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제네릭 가격에 대한 우려보다는 사용 증가로 인한 효과에 주목할 필요...현대증권 - 투자의견 : Overweight(유지) 최근 국내 제약시장에서 제네릭 가격의 거품이 심하며, 효과적인 약품비 통제를 위해서는 제네릭 가격을 하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가 제기됨. 그러나 약품비 증가의 주원인은 가격이 아닌 사용량 증가와 고가 의약품 처방에 기인한다는 점에서 가격 통제는 큰 실효성이 없을 것으로 여겨짐. 반면, 믹스 정책에서는 제네릭 사용 장려책이 예상되어 긍정적. 국내 제네릭 사용량 외국 대비 낮아: 국내 제네릭 사용은 금액 기준, 사용량 기준 모두 40%대에 머물러 외국에 비해 제네릭 사용량이 낮은 반면, 제네릭 가격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있음. 국내 제네릭 가격이 외국에 비해 높은 것은 자국 제약산업을 보호하려는 정책상의 배려가 일정 부분 작용. 이는 국내 제약산업이 제네릭과 개량신약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임. 그러나 자국 산업에 대한 보호는 외국에서도 시행되는 정책으로, 브랜드 의약품 중심으로 제약산업이 형성된 선진국은 브랜드 의약품 가격이 높게 형성됨. 의약품간 가격경쟁 발생할 전망: 국내 의약품 가격에서 리베이트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이유 중 하나는 시장이 제네릭간 경쟁보다는 브랜드 의약품 대 제네릭의 경쟁 구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으로 여겨짐. 따라서 제네릭 처방에 대한 유인책이 존재하는 보험 시스템에서는 현재와 같은 과도한 리베이트가 줄어드는 반면 제네릭간 경쟁으로 전환되며 가격경쟁이 자연스레 제한적이나마 발생할 수 있을 전망임. 약품비 통제는 사용 규제가 필수적: 약품비 = f (P, Q, Mix)에서 약품비 증가는 가격 요인이 아닌 사용 증가에 주로 기인함. 사용량 통제는 인구고령화로 인한 만성질환자의 증가라는 구조적 요인으로 통제 수단이 제한적인 반면, 사용 믹스 부문은 다양한 정책이 가능하며, 제네릭 장려책이 예상됨. 현행 행위별 수가제 하에서는, 처방권을 지닌 의사가 고가의 의약품을 처방하는 것에 대한 재정적 부담이 없기 때문에, 제네릭 선호도가 떨어짐. 반면, 포괄수가제나 총액계약제 등이 도입될 경우 제네릭 처방이 증가할 전망. 제네릭 기업의 valuation이 전세계적으로 높게 나타나: 글로벌 헬스케어 valuation 비교에서는 미국 PER 14배(12개월 forward 예상), 영국 11배에 비해 인도 20배, 러시아 23배, 브라질 28배로 제네릭 업종의 valuation이 높게 형성됨. 기업별로도, Pfizer의 PER 8배 대비 제네릭 기업인 Teva 17배, Dr. Reddy's 19배로 나타남. 국내 제약업종의 FY08F, FY09F 영업이익 성장률이 20%대에 이르는 점을 감안하면, 업종 FY08F PER 16배는 매력적인 수준.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