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행보·같은 결론 : 한·미 금융정책...하나증권 1. 다른 행보 (한국은 인상, 미국은 동결) → 같은 결론(실질적으로는 금융긴축 중단) 한국과 미국의 상반된 정책 결정, 그러나 결론은 같다 : 한국은 금리인상, 미국은 동결로 다르지만 (1)인플레 발생 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이에 따른 (2)정책기조의 변경 가능성은 유사 인플레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공통 인식 : 금융정책의 기조변화는 인플레에 대한 인식 변화를 의미, 미국은 실물경제의 위축, 한국은 상대적인 물가안정이 금리인상 중단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 2. 정책기조의 변화 이후에도 경기둔화는 계속 정책시차로 07년 중반까지는 경기조정 : 누적된 금리인상의 영향이 실물경제와 가격변수에 1년 정도 이후까지 영향을 미쳐 07년 중반까지는 경기둔화 진행 예상 금융긴축의 경기억제효과는 제한적 : 이번 경기순환 자체가 경기진폭이 적은 편이며, 해외경제의 호황이 미국의 금융긴축효과를 상당 부분 상쇄하고, 시장금리의 하향안정이 긴축의 영향을 완화 3. 한·미 금융정책에 따른 주식시장 영향 단기적으로 긍정적 : 지난 2년간 진행된 미국의 긴축 스탠스가 변곡점을 맞이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영향 기대, 한국의 금리인상은 국내증시에 상대적으로 부담이나 그 영향은 일시적일 것으로 판단 중기적으로 중립적 : 역사적으로 긴축 중단 시점의 미국과 세계경기 여건은 주식시장에 우호적이지 못했으며, 경기둔화의 속도에 따라 주가의 하방경직성 수준이 결정 → 기간조정 시각 유지 주목해야 할 변수 : (1)경기둔화의 속도 → 미국 경기의 연착륙 가능성과 중국 등의 성장지속으로 연착륙 기대, (2)유동성과 원자재 가격 → 금리 동결로 유가 등 원자재 가격을 다시 압박할 가능성이 있으나 가파른 상승이 우려되지는 않으며 오히려 가파른 하락이 더 심각한 악재.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