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유나의 듣보드뽀》
'슈룹' 가상의 인물이지만 '조선' 명칭 사용
고증·자막 오류 의혹 쏟아져
'슈룹' 가상의 인물이지만 '조선' 명칭 사용
고증·자막 오류 의혹 쏟아져

태유나 텐아시아 기자가 현장에서 듣고 본 사실을 바탕으로 드라마의 면면을 제대로 뽀개드립니다. 수많은 채널에서 쏟아지는 드라마 홍수 시대에 독자들의 눈과 귀가 되겠습니다.
tvN 토일드라마 '슈룹'이 고증 오류로 시끄럽다. 가상의 인물을 설정했지만, 엄연히 '조선'이라는 국명을 사용하고 있음에도 도를 지나친 역사 왜곡이 불편함을 자아내고 있기 때문. 뜨거운 인기에도 웃을 수 없는 이유다. '슈룹'은 우산의 옛날 말로, 사고뭉치 왕자들을 위해 치열한 왕실 교육 전쟁에 뛰어드는 중전의 파란만장 궁중 분투기를 담은 작품. 원작은 없으며 박바라 작가의 입봉작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의 방송영상콘텐츠 제작 지원 사업에 선정된 작품이며 인물과 지명, 단체, 사건 등은 역사적 사실과 무관한 허구임을 강조하고 있다.
시대적 배경은 조선. 가상의 인물들을 내세운다 해도 시대에 대한 철저한 고증은 필요한 법인데 '슈룹'은 이를 대놓고 무시하는 행태를 보인다.

ADVERTISEMENT

여기에 아들만 5명을 낳았음에도 입지가 흔들리는 중전이라는 설정 역시 억지스럽다. 적서차별이 심했던 조선에서 대군들이 다른 왕자들과 같은 곳에서 교육받고, 같이 경쟁한다는 것 자체가 한국 사극이 아닌 중국 고장극 느낌을 자아낸다.

SBS '조선구마사'가 중국풍 소품과 조선 건국 폄훼 등의 역사 왜곡으로 2회 만에 조기 폐지되자 '홍천기'는 조선시대 유일한 여성 화사라는 설정에서 '단왕조'라는 가상 국가로 명칭을 바꾸고 인물들의 이름도 수정했다. 역사 왜곡이 막기 위해서다.
ADVERTISEMENT
태유나 텐아시아 기자 youyou@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