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은영, 세번째 게스트
"이국종, 내겐 선생 아냐"
"미숙아로 태어나 소아과 단골"
"의사란 직업 멋져 보였다"
"이국종, 내겐 선생 아냐"
"미숙아로 태어나 소아과 단골"
"의사란 직업 멋져 보였다"
소아청소년 정신과 전문의 오은영 박사가 KBS2 '대화의 희열3'에서 의사를 꿈꿨던 어린 시절을 돌아봤다.
이날 오은영 박사는 "궁금한 게 많다"는 MC들의 이야기에 "좋은 일이다. 궁금한 게 많다는 건 알고 싶다는 얘기고, 알고 싶은 걸 물어본다는 건 배우고 싶다는 얘기"라며 "배우면 조금씩 바뀐다"고 강조했다.
오박사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나왔다. 전공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다. 흔히 말하는 정신과 의사"라며 "소아청소년 정신과 전문의가 되려면 한번 더 해야 한다. 성인 정신과와 완전히 다른 과다. 0세부터 100세까지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오 박사는 '지금까지 몇 명의 어린이를 상담했냐'는 질문에 "세어본 적은 없다. 30년째 의사생활을 하고 있으니 많은 사람을 봤을 것"이라며 아주대 이국종 교수가 제자라는 사실을 밝혔다.
그는 "의과대학 교수를 할 때 이국종 선생이, 사실 선생이라고 하면 안 된다. 나보다 아래니까 이국종이라 해야 된다"면서도 "명망 있는 제자분이라 이름을 막 부르기는 그렇다"며 너스레를 떨었다.
이어 "굉장히 눈에 띄었다. 그 당시 선배 교수가 갑자기 돌아가시게 됐다. 학교장으로 보내드리는데 굉장히 진심을 다해서 졸업생 대표로 선생님을 보내드려서 좋은 의미로 '별나다'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오 박사는 이 교수가 웃음이 원래 없었냐는 물음에 "그때는 좀 더 웃었었던 것 같다. 일을 하면서 더 그렇게 됐을 것"이라며 "항상 생사의 기로에 있는 환자, 가족들을 만난다. 의사라는 직업 자체가 고독하고 외롭다. 진료실 안에서는 내가 모든 걸 판단하고 결정하고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 정신과는 특히 힘들고 괴로워할 때 오기 때문에 그 삶을 같이 가야 한다"고 말했다.
오은영 박사는 자신의 어린 시절에 대해 "미숙아로 태어났다. 요즘엔 '이른둥이'라는 말을 쓰는데 8개월 만에 태어났다"며 "그 당시에 그렇게 태어나면 의학적으로 생존이 어려웠던 시기였다. 자기 호흡을 스스로 할 수 있느냐의 기로였다. 1900g으로 태어났다"고 밝혔다. 오 박사는 자신의 부모님의 특별한 육아법도 들려줬다. 그는 잔병치레 많았던 과거를 돌아보며 "소아과를 가면 '골고루 안 먹어서 아픈 것'이라고 했다. 잘 챙겨준 어머니 입장에선 억울할 법 한데, 어머니는 '얘가 소아과가 단골인 걸 보니 의사가 되려나 보다'고 생각하셨다"며 "아버지는 죽을 것 같던 아이가 산 게 대견했던 것 같다. 사람들이 나는 왜 이렇게 안 먹냐고 물으면 '얘가 달리기 얼마나 잘하는데요' 했다"고 돌아봤다.
의사의 꿈에 대해 "흔들린 적 많다. 놀고 싶은 적도 많다. 잡다하게 관심이 많았다. 공부를 할 때 유혹이 많았다"며 "그 당시에 아버지가 수술 받고 회복하는 과정에서 의사라는 직업이 멋지게 보였다. 다른 사람한테 도움을 주는구나, 가족이 겪는 아픔에 같이 발을 넣어서 사람들이 살아가는 여정에 같이 할 수 있는 직업이란 생각이 들어서 꼭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설명했다.
오은영 박사는 유희열이 중3 딸과 멀어진 것 같다는 말에 "부모와 자녀는 원래 친해야 한다. 친할 때는 기본적인 사랑에 대한 믿음과 신뢰가 있다"며 "청소년기에는 멀어져야 한다. 멀어진다는 게 사이가 나빠지라는 게 아니다. 냉정하게 자식은 탯줄이 끊기는 순간 나와 다른 타인이다. 그래서 사춘기 청소년이 되면 거리를 둠으로써 존중해야 한다"고 했다.
오 박사는 또 "나한테 공부를 물어보시는 분들이 많다. 공부는 재능이 있어야 한다. 공부에 재능이 있는 사람들이 1~2%의 성적을 받는 사람들이다. 이런 사람들은 학자로 나가야 된다"면서도 "모든 사람이 그렇게 살아갈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부는 대뇌를 발달시키는 과정 중 하나다. 지식보다는 상식을 많이 배우면서 이런 것들을 이해하고 처리하는 과정이 인지 기능을 발달시키는 게 중요하다. 모두가 공부를 잘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공부가 하기 싫다고 이야기하는 건 당연하다. 공부가 너무 좋다는 사람은 별로 못 본 것 같다. 아이들은 당연히 쉬는 게 좋고 노는 게 좋다"며 "부모가 아이들이 '공부하기 싫어요' 하면 인정을 하지 않는다. 부모의 입장을 본인이 정당화 한다. 아이를 지지하고 격려해주면 참 좋을 것 같다"고 강조했다.
