선이 집중된다. 과거에는 예능인들에게 한 예능 프로그램이 폐지돼도 다른 프로그램에 나설 기회가 있었다면, 이제는 아예 그 자리가 사라지고 있는 셈이다.
일반인 위주의 리얼리티 쇼가 예능 프로그램의 대세가 되는 것은 유재석과 강호동 같은 ‘1인자’에게도 장기적으로 위기가 될 수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그들은 월요일과 화요일, 그리고 수요일에 토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토요일, 일요일에도 모두 동시간대 시청률 1, 2위의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여전히 그들의 능력은 최고로 평가받고 있고, 여전히 그들은 예능 프로그램의 1순위 캐스팅 대상이다. 지금 예능의 흐름은 유재석, 강호동이 이끄는 프로그램들과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으로 양분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변화의 흐름 속에서 아직 확고한 자리를 잡지 못한 다수의 ‘2인자’들의 위상이 흔들리는 셈이다.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전성시대
흥미로운 점은 박명수, 정형돈, 김구라, 이수근 등이 ‘2인자’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 역시 예능 프로그램의 트렌드 변화가 큰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이다. 리얼 버라이어티, 혹은 집단 토크쇼가 예능 프로그램의 대세가 되면서 메인 MC를 도와 토크쇼의 패널이나 고정 출연자들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됐고, 그 때 ‘2인자’ 캐릭터의 예능인들이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했다. 매끄러운 진행 솜씨는 다소 부족했지만 강한 캐릭터를 내세워 유재석 등과 콤비를 이루는 박명수가 대표적인 예다. KBS 에서 두각을 나타냈던 정형돈 역시 리얼 버라이어티를 통해 새로운 전기를 맞이했고, 이후 이수근, 한민관 등 개그맨 출신들이 때로는 성공적으로, 때로는 어렵게 리얼 버라이어티에 적응하면서 이 시대에 적응하지 못한 개그맨 출신 MC들의 위상이 하락했다. 박수홍은 SBS 에서 “요즘 예능에서 왜 안 보이냐”는 굴욕적인 질문을 감수해야 했고, 김용만은 일요일 황금 시간대의 예능 진행자의 자리를 내놓아야만 했다. 트렌드의 변화에 적응한 예능인들은 살아 남았고, 적응하지 못한 예능인들은 점차 주변부로 밀려나갔다.
부활하는 MC, 생존을 요구받는 MC
그래서 예능 프로그램의 트렌드 변화에 발맞춰 신동엽이 ‘김연아의 키스 앤 크라이’, ‘불후의 명곡2’의 MC를 맡고, 이덕화가 80년대 MBC 이후 수십 년 만에 다시 MBC 의 진행을 맡은 것은 주목할만 하다. 누구나 인정하는 매끄러운 진행 솜씨를 가졌지만 리얼 버라이어티에는 어울리지 않아 한동안 침체기를 겪었던 신동엽과 장년층의 추억을 이끌어낼 수 있는 이덕화의 부활은 문자 그대로 ‘진행을 잘하는 MC’의 부활을 알리는 신호탄일 수도 있다. 아나테이너의 원조 격인 손범수가 다시 예능 프로그램의 최전선인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인 의 진행을 맡거나 임성훈이 의 ‘신입사원’ 후속인 ‘집드림’의 MC를 맡은 것 또한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다. 트렌드가 변하면서 성공을 달리던 사람들에게 위기가, 침체를 겪던 이들에게 기회가 찾아온 것이다.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들이 난립하면서 오디션 프로그램에 대한 피로감이 우려되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예측할 수 없는 실제 상황 속에서 웃음과 감동을 자연스럽게 전달하는 리얼리티 쇼의 트렌드는 한동안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상황에서 리얼 버라이어티나 집단 토크쇼로 성장한 ‘2인자’예능인들은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을까. 다시 한번 트렌드의 변화를 통해 기회가 돌아오길 바랄 것인가, 아니면 지금 트렌드에 맞춰 생존할 수 있도록 진화할 것인가.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시대에, 이들 2인자 MC들의 서바이벌 또한 시작되고 있다.
