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아시아=박수정 기자]
kt뮤직
kt뮤직
kt뮤직 음악서비스 지니가 알뜰 음악 감상으로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에 부담을 느끼는 대중을 공략한다.

16일 오전 kt뮤직은 서울 KT 광화문 빌딩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신규 서비스 ‘지니 알뜰 음악 감상’, ‘지니라이프’를 소개했다. 이날 김성욱 kt뮤직 대표, 김훈배 부사장, 정준영 플랫폼사업본부장, 서인욱 연구개발본부장, 황정일 전략사업본부장이 참석했다.

‘지니 알뜰 음악 감상’은 월 기본료 100원, 1곡 감상시 10원씩 요금이 추가되는 후불 요금제다. 음악 스트리밍 1곡 가격은 12원이지만, 고객의 편의를 위해 17% 할인되는 10원의 가격으로 감상할 수 있다.

후불 음악감상 요금제를 기획하게 된 이유는 비용이 부담돼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고객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김성욱 대표는 “비용 부담으로 음악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았던 잠재고객들까지 유료 음악시장으로 편입시킬 수 있게 돼 2016년까지 시장을 10% 더 키울 수 있다”며 “합리적인 소비로 디지털 음악 시장을 확산할 것”이라고 말했다.

후불제 음악 감상 요금제인 지니 알뜰 음악 감상은 선택적으로 음악을 듣는 고객을 끌어들일 수 있다. 출퇴근길에 간단히 음악을 감상하거나 한 달에 500번 미만으로 음악을 듣는 이들에게 정액 요금제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음악을 즐길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 음악을 다 듣지 않고 넘기는 경우에도, 1분 이하는 미리듣기로 정산되며 1분 이상 들었을 때 10원이 부과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알뜰 음악 감상에는 여러 가지 우려 섞인 시선도 있다. 기존 정액 요금제를 사용하는 고객의 이탈, 한 곡 당 10원이라는 인식이 주는 콘텐츠의 가격, 창작자의 사기저하 등이 꼽힌다. 또한, 12원에서 17% 할인된 가격을 제공하는 kt뮤직 입장에서 할인율을 계속 유지하는 것과 단기 실적에 대한 궁금증도 있다.

김성욱 대표는 “시간이 필요하다. 기존 시장과의 카니발을 유도하는 것이 아니고 기존 시장을 넓히려고 하는 것이다. 단돈 10원으로 음악 한 곡을 듣는 것은 유익하다. 10원으로 껌을 살 수 있나? 고객의 저변이 점차 넓어지는 것이라 생각한다. 결국에는 고객들이 많이 인지한다면, 부담없이 사용한다며 전망이 넓을 것 같다”고 자신의 생각을 전했다.

창작자에 대한 불이익이 없다는 점도 강조했다. 김성욱 대표는 “창작자가 불이익을 받는 케이스는 없다. 징수 체계 안에서 요금을 정한 것”이라며 “고객, 창작자 입장에서는 10원 비싸냐 싸냐 논쟁이 있다. 콘텐츠의 본질 가치가 10원이라는 것이 절대 아니다. 기존의 징수 체계 안에서 콘텐츠 이용을 넓히게 하려는 것이 목적이다”고 말했다.

6,000원으로 기존 시장을 이용하는 고객이 줄어드는 것에 대해서 김 대표는 “기존 요금제 이용 고객은 보통 600~700곡을 듣는다. 이 요금제를 사용할 경우, 돈을 더 많이 내기 때문에 카니발이 이뤄지지 않는다고 본다”며 “디지털 음악을 유료로 사용하지 않는 집단이 타깃”이라고 밝혔다.

지니는 현재 시장점유율 20%를 차지하며, 국내 음원서비스 2위 규모를 지녔다. 1위는 로엔엔터테인먼트에서 운영하는 멜론으로 50~55%의 점유율을 자랑한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번 알뜰 음악 감상에는 로엔엔터테인먼트에서 유통하는 음원이 서비스에서 제외된다. 김성욱 대표는 “우리는 신규 시장을 창출한다고 생각했는데 음원 공급을 하지 않는 회사는 우리와 생각이 다른 것 같다. 조속히 함께 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스마트폰의 보금과 모바일 환경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음악 시장을 이용자수는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음원 시장도 이예 따라 규모를 키우는 가운데, 지니의 후불제 요금 전략이 음악에 돈을 쓰지 않는 사용자들의 지갑을 열게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은다.

박수정 기자 soverus@
사진. 지니 홈페이지 캡처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