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아시아=유찬희 기자]
영화 ‘다른 길이 있다’ 감독, 배우진, 제작진과 스태프 일동이 연탄가스 흡입 실연 논란과 관련해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20일 ‘다른 길이 있다’ 측은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논란이 된 연탄가스 흡입 및 촬영 현장 안전 상황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다른 길이 있다’ 측은 배우 서예지의 연탄가스 흡입 장면의 촬영과 관련해 “감독과 스태프들이 배우를 배제하고 회의를 진행한 후 실제 연탄가스를 흡입하게 했다는 이야기는 사실과 다르다”고 부인했다.
지난 19일 진행된 관객과의 대화에서 서예지는 “현장에서 즉흥적으로 만들어지거나 감독이나 제작진에 의해 배우에게 강요된 상황은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서예지는 ” 애정이 깊었던 영화의 고생담과 에피소드를 이야기하다 보니 인터뷰 과정에서 사실과 다르게 전달된 부분이 있었던 것 같다”며 “인터뷰 당시에는 자각하지 못했고 의도하지 않은 논란이 발생해 무척 안타까운 마음이다. 작품이 폄훼되고 감독님이 공격받고 있는 상황이 너무 마음이 아프다”라고 입장을 전했다.
이와 관련해 김재욱 또한 “촬영 현장에서 감독과 제작진의 어떠한 강요도 없었다”라며 “실제로 현장에서 리스크가 있는 촬영이 진행될 때에는 사전에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리허설을 꼼꼼하게 거쳤고, 배우들 역시 그 과정을 함께했다”라고 논란을 해명했다.
‘다른 길이 있다’ 측은 “조창호 감독과 제작진 및 스태프 일동, 배우 김재욱과 서예지를 비롯한 소속사 측 모두 사실과는 다르게 과장되거나 축소된 부분들로 인해 논란이 커지고 있음에 안타까운 마음이다”라며 “이번 논란으로 인해 촬영 현장의 안전 문제에 대해 통감하였고 이에 대한 각성의 계기가 되었다”라고 전했다.
또한 이번 논란이 조창호 감독의 강요에 의한 횡포로 번지고 있는 상황에 우려를 표명하며 “촬영 현장에서 감독과 배우 간에 수평선 상의 논의가 충분히 진행됐고, 동의 없이 촬영된 장면은 없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조창호 감독의 공식 입장도 함께 발표됐다.
조 감독은 “영화 제작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 총체적인 책임을 지는 감독으로써 이러한 문제가 야기된 것에 대해 깊이 사과드린다”라며 “촬영 현장에서 진행된 모든 장면에서 위계에 의한 강압적 지시가 없었다 “라고 해명했다.
이어 “대부분의 연기가 연탄가스가 아니었으나, 미량의 연탄가스가 흘러나왔음은 변명할 수 없는 사실이다”며 “이 부분은 당연히 제가 질타를 받아 마땅한 부분이다. 배우의 동의와 무관하게 진행하지 말았어야 했음을 크게 반성하고, 다시 한 번 서예지 배우에게 공식적인 입장문을 통해 사과의 말씀을 전한다”라고 말했다.
더불어 함께 논란이 된 얼음위 씬에 관해서도 “얼음과 관련된 모든 촬영 시에는 안전사고를 대비해 무술감독 팀이 함께 했다”며 “촬영 당시에는 예산을 오버해 가며 안전사고에 대비해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고 생각했지만 이번 논란으로 과연 충분했는가, 당시의 판단이 옳았는가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다”고 전했다.
조 감독은 “영화의 제작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일에 대한 책임은 감독인 저에게 있으며 잘못된 부분에 대해 사과 드린다”라고 거듭 사과했다.
이하 조창호 감독의 공식 입장 전문.
영화 ‘다른 길이 있다’의 감독 조창호입니다.
‘다른 길이 있다’ 촬영 과정에서 발생한 서예지 배우의 실제 연탄가스 흡입 논란에 대한 감독의 입장을 밝힙니다.
영화 제작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 총체적인 책임을 지는 감독으로써 이러한 문제가 야기된 것에 대해 깊이 사과드립니다.
먼저 촬영 현장에서 진행된 모든 장면에서 위계에 의한 강압적 지시가 없었음을 말씀드립니다.
연탄가스 흡입 촬영 장면에 대해서도 자세히 말씀드립니다.모조 연탄 제작에 우선 실패하였습니다. 제대로 구현이 안됐습니다.
