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경의 인서트》
'전국노래자랑', '세상에 이런일이' 등
장수 프로그램의 변화
시대에 맞춘 방송사의 선택
김신영, 김창완 /사진=텐아시아 DB
김신영, 김창완 /사진=텐아시아 DB
《강민경의 인서트》
드라마 속 중요 장면을 확대하는 인서트처럼, 강민경 텐아시아 기자가 방송가 이슈를 조명합니다. 입체적 시각으로 화젯거리의 앞과 뒤를 세밀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전국노래자랑',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아름다운 이 아침 김창완입니다'의 공통점은 장수 프로그램이라는 점이다. 세 프로그램의 진행 시작 연도를 합치면 도합 94년이다. 하지만 방송사의 선택은 달랐다. 시대에 맞춰 '변화'라는 카드를 꺼내 들었다.

1980년에 첫 방송을 시작한 '전국노래자랑'은 고 송해의 진행으로 시청자들의 일요일 낮을 책임졌다. 송해가 세상을 떠나면서 '전국노래자랑'의 MC 자리는 공석이 됐다. KBS 측은 고심 끝에 김신영을 고 송해의 후임으로 낙점했다. 김상미 CP는 김신영에 대해 대중과 함께하는 무대 경험이 풍부하다는 이유로 김신영을 선택했다고. '전국노래자랑' 최초의 여성 단독 MC가 된 김신영 역시 "가문의 영광"이라고 소감을 밝히기도.

김신영은 2022년 10월부터 '전국노래자랑'의 MC로 활약했다. 시청률은 4%~6%대를 왔다 갔다 했고, 지난해 연말 최고 시청률 7.7%를 기록했다. '전국노래자랑'의 시청률은 고정 시청자들 덕분에 큰 낙폭 없이 비슷한 숫자를 유지할 뿐 반등은 없었다. 앞서 3월 4일 김신영이 일방적으로 MC 교체 통보로 '전국노래자랑'에서 하차한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소속사 씨제스 스튜디오에 따르면 김신영은 3월 9일 마지막 녹화를 마쳤다.

김신영의 후임은 남희석이었다. 김신영의 하차 소식과 함께 후임으로 남희석이 낙점됐다. 시청자들은 KBS 시청자권익센터에 김신영의 하차 반대 청원을 제기했다. KBS는 "(김신영 님이 송해 선생님의 후임자로 발탁된 이후) 시청률은 하락세를 보였고, 시청자 민원을 통해 프로그램 경쟁력 하락에 대한 우려 역시 제기됐다. 프로그램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제작진은 다양한 특집을 기획하는 등 김신영 님과 함께 다방면으로 노력했으나 오랜 세월 프로그램을 사랑한 시청자들의 기대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했다"라고 설명했다.

'전국노래자랑'에 앞서 KBS는 예능 프로그램 '홍김동전'과 '옥탑방의 문제아들'을 폐지했다. 두 프로그램 역시 갑작스럽게 폐지 통보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역사저널 그날'도 예고 없이 갑작스럽게 종영됐으나 오는 5월 돌아올 예정이다. KBS에 이어 SBS에도 칼바람이 불었다. 김창완은 3월 14일 2000년부터 진행한 라디오 '아름다운 이 아침 김창완입니다' 마지막 방송을 마쳤다. 그는 기타를 연주하며 노래를 부르다 목이 메기도 하고 눈물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창완은 "그만두어야 한다는 말을 들었을 때는 귀가 저절로 닫히는 느낌이었다, 현실감이 없더라"고 털어놓기도 했다.

그뿐만 아니라 올해 1월 '세상에 이런 일이'가 폐지설에 휘말렸다. '세상에 이런 일이' 측은 방송사로부터 폐지 통보를 받았다는 것. 시사교양 본부 PD들은 성명을 통해 "폐지를 반대하고 편승 측에 시간대 이동을 요청했다"라면서 "힘을 모아 '세상에 이런 일이'를 지켜야 할 때다. 단순히 하나의 프로그램을 잃는 것이 아니라 시사교양 본부를 이끌어 가는 보직자들에 대한 구성원들의 신뢰까지 잃게 될 수도 있다"라고 했다. 다만 '세상에 이런 일이'는 폐지가 아닌 휴지기를 갖는다. SBS는 "방송 26주년에 맞춰 새로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5월부터 잠시 휴지기"라면서 "파리 올림픽 이후에 다시 돌아올 예정"이라고 했다.

방송사의 입장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폐지 혹은 휴지기 등에 대해 부담감을 가지고 있을 터다. 이는 시청률을 통한 광고 수익 등 때문. 코로나 팬데믹 이후 OTT 플랫폼이 활성화되면서 자연스럽게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률은 하락세를 보였다. 드라마의 경우 재밌으면 시청자들이 너도나도 보지만, 예능과 시사 교양 프로그램의 사정은 녹록지 않았다. 방송사도 시대에 맞춰 변화를 선택한 셈이다. 변화엔 고통이 따른다. 변화하되, 그 과정의 고통을 보듬어가는 방법론이 필요하다.

강민경 텐아시아 기자 kkk39@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