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논란 일으킨 배우들의 출연작 연이어 공개 중
마약 혐의 유아인, 음주 배성우·김새론 등
구독자만 볼 수 있는 플랫폼+외국 기업이란 점으로 '모면'
마약 혐의 유아인, 음주 배성우·김새론 등
구독자만 볼 수 있는 플랫폼+외국 기업이란 점으로 '모면'

까놓고, 까칠하게 하는 오늘의 이야기. 김지원 텐아시아 기자가 연예계 이슈를 까다로운 시선으로 비판합니다.
마약, 음주운전 등 사회적 논란을 일으킨 배우들의 '복귀 시험대'가 넷플릭스가 되고 있다. 구독자만 시청할 수 있는 플랫폼이라는 폐쇄성 때문이다. 논란이 있는 1명의 배우로 인해 모두가 피해볼 수 없다는 넷플릭스와 제작진의 입장은 이해하지만, '재편집' 카드만 들이밀면 된다는 식, 어쩔 수 없다는 식의 대응 방안은 아쉬움을 남긴다. 넷플릭스는 지난 27일 오리지널 시리즈 '종말의 바보'를 공개했다. '종말의 바보'는 지구와 소행성 충돌이 200일 남은 가운데, 종말을 앞둔 사람들이 살아가는 이야기를 그린 시리즈다. 이 작품은 마약 투약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유아인이 주인공이다. 유아인 리스크로 인해 지난해에서 올해 4월로 미뤄져 공개됐다.

유아인은 생명공학연구소의 연구인이자 세경(안은진 분)과 결혼을 약속한 남자친구 하윤상 역으로 등장한다. 어설프게 유아인 분량을 덜어낸 탓에 서사가 허술하고 엉성해졌다. 이야기에 집중하기 어렵다는 게 시청자들의 중론. 유아인 특유의 말끝을 흐리는 어투도 시청자들이 마약 사건을 떠올리게 하는 요소다.

ADVERTISEMENT

앞서 극장 개봉작인 '1947 보스톤' 개봉 때도 배성우의 출연분을 두고 갑론을박이 일었다. 제작진은 편집에 공들였다는 입장이었지만 관객의 반응은 싸늘했다. 그런데 이번 작품은 극장 개봉작이 아닌 넷플릭스 공개작. 스리슬쩍 대중의 반응을 다시 한 번 살펴볼 수 있는 기회다.
이러한 논란이 있는 배우들의 작품을 공개할 때 넷플릭스는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홍보 과정에서 해당 배우들의 언급을 최소화한다. '종말의 바보'나 '사냥개들'의 경우 포스터에서 유아인, 김새론의 얼굴과 이름을 배제했다. '더 에이트 쇼'의 경우에는 주인공이 8명이나 되기에 배성우를 전면이 아닌 후면에 배치해 노출도를 줄였다. 통편집은 불가했지만 여러 번의 편집을 통해 분량을 최대한 덜어내려 노력했다는 것이 공통적인 변명이다.
ADVERTISEMENT
김지원 텐아시아 기자 bella@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