특효팀,무술팀이 등이 준비된 촬영일정을 변경하기가 곤란한 상황에서 논의 끝에 실제 연탄을 사용했지만 대부분 불이 붙지 않은 생 연탄에 나뭇가지나 나뭇잎을 태우거나, 특효팀에서 준비한 (실제 이러한 상황에서 많이 사용되는) 검은 천, 그 외의 특수효과로 연기를 생성했고 부족한 부분은 후에 c.g로 보충하기도 했습니다.
문제가 되는 2개의 컷이 있습니다.
연탄 전체가 클로즈업 되거나 배우와 함께 잡히는 풀숏에서 하단에 아주 조금 불이 붙은 연탄을 사용했습니다. 연탄에 불이 붙지 않은 가짜임이 드러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스텝과 촬영 방법을 논의, 배우의 의견을 묻고 동의를 얻었으며 예상숏의 길이 등을 설명 후 촬영을 했습니다. 이 때도 연기는 대부분 다른 물질의 도움을 받았으며 실제 영화에서 보이는 붉은빛의 연탄은 c.g의 도움을 받은 것입니다.
모든 촬영준비를 세팅 한 후 슛 싸인과 함께 연탄을 차 안에 배치했으며 컷 싸인과 함께 배우와 연탄을 차 안에서 빼내는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 해당 씬의 위험 장면 촬영을 위해 전문적인 스턴트도 대기시켰습니다. 이러한 과정은 촬영을 진행할 수 있는 조건과 관련된 것이었지 배우의 연기를 위해 실제 상황을 연출한 것은 전혀 아니었습니다.
대부분의 연기가 연탄가스가 아니었으나 미량의 연탄가스가 흘러 나왔음은 변명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이 부분은 당연히 제가 질타를 받아 마땅한 부분이며 배우의 동의와 무관하게 진행하지 말았어야 했음을 크게 반성하고 다시 한 번 서예지 배우에게 공식적인 입장문을 통해 사과의 말씀을 전합니다.
연탄가스와 다른 연기들이 배우에게 유해했음은 주지의 사실일 것입니다. 이번 논란으로 불쾌함을 겪은 많은 분들께도 깊이 사과드립니다.
함께 논란이 되고 있는 얼음위 씬의 촬영에 대해서도 말씀드립니다.
위에서 언급된 차량 씬은 물론 얼음과 관련된 모든 촬영시에는 안전사고를 대비해 무술감독 팀이 함께 했습니다. 스킨스쿠버 자격증이 있는 무술감독과 제가 먼저 얼음의 상태를 체크한 후 촬영 지역을 결정하였으며 얼음 위에 오르는 스텝을 최소화하여 구명조끼를 착용케하였고 배우에게는 슈트를 입힌 후 구명보트가 대기된 상태에서 촬영을 진행했습니다. 롱숏에서는 무술감독이 프레임 안에, 근접 촬영에서는 프레임 밖에 대기한 상태였습니다. 촬영 당시에는 예산을 오버해 가며 안전사고에 대비해 세심 한주의를 기울였다고 생각했지만 이번 논란으로 과연 충분했는가, 당시의 판단이 옳았는가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동안 진행된 많은영화제 gv, 언론 시사 후 기자간담회, 개별 인터뷰 등에서 서예지,김재욱 배우는 위 촬영의 경험에 대해 작품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조금은 과장된 무용담처럼 이야기하였고 저도 때로 분위기에 따라서 가담하였습니다. 저는 이런 큰 논란이 야기될 것을 미처 예상하지 못한 채 촬영 당시의 배우의 열정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배우가 영화에 갖는 커다란 애정으로 이해하고 오히려 감사한 마음을 가졌습니다. 크게 논란이 인 이후 저는 배우들을, 배우들은 저를 걱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우리의 영화 ‘다른 길이 있다’를 걱정하고 있습니다. 서두에 말씀드린대로 영화의 제작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일에 대한 책임은 감독인 저에게 있으며 잘못된 부분에 대해 사과를 드립니다.
