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아시아=김하진 기자]
3.1운동 100주년 기념 창작 뮤지컬 ‘여명의 눈동자’가 지난 14일 막을 내렸다.
‘여명의 눈동자’는 동명의 드라마를 극화한 작품으로, 일제 강점기인 1943년 겨울부터 한국 전쟁 직후 겨울까지 동아시아 격변기 10년의 세월을 겪어낸 세 남녀의 이야기다. 이들의 삶을 통해 한민족의 가장 가슴 아픈 역사와 대서사를 완성도 높게 담아낸 창작 뮤지컬이다.
이 작품은 시작 전부터 많은 고난과 어려움이 있었지만 배우들과 스태프들이 힘을 합심해 공연을 올렸고, 그 결과 개막 후 많은 언론과 평단·관객들에게 호평 얻었다.
런웨이 형태의 무대는 배우들의 뜨거운 에너지로 가득 메워 오히려 화려한 세트보다 더 극에 집중할 수 있도록 했으며, 무대 위로 올린 나비석은 객석과의 거리를 좁혀 배우들의 표정과 몸짓을 더욱 가까이서 느끼게 해 생동감을 더했다는 평이다.
극 중 여옥 역에 김지현·문혜원과 대치 역에 박민성·김수용·김보현, 하림 역에 테이·이경수 등이 열연을 펼쳤다. 뿐만 아니라 구준모·조태일·김진태·조남희·김정렬·유보영·민시양·선한국·조환지 등이 힘을 보탰다.
국내 실력파 배우들과 최고의 앙상블 배우들은 무대 위 폭발적인 에너지로 그 시대의 아픔을 맨 몸으로 겪어야만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장중하면서도 아름답게 표현해내 관객들의 눈시울을 붉혔다.
배우와 관객이 함께 역사의 길을 걸어 가자는 콘셉트로 새롭게 만든 ‘여명의 눈동자’는 3.1절과 건국의 소중한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우리의 아픈 역사를 예술로 승화시킨 감동을 현대를 살아가는 관객들에게 선사하며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김하진 기자 hahahajin@tenasia.co.kr
‘여명의 눈동자’는 동명의 드라마를 극화한 작품으로, 일제 강점기인 1943년 겨울부터 한국 전쟁 직후 겨울까지 동아시아 격변기 10년의 세월을 겪어낸 세 남녀의 이야기다. 이들의 삶을 통해 한민족의 가장 가슴 아픈 역사와 대서사를 완성도 높게 담아낸 창작 뮤지컬이다.
이 작품은 시작 전부터 많은 고난과 어려움이 있었지만 배우들과 스태프들이 힘을 합심해 공연을 올렸고, 그 결과 개막 후 많은 언론과 평단·관객들에게 호평 얻었다.
런웨이 형태의 무대는 배우들의 뜨거운 에너지로 가득 메워 오히려 화려한 세트보다 더 극에 집중할 수 있도록 했으며, 무대 위로 올린 나비석은 객석과의 거리를 좁혀 배우들의 표정과 몸짓을 더욱 가까이서 느끼게 해 생동감을 더했다는 평이다.
극 중 여옥 역에 김지현·문혜원과 대치 역에 박민성·김수용·김보현, 하림 역에 테이·이경수 등이 열연을 펼쳤다. 뿐만 아니라 구준모·조태일·김진태·조남희·김정렬·유보영·민시양·선한국·조환지 등이 힘을 보탰다.
국내 실력파 배우들과 최고의 앙상블 배우들은 무대 위 폭발적인 에너지로 그 시대의 아픔을 맨 몸으로 겪어야만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장중하면서도 아름답게 표현해내 관객들의 눈시울을 붉혔다.
배우와 관객이 함께 역사의 길을 걸어 가자는 콘셉트로 새롭게 만든 ‘여명의 눈동자’는 3.1절과 건국의 소중한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우리의 아픈 역사를 예술로 승화시킨 감동을 현대를 살아가는 관객들에게 선사하며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김하진 기자 hahahajin@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