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미디에 집중한 것도, 누아르에 집중한 것도 아니다.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으려고 했던 것은 욕심이었다. 결국 개그맨 박성광이 꾼 꿈이 망쳐놨다. 영화 '웅남이'의 이야기다.
'웅남이'는 반달곰이라는 특별한 비밀을 가진 사나이가 특유의 짐승 같은 능력으로 국제 범죄 조직에 대항하여 공조 수사를 벌어지는 코믹 액션 영화다.
1997년 종복 기술원에서 비밀리에 쌍둥이 반달곰이 관리받았다. 과학자인 나복천(오달수 역)은 쌍둥이 반달곰을 '내 새끼'라고 칭한다. 그러던 중 쌍둥이 반달곰이 사라진다. 직접 수색에 나선 나복천은 쌍둥이 반달곰에 부착한 기계를 차고 있는 어린아이를 발견한다.

평화롭기만 했던 웅남이의 라이프는 갑자기 변화를 맞이한다. 웅남이는 우연히 국제 범죄 조직과 얽히게 된 것. 웅남이는 이정식(최민수 역) 밑에서 2인자로 성장한 쌍둥이 형 응북이(박성웅 역)를 만나게 된다. 반달곰에서 사람이 된 웅남이에게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
'웅남이'는 단군 신화를 모티브로 100일 동안 쑥과 마늘을 먹고 사람이 된 쌍둥이 곰이라는 설정을 가져왔다. 단군 신화는 신박한 소재가 아니다. 어릴 적 단군 신화를 듣고, 책으로 보면서 누구나 한 번쯤 상상해 봤을 법한 이야기다. '웅남이'의 전체적인 스토리 역시 예상이 가능하다. '이렇게 되겠지?'라고 생각한 모습이 그대로 그려지기 때문.
개그맨 박성광이 자기의 오랜 꿈인 영화감독으로 출사표를 던졌다. 이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개그맨의 웃음 코드다. 하지만 '웅남이'에는 MZ 문화가 빠르게 유행 중인 지금과 맞지 않는 개그 코드가 속속 등장한다. 웃겨서 웃음을 자아내는 말맛이 아닌, 정색하게 만드는 요소가 많다. 어쩌면 '개그맨' 박성광의 오만한 판단일지도 모르겠다.

결과로 말하는 스포츠에서는 전술이 중요하다. 이 전술은 감독이 짜게 되는데, 박성광의 전술은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 코미디에 집중한 것도 아니다. 그렇다고 누아르에 치중한 것도 아니다. 다른 영화나 드라마에서 본 듯한 장면이 그대로 스크린에 나타난다. 한 치의 오차도 없다. 박성웅의 피지컬 때문에 그의 슈트핏만 돋보일 뿐이다. 짧은 러닝타임이라도 집중하게끔 만들기보다 자세를 여러 번 고치고, 휴대 전화를 보고 싶게 만드는 욕구가 생기게 한다.
그나마 기대를 품게 만든 '개그맨' 박성광의 개그도 드라마틱하지 않았다. 개그맨 출신 영화감독이라는 수식어가 부담된다고 했지만, 사람은 자기가 잘하는 걸 할 때 더욱 빛이 난다. 도전은 응원하나 웃음이든 감동이든 관객에게 만족을 전달해야 하는 게 영화의 기능이다. 감독 박성광이 전달하고 싶은 건 무엇인지 갸우뚱하게 만든다. 결국 박성광의 오랜 꿈은 그저 꿈으로 끝날 수밖에 없는, 이도 저도 아닌 '웅남이'가 돼버렸다.
3월 22일 개봉. 15세 이상 관람가. 러닝타임 98분.
강민경 텐아시아 기자 kkk39@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