언론, 그리고 관객 여러분께 염치가 없지만 감히 부탁드립니다. 제 글로 논란이 종식될순 없겠고 여전히 질문이 존재할 것입니다. 차후에도 이 건에 대해서 책임을 가지고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끝으로 영화에 열정을 쏟아 붓고 지금도 무한 애정을 가지고 있는 서예지, 김재욱 배우분에게 큰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유찬희 기자 chan0502@tenasia.co.kr
20일 ‘다른 길이 있다’ 측은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논란이 된 연탄가스 흡입 및 촬영 현장 안전 상황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다른 길이 있다’ 측은 배우 서예지의 연탄가스 흡입 장면의 촬영과 관련해 “감독과 스태프들이 배우를 배제하고 회의를 진행한 후 실제 연탄가스를 흡입하게 했다는 이야기는 사실과 다르다”고 부인했다.
지난 19일 진행된 관객과의 대화에서 서예지는 “현장에서 즉흥적으로 만들어지거나 감독이나 제작진에 의해 배우에게 강요된 상황은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서예지는 ” 애정이 깊었던 영화의 고생담과 에피소드를 이야기하다 보니 인터뷰 과정에서 사실과 다르게 전달된 부분이 있었던 것 같다”며 “인터뷰 당시에는 자각하지 못했고 의도하지 않은 논란이 발생해 무척 안타까운 마음이다. 작품이 폄훼되고 감독님이 공격받고 있는 상황이 너무 마음이 아프다”라고 입장을 전했다.
이와 관련해 김재욱 또한 “촬영 현장에서 감독과 제작진의 어떠한 강요도 없었다”라며 “실제로 현장에서 리스크가 있는 촬영이 진행될 때에는 사전에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리허설을 꼼꼼하게 거쳤고, 배우들 역시 그 과정을 함께했다”라고 논란을 해명했다.
‘다른 길이 있다’ 측은 “조창호 감독과 제작진 및 스태프 일동, 배우 김재욱과 서예지를 비롯한 소속사 측 모두 사실과는 다르게 과장되거나 축소된 부분들로 인해 논란이 커지고 있음에 안타까운 마음이다”라며 “이번 논란으로 인해 촬영 현장의 안전 문제에 대해 통감하였고 이에 대한 각성의 계기가 되었다”라고 전했다.
또한 이번 논란이 조창호 감독의 강요에 의한 횡포로 번지고 있는 상황에 우려를 표명하며 “촬영 현장에서 감독과 배우 간에 수평선 상의 논의가 충분히 진행됐고, 동의 없이 촬영된 장면은 없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조창호 감독의 공식 입장도 함께 발표됐다.
조 감독은 “영화 제작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 총체적인 책임을 지는 감독으로써 이러한 문제가 야기된 것에 대해 깊이 사과드린다”라며 “촬영 현장에서 진행된 모든 장면에서 위계에 의한 강압적 지시가 없었다 “라고 해명했다.
이어 “대부분의 연기가 연탄가스가 아니었으나, 미량의 연탄가스가 흘러나왔음은 변명할 수 없는 사실이다”며 “이 부분은 당연히 제가 질타를 받아 마땅한 부분이다. 배우의 동의와 무관하게 진행하지 말았어야 했음을 크게 반성하고, 다시 한 번 서예지 배우에게 공식적인 입장문을 통해 사과의 말씀을 전한다”라고 말했다.
더불어 함께 논란이 된 얼음위 씬에 관해서도 “얼음과 관련된 모든 촬영 시에는 안전사고를 대비해 무술감독 팀이 함께 했다”며 “촬영 당시에는 예산을 오버해 가며 안전사고에 대비해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고 생각했지만 이번 논란으로 과연 충분했는가, 당시의 판단이 옳았는가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다”고 전했다.
조 감독은 “영화의 제작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일에 대한 책임은 감독인 저에게 있으며 잘못된 부분에 대해 사과 드린다”라고 거듭 사과했다.
이하 조창호 감독의 공식 입장 전문.
영화 ‘다른 길이 있다’의 감독 조창호입니다.
‘다른 길이 있다’ 촬영 과정에서 발생한 서예지 배우의 실제 연탄가스 흡입 논란에 대한 감독의 입장을 밝힙니다.
영화 제작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 총체적인 책임을 지는 감독으로써 이러한 문제가 야기된 것에 대해 깊이 사과드립니다.
먼저 촬영 현장에서 진행된 모든 장면에서 위계에 의한 강압적 지시가 없었음을 말씀드립니다.
연탄가스 흡입 촬영 장면에 대해서도 자세히 말씀드립니다.모조 연탄 제작에 우선 실패하였습니다. 제대로 구현이 안됐습니다.
