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Soft-Patch 이후 하반기 경기 상승 전망...메리츠증권 : 경기회복의 최대 수혜주는 정보통신 (IT) 업종 1. 미국의 Soft Patch는 일시적 현상 - 미국경제의 둔화는 경제회복기에서 성장기로 전환하는 과정에 발생된 일시적인 Soft Patch 국면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하반기에는 생산 중심의 더욱 높은 성장이 예상됨. 2. 중국의 위안화 절상 가능성은 제한적 - 중국 정부가 의도한 바와 같이 경제 활력이 생산에서 소비로 완만한 이전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과 중국의 외환보유액 증가분중 상당액이 투기성 자금에서 유발되었다는 점, 마지막으로 중국은행의 부실여신이 지나치게 높아 중국의 환율 개혁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등이 위안화 절상 가능성을 약화시킴. 3. 미국과 중국의 생산증대 가능성은 소재주에 긍정적 - 중국의 경우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경제 성장률을 정부가 조절할 가능성이 있어 China Effect의 빠른 회복은 어려워 보이나 미국은 3번째 경기성장 Cycle에서 짧은 Soft Pacth 국면을 지나 하반기부터는 회복될 것으로 기대되어 점차 소재주의 가격 하락은 하방경직성을 보이다 4/4분기 초에는 다시 회복될 전망 4. 하반기 최대 수혜주는 Digital TV 중심의 IT 업종임. - 80년대 이후 미국의 경기 상승 Cycle과 더불어 3번의 가전제품에 대한 구매욕구 확대가 발생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그 당시 산업의 높은 경쟁력을 가진 국가가 최대의 수혜를 얻음. 80년대 컬러 TV 산업에서 높은 경쟁력을 갖고 있던 일본은 90년대 PC 산업 시대에 들어서며 산업생산증가율과 경제성장률이 반으로 줄어든 반면 미국은 반대로 90년대에 높은 성장률을 기록함. 향후 Digital TV 산업 시장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한 국내 기업들이 향후 가장 큰 수혜를 얻을 전망임. 5. 주식시장에 긍정적인 환경이 조성 - 저금리와 IT 산업의 새로운 상승 Cycle 도래라는 2가지 환경변화가 국내 주식시장의 투자매력을 높임. 그러므로 일차적으로 제일 큰 수혜를 입는 정보통신 (IT) 주식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필요성이 높아짐. IT주의 Top picks은 LG필립스 LCD, 삼성전자, LG 전자, LG 마이크론, 삼성 SDI 임. 또한 이차적으로는 하반기 생산의 재상승을 겨냥해 소재주에 대한 투자도 고려할 필요가 있는데 소재주의 Top Picks은 Posco, SK, S-Oil 임. ** 본 한경브리핑 서비스는 거래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또한, 정보의 오류 및 내용에 대해 당사는 어떠한 책임도 없으며, 단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