글. 김명현 기자 eighteen@
확연히 줄어든 위상, 여전히 굳건한 유-강 체제
특히 ‘나는 가수다’는 2인자 MC, 혹은 예능인들의 낮아진 위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박명수, 지상렬, 김태현, 이병진 등은 한때 개그맨 매니저들이 ‘가수’보다 더 출연료가 많다는 소문이 돌 만큼 방송가에서의 위상이 낮은 편이 아니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의 원동력은 가수들이 만들어내는 무대에서 나오고, 개그맨 매니저들의 역할은 크지 않다. ‘나는 가수다’ 방송 초기에는 일부 시청자들이 개그맨 매니저들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을 제가하기까지 했다. MBC ‘신입사원’ 역시 정형돈, 길, 조형기 등이 출연하지만 그들이 프로그램에서 하는 역할은 미미하다. 대신 아나운서에 도전한 일반인들에게 시선이 집중된다. 과거에는 예능인들에게 한 예능 프로그램이 폐지돼도 다른 프로그램에 나설 기회가 있었다면, 이제는 아예 그 자리가 사라지고 있는 셈이다.
일반인 위주의 리얼리티 쇼가 예능 프로그램의 대세가 되는 것은 유재석과 강호동 같은 ‘1인자’에게도 장기적으로 위기가 될 수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그들은 월요일과 화요일, 그리고 수요일에 토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토요일, 일요일에도 모두 동시간대 시청률 1, 2위의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여전히 그들의 능력은 최고로 평가받고 있고, 여전히 그들은 예능 프로그램의 1순위 캐스팅 대상이다. 지금 예능의 흐름은 유재석, 강호동이 이끄는 프로그램들과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으로 양분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변화의 흐름 속에서 아직 확고한 자리를 잡지 못한 다수의 ‘2인자’들의 위상이 흔들리는 셈이다.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전성시대
흥미로운 점은 박명수, 정형돈, 김구라, 이수근 등이 ‘2인자’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 역시 예능 프로그램의 트렌드 변화가 큰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이다. 리얼 버라이어티, 혹은 집단 토크쇼가 예능 프로그램의 대세가 되면서 메인 MC를 도와 토크쇼의 패널이나 고정 출연자들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됐고, 그 때 ‘2인자’ 캐릭터의 예능인들이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했다. 매끄러운 진행 솜씨는 다소 부족했지만 강한 캐릭터를 내세워 유재석 등과 콤비를 이루는 박명수가 대표적인 예다. KBS 에서 두각을 나타냈던 정형돈 역시 리얼 버라이어티를 통해 새로운 전기를 맞이했고, 이후 이수근, 한민관 등 개그맨 출신들이 때로는 성공적으로, 때로는 어렵게 리얼 버라이어티에 적응하면서 이 시대에 적응하지 못한 개그맨 출신 MC들의 위상이 하락했다. 박수홍은 SBS 에서 “요즘 예능에서 왜 안 보이냐”는 굴욕적인 질문을 감수해야 했고, 김용만은 일요일 황금 시간대의 예능 진행자의 자리를 내놓아야만 했다. 트렌드의 변화에 적응한 예능인들은 살아 남았고, 적응하지 못한 예능인들은 점차 주변부로 밀려나갔다.
부활하는 MC, 생존을 요구받는 MC
그래서 예능 프로그램의 트렌드 변화에 발맞춰 신동엽이 ‘김연아의 키스 앤 크라이’, ‘불후의 명곡2’의 MC를 맡고, 이덕화가 80년대 MBC 이후 수십 년 만에 다시 MBC 의 진행을 맡은 것은 주목할만 하다. 누구나 인정하는 매끄러운 진행 솜씨를 가졌지만 리얼 버라이어티에는 어울리지 않아 한동안 침체기를 겪었던 신동엽과 장년층의 추억을 이끌어낼 수 있는 이덕화의 부활은 문자 그대로 ‘진행을 잘하는 MC’의 부활을 알리는 신호탄일 수도 있다. 아나테이너의 원조 격인 손범수가 다시 예능 프로그램의 최전선인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인 의 진행을 맡거나 임성훈이 의 ‘신입사원’ 후속인 ‘집드림’의 MC를 맡은 것 또한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다. 트렌드가 변하면서 성공을 달리던 사람들에게 위기가, 침체를 겪던 이들에게 기회가 찾아온 것이다.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들이 난립하면서 오디션 프로그램에 대한 피로감이 우려되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예측할 수 없는 실제 상황 속에서 웃음과 감동을 자연스럽게 전달하는 리얼리티 쇼의 트렌드는 한동안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상황에서 리얼 버라이어티나 집단 토크쇼로 성장한 ‘2인자’예능인들은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을까. 다시 한번 트렌드의 변화를 통해 기회가 돌아오길 바랄 것인가, 아니면 지금 트렌드에 맞춰 생존할 수 있도록 진화할 것인가.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시대에, 이들 2인자 MC들의 서바이벌 또한 시작되고 있다.
글. 김명현 기자 eighteen@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