특효팀,무술팀이 등이 준비된 촬영일정을 변경하기가 곤란한 상황에서 논의 끝에 실제 연탄을 사용했지만 대부분 불이 붙지 않은 생 연탄에 나뭇가지나 나뭇잎을 태우거나, 특효팀에서 준비한 (실제 이러한 상황에서 많이 사용되는) 검은 천, 그 외의 특수효과로 연기를 생성했고 부족한 부분은 후에 c.g로 보충하기도 했습니다.
문제가 되는 2개의 컷이 있습니다.
연탄 전체가 클로즈업 되거나 배우와 함께 잡히는 풀숏에서 하단에 아주 조금 불이 붙은 연탄을 사용했습니다. 연탄에 불이 붙지 않은 가짜임이 드러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스텝과 촬영 방법을 논의, 배우의 의견을 묻고 동의를 얻었으며 예상숏의 길이 등을 설명 후 촬영을 했습니다. 이 때도 연기는 대부분 다른 물질의 도움을 받았으며 실제 영화에서 보이는 붉은빛의 연탄은 c.g의 도움을 받은 것입니다.
모든 촬영준비를 세팅 한 후 슛 싸인과 함께 연탄을 차 안에 배치했으며 컷 싸인과 함께 배우와 연탄을 차 안에서 빼내는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 해당 씬의 위험 장면 촬영을 위해 전문적인 스턴트도 대기시켰습니다. 이러한 과정은 촬영을 진행할 수 있는 조건과 관련된 것이었지 배우의 연기를 위해 실제 상황을 연출한 것은 전혀 아니었습니다.
대부분의 연기가 연탄가스가 아니었으나 미량의 연탄가스가 흘러 나왔음은 변명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이 부분은 당연히 제가 질타를 받아 마땅한 부분이며 배우의 동의와 무관하게 진행하지 말았어야 했음을 크게 반성하고 다시 한 번 서예지 배우에게 공식적인 입장문을 통해 사과의 말씀을 전합니다.
연탄가스와 다른 연기들이 배우에게 유해했음은 주지의 사실일 것입니다. 이번 논란으로 불쾌함을 겪은 많은 분들께도 깊이 사과드립니다.
함께 논란이 되고 있는 얼음위 씬의 촬영에 대해서도 말씀드립니다.
위에서 언급된 차량 씬은 물론 얼음과 관련된 모든 촬영시에는 안전사고를 대비해 무술감독 팀이 함께 했습니다. 스킨스쿠버 자격증이 있는 무술감독과 제가 먼저 얼음의 상태를 체크한 후 촬영 지역을 결정하였으며 얼음 위에 오르는 스텝을 최소화하여 구명조끼를 착용케하였고 배우에게는 슈트를 입힌 후 구명보트가 대기된 상태에서 촬영을 진행했습니다. 롱숏에서는 무술감독이 프레임 안에, 근접 촬영에서는 프레임 밖에 대기한 상태였습니다. 촬영 당시에는 예산을 오버해 가며 안전사고에 대비해 세심 한주의를 기울였다고 생각했지만 이번 논란으로 과연 충분했는가, 당시의 판단이 옳았는가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동안 진행된 많은영화제 gv, 언론 시사 후 기자간담회, 개별 인터뷰 등에서 서예지,김재욱 배우는 위 촬영의 경험에 대해 작품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조금은 과장된 무용담처럼 이야기하였고 저도 때로 분위기에 따라서 가담하였습니다. 저는 이런 큰 논란이 야기될 것을 미처 예상하지 못한 채 촬영 당시의 배우의 열정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배우가 영화에 갖는 커다란 애정으로 이해하고 오히려 감사한 마음을 가졌습니다. 크게 논란이 인 이후 저는 배우들을, 배우들은 저를 걱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우리의 영화 ‘다른 길이 있다’를 걱정하고 있습니다. 서두에 말씀드린대로 영화의 제작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일에 대한 책임은 감독인 저에게 있으며 잘못된 부분에 대해 사과를 드립니다.
언론, 그리고 관객 여러분께 염치가 없지만 감히 부탁드립니다. 제 글로 논란이 종식될순 없겠고 여전히 질문이 존재할 것입니다. 차후에도 이 건에 대해서 책임을 가지고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끝으로 영화에 열정을 쏟아 붓고 지금도 무한 애정을 가지고 있는 서예지, 김재욱 배우분에게 큰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유찬희 기자 chan0502@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