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복무 사각지대' 대중예술 그리고 BTS①》
방탄소년단 입대 앞두고 사회적 혼란
군대가야→대체복무 1주일 마다 바뀌는 '民心'
10명중 7명 "BTS 대체 복무 동의"
대중예술인 1973년 제도 시행 뒤 50년째 혜택 없어
커지는 제도 정비 목소리
방탄소년단 입대 앞두고 사회적 혼란
군대가야→대체복무 1주일 마다 바뀌는 '民心'
10명중 7명 "BTS 대체 복무 동의"
대중예술인 1973년 제도 시행 뒤 50년째 혜택 없어
커지는 제도 정비 목소리
≪우빈의 리듬파워≫
우빈 텐아시아 기자가 알려주는 흥미진진한 가요계 이야기. 모두가 한 번쯤은 궁금했던, 그러나 스치듯 지나갔던 그 호기심을 해결해드립니다.
연예계 '뜨거운 감자'는 '대중문화예술인의 병역특례'다. 'BTS 병역특례'에서 시작된 해당 이슈는 국회가 품지 못할 정도로 커져 대중의 선택에 맡겨졌다.
방탄소년단의 병역특례를 두고 민심은 엇갈린다. 찬성과 반대가 각자의 논리로 무장한채 팽팽하게 맞선다. 어느 쪽의 의견이 국민적 공감을 얻느냐에 따라 추의 무게가 기운다.
짚고 넘어가야할 건 병역특례가 방탄소년단만을 대상으로 하는 문제가 아니라는 것. 예술·체육인의 특례에 왜 대중예술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지 공정성과 당위성을 생각하게 한다.
가장 최근 여론조사에선 10명 중 7명 가까이 BTS의 대체복무에 동의했다. 리얼미터가 지난 3~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방탄소년단 대체복무 전환' 동의 여부에 관한 설문조사에서 대체복무에 동의한다가 67.5%, 동의하지 않는다가 31.3%, 잘 모름은 1.2%로 조사됐다.
또한 BTS가 대체복무를 하게 된다면 국위선양과 문화 발전에 보다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하냐는 질문에는 전체 79.4%가 기여할 것이라 답변했다. 특히 대중문화예술 분야 대체복무 찬반을 묻는 질문에는 찬성이 65.3%, 반대가 32.2%, 잘 모름이 2.5%로 나타났다
방탄소년단을 포함한 대중문화예술인에게 대체복무 길을 열어주자는 목소리는 이번 뿐만이 아니다. 엠브레인이 지난 3월 11일~15일 전국14~59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에서는 대중예술인의 대체복무제 적용에 찬성하는 비율이 78%, 반대가 22%였다. 한국갤럽이 4월 5일~7일 전국 18세 이상 1004명에게 전화로 조사한 결과 대중예술인을 병역 특례 포함에 찬성하는 의견이 59%, 반대가 33%였다. 대중문화인에게도 특기를 살려 국방의 의무를 다할 길을 열어줘야 한다는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것.
하지만, 조원씨앤아이가 지난 4일 실시했던 BTS 병역특례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1001명 중 54.1%가 입대를 해야한다고 응답했다. 당시 질문은 '본인들 의향도 있어 병역 의무를 다해야 한다'와 '국익을 위해 병역 특례 혜택을 줘야 한다'로 여론을 물었다. 민심이 갈리는 이유는 중점을 두고 있는 곳이 다르기 때문.
대중문화예술인의 특례를 찬성하는 이들은 예술체육요원 제도의 공정성에 집중한다. 예술체육요원 제도는 국위선양 및 문화창달에 기여한 예술·체육 특기자에게 군 복무 대신 예술·체육 요원으로 복무하게 하는 제도다.
예술 분야 적용 대상은 피아노, 바이올린부터 아쟁 피리 같은 동서양 악기를 비롯해 발레와 서예, 조각 등 미술까지 매우 광범위하다. 이 범위에 대중예술이 포함되지 않는 건 공정하지 않다는 것.
순수예술인은 119개 부문 42개 대회 중 1위 혹은 2위를 차지하면 병역혜택을 받는다. 특정 언론사가 주최하는 국내 콩쿠르 역시 2개 넘게 들어가 있다. 대중예술인의 꿈의 무대라 불리는 빌보드 어워즈나 그래미 어워즈의 역사와 권위가 저 대회들보다 결코 떨어지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다. 병역특례를 반대하는 이들은 예술 체육요원 제도 자체에 의문을 제기한다. 개인의 부귀와 영달을 위한 활동을 왜 국가가 특혜를 베풀어야 하냐는 거다. 동아 콩쿠르 대상, 올림픽 아시안 메달이 과연 '국위선양'이냐는 의구심이다. 이 제도의 시작이 어떻든 처음 시행됐던 1973년과 2022년은 다르니 법도 바뀌어야 한다는 의견이다.
