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두절미하고 말하겠다. 만약 이 기사에서 펜타포트 록 페스티벌과 지산 밸리 록 페스티벌을 비교 평가하는 별점 혹은 스코어 카드를 기대하는 사람이라면 그 기대감을 지금 자리 그대로 바닥에 놓아두길 바란다. <10 아시아>의 이번 포커스는 단지 각각의 페스티벌을 자신의 입장에서 잘 놀다온 두 개 시선이 써내려가는 가감 없는 기록일 뿐이다. 대신 두 개 현장 모두를 가보지 못했거나, 한 쪽만 가느라 다른 한 쪽의 풍경이 궁금했던 록 팬들에겐 각 페스티벌의 스케치와 헤드라이너 및 국내 뮤지션 인터뷰가 좋은 선물이 될 거라 믿는다.

솔직히 말해보자. 지난 5월 14일 공개된 지산 밸리 록 페스티벌(이하 지산)의 2차 라인업에서 오아시스의 이름을 발견했을 때 펜타포트 록 페스티벌(이하 펜타)의 패배를 직감하지 않은 사람이 있는지. 이미 1차 라인업에 이름을 올린 위저의 이름만으로 3년 동안 쌓아올린 펜타의 아성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오아시스는 말하자면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처럼 모든 걸 종결짓는 최종병기와도 같았다. 이후에도 지산은 3차에선 스타세일러, 4차에선 젯의 합류를 알렸고, 3년 동안 대한민국 대표 록 페스티벌로 군림해온 펜타에 대한 우려는 극대화됐다. 결과적으로 말해 올해의 펜타는 망하지 않았다. 심지어 역대 펜타 중 유일하게 손해 보지 않은 장사를 했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가 우리에게 제기하는 문제는 펜타의 패배를 예상한 오판이 아니다. 근본적으로 록 페스티벌이라는 문화 행사를 마치 국가대표 축구 대항전과 같은 승패의 프레임으로 재단하는 것 자체가 문제였다.

그랜드민트와 펜타 사이의 지산 vs 좀 더 록킹한 펜타



지산 밸리 vs 펜타포트│승자도 패자도 없다, 그저 신나게 놀았을 뿐
지산은 펜타와 그랜드민트 사이의, 아마도 펜타에 더 가까울 지점에 토대를 세웠다.
펜타에서 아티스트 섭외와 무대 연출을 맡았던 옐로우 나인이 지산 밸리 리조트라는 장소에서 새로운 행사를 연 가장 큰 이유는 소음에 대한 주민의 민원에서 자유롭고, 진흙탕이 아닌 좀 더 쾌적한 환경에 대한 욕심 때문이었다. 이것은 의외로 커다란 의미를 갖는다. 처음에는 아니었을지 몰라도 3년간의 행사, 그리고 여전한 비와 진흙밭의 기억으로 응집된 현재의 펜타는 다분히 장소귀속적인 페스티벌이기 때문이다. 송도 유원지, 혹은 인천을 벗어난 펜타는 프로야구로 따지면 광주를 벗어난 기아 타이거즈나 마찬가지다. 때문에 리조트라는 공간을 확보했다는 것만으로 지산은 장화와 우의를 준비하고 송도 유원지의 질퍽한 바닥에서 뒹구는 게 하나의 문화로 정착한 펜타와는 다른 포지션에서 출발하게 된다. 옐로우 나인의 김형일 대표 역시 “젊은이 뿐 아니라 가족 단위의 관객을 더욱 유치하겠다”며 펜타포트에 참여했을 때와는 다른 관객층을 의식했다는 걸 인정했다. 많은 라인업이 펜타와 겹치지만 전혀 다른 분위기인 잔디밭 축제 그랜드민트페스티벌을 떠올리면 지산의 포지션을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즉 펜타와 그랜드민트 사이의 어떤, 아마도 펜타에 더 가까울 지점에 지산의 토대가 세워진 것이다. 그래서 이 두 페스티벌은 경쟁이 아닌 각각의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는 별개의 페스티벌이다.

