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넷플릭스
/사진제공=넷플릭스
넷플릭스 공동 CEO 테드 서랜도스가 계정 공유 유료화 및 수익 분배 등에 대해 이야기했다.
/사진제공=넷플릭스
/사진제공=넷플릭스
22일 오전 서울시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서울에서 넷플릭스와 한국 콘텐츠 이야기 간담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는 넷플릭스 공동 CEO 테드 서랜도스를 비롯해 콘텐츠 임원들이 참석했다.

이날 테드 서랜도스 공동 CEO는 "2016년 넷플릭스를 글로벌 론칭했는데 기대하지 않았다. 사람들은 오히려 할리우드의 전형적인 공식인 해외로 콘텐츠를 수출하는 것을 따를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우리는 다른 길을 선택했다"라고 밝혔다. 이어 "50개국이 넘는 국가에 투자했다. 지역 관객에게 재미를 주기 위한 것도 있지만, 훌륭한 이야기는 어디서든 나온다는 믿음을 갖고 있다. 믿음을 제대로 입증해준 곳이 없다"라고 덧붙였다.
/사진제공=넷플릭스
/사진제공=넷플릭스
테드 서랜도스는 "60%의 글로벌 시청자들이 K 콘텐츠를 하나 이상을 봤다. 영화 '카터', 시리즈 '지금 우리 학교는', '더 글로리'는 90개국 이상에서 TOP 10이라는 기염을 토했다. 그 어떤 작품도, 어떤 지표로 보거나 역사적인 '오징어게임'을 이기긴 쉽지 않다. '더 글로리',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피지컬: 100', '길복순' 등의 작품은 엄청난 팬덤을 만들어냈다"라고 설명했다.

한국 콘텐츠에 대한 잠재력을 알아본 넷플릭스. 테드 서랜도스는 "4년간 25억 달러(한화 약 3조 2248억 원)를 투자할 예정이다. 물론 차세대 크리에이터를 트레이닝하는 것 또한 포함"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한국 콘텐츠만이 가진 특징 및 강점에 대해 "대단한 스토리텔링의 힘을 가진 나라다. 한국의 스토리텔링은 어느 정도 역사를 반영하는 것 같다. 흥미로운 건 패션, 음악, 음식 등 함께 가는 것 같다"라고 설명했다.
/사진제공=넷플릭스
/사진제공=넷플릭스
테드 서랜도스는 "다양한 요소들이 아름다운 이야기 속에 다 묻어난다는 생각이 든다. 정해진 공식이 없다는 것도 강점이다. 위대한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는 자율성이 보장돼 있다. 상업적으로도 훌륭할 뿐만 아니라 창의적인 퀄리티를 가지고 있다. 제 아내도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팬이다. 그 드라마를 한 번 보고 사랑에 빠져서 새로운 장르의 다른 드라마에 빠진다. 흥분을 가져다주는 게 개성이라고 생각한다"라고 했다.

'오징어게임'을 제작한 제작사 퍼스트맨스튜디오 김지연 대표는 "로컬 작품이 글로벌을 만족시킬 작품이 분명히 존재한다. (넷플릭스처럼) 글로벌 시장으로 나갈 수 있는 플랫폼이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제작사는 힘이 되는 부분이 있다. 작품 선택과 마케팅, 배급에 많은 신경을 써주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사진제공=넷플릭스
/사진제공=넷플릭스
김지연 대표는 "사전 제작하다 보니까 작품에 대해 어느 정도 성공에 대한 보상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에 이슈가 되는 부분도 있다. 제작자, 창작자들과 좋은 관계 및 적절한 보상, 적절한 투자 등이 형성될 것이라고 믿는다. '오징어게임'도 시즌1 성공을 바탕으로 좋은 성격에서 시즌2 작업을 하고 있다. 저는 고무적으로 생각한다. '오징어게임' 같은 수많은 한국 콘텐츠가 나오기를 진심으로 바란다"라고 했다.

'D.P.' '지옥' '정이' 제작사 클라이맥스스튜디오 변승민 대표는 "넷플릭스와 작업하며 들은 가장 많은 질문은 수익 분배다. 정해진 룰이 있다 보니 흥행에 대해 지속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 수 있는 고민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되더라"고 털어놓았다. 이어 "드라마를 제작할 때 수익에 있어 PPL이나 창작자들이 PPL을 시청자들이 불편하지 않게 창작한다고 생각한다. 지속이 가능한 창작 시스템이 되도록 수익배분이 현실적인 룰이 생겼으면 한다"라고 바랐다.
/사진제공=넷플릭스
/사진제공=넷플릭스
넷플릭스는 2020년부터 망 사용료 부담과 관련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 사업자(ISP)인 SK브로드밴드와 법정 공방을 이어오고 있다. 테드 서랜도스는 "크리에이티브 회사들과 인터넷 회사들이 있는데 최대한 좋은 프로젝트를 보여줄 수 있도록 협업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테드 서랜도스는 "좋은 생태계를 만들어내려고 하고 있다. 저희가 10억 달러(한화 약 1조 2901억 원) 정도 오픈 커넥트를 위해 투자한 바 있다. 용이하게 하려고 하고 있다. 6000개 이상 지점에 인터넷이 빨라질 수 있도록 투자했다. 또 계속 투자할 예정"이라고 했다.

글로벌 시청자가 가장 궁금한 건 넷플릭스 계정 공유 유료화에 대한 부분이다. 테드 서랜도스는 새로운 계정 공유 방식을 언제부터 한국에 적용되느냐는 물음에 "계정 공유 방식에 관한 경우에는 글로벌로 지속할 예정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 발표할 것은 없다. 기대해주시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강민경 텐아시아 기자 kkk39@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