방탄소년단이라는 인기 그룹이 이슈의 중심에 서게 되면서 관련 업계 종사자만 알고 있던 법의 허점들이 드러났다. 방탄소년단의 병역혜택 문제는 대중문화인들이 예술과 관련된 유리한 제도에서 배제됐다는 것을 생각하게 한다.
병역특례 문제는 여론조사로 결정될 가벼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군 입대 여부를 떠나 생각하고 개정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이슈다.
우빈 텐아시아 기자 bin0604@tenasia.co.kr
우빈 텐아시아 기자가 알려주는 흥미진진한 가요계 이야기. 모두가 한 번쯤은 궁금했던, 그러나 스치듯 지나갔던 그 호기심을 해결해드립니다.
연예계 '뜨거운 감자'는 '대중문화예술인의 병역특례'다. 'BTS 병역특례'에서 시작된 해당 이슈는 국회가 품지 못할 정도로 커져 대중의 선택에 맡겨졌다.
방탄소년단의 병역특례를 두고 민심은 엇갈린다. 찬성과 반대가 각자의 논리로 무장한채 팽팽하게 맞선다. 어느 쪽의 의견이 국민적 공감을 얻느냐에 따라 추의 무게가 기운다.
짚고 넘어가야할 건 병역특례가 방탄소년단만을 대상으로 하는 문제가 아니라는 것. 예술·체육인의 특례에 왜 대중예술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지 공정성과 당위성을 생각하게 한다.
가장 최근 여론조사에선 10명 중 7명 가까이 BTS의 대체복무에 동의했다. 리얼미터가 지난 3~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방탄소년단 대체복무 전환' 동의 여부에 관한 설문조사에서 대체복무에 동의한다가 67.5%, 동의하지 않는다가 31.3%, 잘 모름은 1.2%로 조사됐다.
또한 BTS가 대체복무를 하게 된다면 국위선양과 문화 발전에 보다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하냐는 질문에는 전체 79.4%가 기여할 것이라 답변했다. 특히 대중문화예술 분야 대체복무 찬반을 묻는 질문에는 찬성이 65.3%, 반대가 32.2%, 잘 모름이 2.5%로 나타났다
방탄소년단을 포함한 대중문화예술인에게 대체복무 길을 열어주자는 목소리는 이번 뿐만이 아니다. 엠브레인이 지난 3월 11일~15일 전국14~59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에서는 대중예술인의 대체복무제 적용에 찬성하는 비율이 78%, 반대가 22%였다. 한국갤럽이 4월 5일~7일 전국 18세 이상 1004명에게 전화로 조사한 결과 대중예술인을 병역 특례 포함에 찬성하는 의견이 59%, 반대가 33%였다. 대중문화인에게도 특기를 살려 국방의 의무를 다할 길을 열어줘야 한다는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것.
하지만, 조원씨앤아이가 지난 4일 실시했던 BTS 병역특례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1001명 중 54.1%가 입대를 해야한다고 응답했다. 당시 질문은 '본인들 의향도 있어 병역 의무를 다해야 한다'와 '국익을 위해 병역 특례 혜택을 줘야 한다'로 여론을 물었다. 민심이 갈리는 이유는 중점을 두고 있는 곳이 다르기 때문.
대중문화예술인의 특례를 찬성하는 이들은 예술체육요원 제도의 공정성에 집중한다. 예술체육요원 제도는 국위선양 및 문화창달에 기여한 예술·체육 특기자에게 군 복무 대신 예술·체육 요원으로 복무하게 하는 제도다.
예술 분야 적용 대상은 피아노, 바이올린부터 아쟁 피리 같은 동서양 악기를 비롯해 발레와 서예, 조각 등 미술까지 매우 광범위하다. 이 범위에 대중예술이 포함되지 않는 건 공정하지 않다는 것.
순수예술인은 119개 부문 42개 대회 중 1위 혹은 2위를 차지하면 병역혜택을 받는다. 특정 언론사가 주최하는 국내 콩쿠르 역시 2개 넘게 들어가 있다. 대중예술인의 꿈의 무대라 불리는 빌보드 어워즈나 그래미 어워즈의 역사와 권위가 저 대회들보다 결코 떨어지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다. 병역특례를 반대하는 이들은 예술 체육요원 제도 자체에 의문을 제기한다. 개인의 부귀와 영달을 위한 활동을 왜 국가가 특혜를 베풀어야 하냐는 거다. 동아 콩쿠르 대상, 올림픽 아시안 메달이 과연 '국위선양'이냐는 의구심이다. 이 제도의 시작이 어떻든 처음 시행됐던 1973년과 2022년은 다르니 법도 바뀌어야 한다는 의견이다.
방탄소년단이라는 인기 그룹이 이슈의 중심에 서게 되면서 관련 업계 종사자만 알고 있던 법의 허점들이 드러났다. 방탄소년단의 병역혜택 문제는 대중문화인들이 예술과 관련된 유리한 제도에서 배제됐다는 것을 생각하게 한다.
병역특례 문제는 여론조사로 결정될 가벼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군 입대 여부를 떠나 생각하고 개정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이슈다.
우빈 텐아시아 기자 bin0604@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