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10월 조강생산 13% 증가, 수요 회복세 확인...현대증권 - 투자의견 : Overweight(유지) 경기 회복으로 글로벌 조강 생산량 전년대비 2개월 연속 증가: 10월 글로벌 조강 생산량은 전년대비 13.1% 증가한 1.12억톤으로 집계됐다. 2008년 9월(1.08억톤, -3.0% YoY)부터 경기 침체 영향으로 전년대비 감소세를 기록하기 시작한 글로벌 조강 생산량은 2009년 9월(1.09억톤, +1.0% YoY)에 전년대비 증가세로 반전한 후 10월에도 증가세를 이어갔다. 아시아를 중심으로 경기가 빠르게 회복되는 가운데, 유럽/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산업생산이 증가하며 철강 수요가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의 생산량 확대 지속. 10월 생산량 5,175만톤 기록(+42% YoY, +2.0% MoM): 중국의 생산량 확대가 지속되고 있다. 중국의 10월 조강 생산량은 5,175만톤으로 전년대비 42.4%, 전월대비 2.0% 증가했다. 10월 누계 기준으로도 전년대비 10.7% 증가해 주요국 중 유일하게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중국의 생산 증가는 설비증설과 수요 확대가 맞물린 결과이기 때문에 월 5천만톤 이상의 생산량은 앞으로도 유지될 전망이다. 속도는 더디지만 유럽, 북미 지역의 수요 회복세도 지속될 전망: 유럽과 북미의 조강 생산량도 전월대비 증가했다. 하지만 두 지역은 여전히 전년대비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경기 회복이 더디다는 점이 조강 생산량을 통해서도 확인되고 있다. 하지만 두 지역의 경기 지표도 꾸준한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조강 생산과 수요 회복 추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중국 재고 감소, 철강 가격 반등을 바탕으로 철강업 강세 기조 유지될 전망: 중국의 철강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수요도 동반해서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우려할 사항이 아니다. 실제로 중국 철강 재고는 최근 감소세로 반전했으며 철강 가격도 10월부터 반등세가 이어지고 있다. 품목별 재고에서 문제가 되는 열연의 경우도 경기 회복으로 수출이 재개되며 재고 감소 추세로 반전될 전망이다. 글로벌 수요 회복이 진행 중이고, 철강업의 우려 요인이었던 중국의 재고와 철강 가격이 모두 우호적으로 반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철강업의 강세 기조는 지속될 전망이다. 철강업에 대해 Overweight 의견을 유지하고, Top picks로 POSCO(BUY, 적정주가 635,000원), 현대제철(BUY, 적정주가 115,000원)을 제시한다.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