물론 지산 측은 “후지 록 페스티벌의 라인업 일정을 맞추기 위해서” 펜타 측은 “이미 인천시와 모든 날짜를 협의한 상태에서 갑자기 지산의 일정이 통보되는 통에” 같은 날짜에 행사를 치루며 두 페스티벌이 티켓 판매 시장에서 경쟁 관계가 된 건 사실이다. 하지만 같은 날짜라 국내 뮤지션을 공유할 수 없는 상황 때문에 펜타와 지산의 포지셔닝이 더욱 극명하게 드러난 건 상당히 흥미로운 일이다. 앞서 말했듯 펜타와 가장 먼 지점에 있다고 볼 수 있는 그랜드민트조차 상당부분 펜타와 라인업이 겹친다. 그것은 이들 행사가 음악적으로 차이만큼이나 공통분모도 상당히 크다는 걸 뜻한다. 록페스티벌을 표방하는 펜타와 지산은 더더욱 그렇다. 때문에 많은 라인업을 공유해야 마땅하지만 그것이 날짜 때문에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에선 섭외 가능한 뮤지션의 범위 안에서 최대한 페스티벌의 색깔에 어울리는 멤버만을 골라 라인업을 짜야한다. 이 과정에서 역설적으로 펜타는 그 어느 때보다 더 펜타다워지고, 지산은 단 한 번의 행사만으로 자신이 벤치마킹한 후지 록 페스티벌의 포지션에 펜타보다 더 근접할 수 있었다. 즉 둘은 서로의 현재를 확인할 수 있는 거울 역할을 해주게 된다. 오아시스와 스타세일러, 위저와 같은 얼터너티브/모던록 계열의 밴드들이 초청되고, 요조나 장기하와 얼굴들처럼 록킹하기보단 잔잔한 느낌의 뮤지션들이 참여한 지산과 달리 펜타의 해외파 헤드라이너는 뉴 메탈 신의 거장 데프톤즈였고, 국내 뮤지션 중에선 럭스와 노브레인처럼 소위 날뛰는 밴드들이 메인급으로 활약했다. 물론 지산에도 크래쉬가 있었고, 펜타에도 W&Whale이 있었지만 전체적인 분위기의 차이는 분명한 편이다. 비록 금전적 문제로 포기했지만 펜타가 섭외하려던 또 하나의 해외 밴드가 뉴 메탈 신을 대표하는 콘이었다는 건 그래서 상징적이다. 실제로 펜타를 주관하는 (주)아이예스컴의 이상원 본부장은 “헤비하고 록킹한 밴드들로 페스티벌의 색깔을 맞춰보려는 생각이 있었다”고 밝혔다.

록페스티벌은 국가대표 축구 대항전이 아니다



지산 밸리 vs 펜타포트│승자도 패자도 없다, 그저 신나게 놀았을 뿐
펜타는 헤비하고 록킹한 밴드들로 페스티벌의 색깔을 맞춰보려는 의도가 있었다.
이처럼 자신의 정체성을 상대방을 통해 더욱 명확하게 형성한 두 록페스티벌이 서로 다른 날짜에 개최되어 좀 더 최대치의 역량을 발휘할 내년이 기대되는 건 당연한 일이다. 특히 거대 록페스티벌의 고질적 문제였던 적자를 줄이는 선순환 모델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모색된다는 것은 양대 페스티벌 체제가 경제적으로 제로섬 게임이 되지 않을 가능성을 열어준다. 지산의 경우 위저와 오아시스를 섭외해 모던록 팬들의 절대적 지지를 받았지만 대형 헤드라이너 섭외에 따른 금전적 부담을 적자로 고스란히 떠안게 됐다. 하지만 “글래스톤베리나 후지 록 페스티벌처럼 3년, 혹은 5년부터 손익분기점을 넘기는 수익 모델”을 따른다는 김형일 대표의 말대로 첫 회부터 강한 인상을 남기며 팬들에게 내년을 기약하게 만든 지산이 서서히 고정 관객을 늘리며 목표대로 3년 후부터 투자금을 회수하는 건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한편 올해의 펜타는 상당히 특이한 경우다. 지산의 등장으로 민간 기업의 협찬을 받기 어려워지자 해외파 거물을 포기하는 대신 실력과 인지도를 겸비한 국내 뮤지션으로 허리를 든든히 채우고 과거에 비해 훨씬 싸게 티켓을 판매한 펜타는 결과적으로 지출을 상당 부분 줄이며 적자를 내지 않게 됐다. 물론 “내년부턴 해외파 아티스트에 대한 욕심을 부리겠다”는 펜타가 올해와 같은 모델로 수익을 낼 수는 없겠지만 헤드라이너의 네임밸류에만 매몰되어 있던 가분수 형태의 국내 록페스티벌의 한계를 인식하는 계기가 된 것은 분명하다. 또한 펜타의 헤드라이너 섭외가 눈에 띄는 성과를 낼 경우 일본의 후지 록 페스티벌이나 섬머소닉 페스티벌에 기댔던 국내 록페스티벌의 태생적 한계를 극복할 가능성이 생긴다는 것도 내년을 기대하게 만드는 요소다.

하지만 이러한 산업적 요소에도 불구하고 음악 페스티벌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음악이다. 어디는 몇 만 명이 들고, 어디는 시의 지원을 얼마나 받는지도 중요한 문제지만 결국 음악 페스티벌을 평가할 가장 큰 기준은 어떤 뮤지션을 섭외해 어떤 취향을 만족시켜줄 수 있느냐이다. 그것은 젯의 ‘Are You Gonna Be My Girl’의 명랑함이 좋아 지산에 갔거나, 오아시스의 ‘Don`t Look Back in Anger’보다 부활의 ‘사랑할수록’이 좋아 펜타를 선택한 팬들 각각의 마음 속 대차대조표를 통해서만 파악할 수 있는 것들이다. 다시 말하지만 문화 행사는 축구 대항전이 아니다. 우리가 주의 깊게 지켜보아야 할 것은 지산과 펜타, 그리고 또 다른 수많은 음악 페스티벌들이 자신의 포지션 안에서 관객에게 서로 다른 만족을 선사하는 과정일 것이다. 때론 어깨를 들썩이며, 때론 헤드뱅잉과 슬램을 하며.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