정태건 텐아시아 기자 biggun@tenasia.co.kr
이날 오은영 박사는 "궁금한 게 많다"는 MC들의 이야기에 "좋은 일이다. 궁금한 게 많다는 건 알고 싶다는 얘기고, 알고 싶은 걸 물어본다는 건 배우고 싶다는 얘기"라며 "배우면 조금씩 바뀐다"고 강조했다.
오박사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나왔다. 전공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다. 흔히 말하는 정신과 의사"라며 "소아청소년 정신과 전문의가 되려면 한번 더 해야 한다. 성인 정신과와 완전히 다른 과다. 0세부터 100세까지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오 박사는 '지금까지 몇 명의 어린이를 상담했냐'는 질문에 "세어본 적은 없다. 30년째 의사생활을 하고 있으니 많은 사람을 봤을 것"이라며 아주대 이국종 교수가 제자라는 사실을 밝혔다.
그는 "의과대학 교수를 할 때 이국종 선생이, 사실 선생이라고 하면 안 된다. 나보다 아래니까 이국종이라 해야 된다"면서도 "명망 있는 제자분이라 이름을 막 부르기는 그렇다"며 너스레를 떨었다.
이어 "굉장히 눈에 띄었다. 그 당시 선배 교수가 갑자기 돌아가시게 됐다. 학교장으로 보내드리는데 굉장히 진심을 다해서 졸업생 대표로 선생님을 보내드려서 좋은 의미로 '별나다'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오 박사는 이 교수가 웃음이 원래 없었냐는 물음에 "그때는 좀 더 웃었었던 것 같다. 일을 하면서 더 그렇게 됐을 것"이라며 "항상 생사의 기로에 있는 환자, 가족들을 만난다. 의사라는 직업 자체가 고독하고 외롭다. 진료실 안에서는 내가 모든 걸 판단하고 결정하고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 정신과는 특히 힘들고 괴로워할 때 오기 때문에 그 삶을 같이 가야 한다"고 말했다.
오은영 박사는 자신의 어린 시절에 대해 "미숙아로 태어났다. 요즘엔 '이른둥이'라는 말을 쓰는데 8개월 만에 태어났다"며 "그 당시에 그렇게 태어나면 의학적으로 생존이 어려웠던 시기였다. 자기 호흡을 스스로 할 수 있느냐의 기로였다. 1900g으로 태어났다"고 밝혔다. 오 박사는 자신의 부모님의 특별한 육아법도 들려줬다. 그는 잔병치레 많았던 과거를 돌아보며 "소아과를 가면 '골고루 안 먹어서 아픈 것'이라고 했다. 잘 챙겨준 어머니 입장에선 억울할 법 한데, 어머니는 '얘가 소아과가 단골인 걸 보니 의사가 되려나 보다'고 생각하셨다"며 "아버지는 죽을 것 같던 아이가 산 게 대견했던 것 같다. 사람들이 나는 왜 이렇게 안 먹냐고 물으면 '얘가 달리기 얼마나 잘하는데요' 했다"고 돌아봤다.
의사의 꿈에 대해 "흔들린 적 많다. 놀고 싶은 적도 많다. 잡다하게 관심이 많았다. 공부를 할 때 유혹이 많았다"며 "그 당시에 아버지가 수술 받고 회복하는 과정에서 의사라는 직업이 멋지게 보였다. 다른 사람한테 도움을 주는구나, 가족이 겪는 아픔에 같이 발을 넣어서 사람들이 살아가는 여정에 같이 할 수 있는 직업이란 생각이 들어서 꼭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설명했다.
오은영 박사는 유희열이 중3 딸과 멀어진 것 같다는 말에 "부모와 자녀는 원래 친해야 한다. 친할 때는 기본적인 사랑에 대한 믿음과 신뢰가 있다"며 "청소년기에는 멀어져야 한다. 멀어진다는 게 사이가 나빠지라는 게 아니다. 냉정하게 자식은 탯줄이 끊기는 순간 나와 다른 타인이다. 그래서 사춘기 청소년이 되면 거리를 둠으로써 존중해야 한다"고 했다.
오 박사는 또 "나한테 공부를 물어보시는 분들이 많다. 공부는 재능이 있어야 한다. 공부에 재능이 있는 사람들이 1~2%의 성적을 받는 사람들이다. 이런 사람들은 학자로 나가야 된다"면서도 "모든 사람이 그렇게 살아갈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부는 대뇌를 발달시키는 과정 중 하나다. 지식보다는 상식을 많이 배우면서 이런 것들을 이해하고 처리하는 과정이 인지 기능을 발달시키는 게 중요하다. 모두가 공부를 잘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공부가 하기 싫다고 이야기하는 건 당연하다. 공부가 너무 좋다는 사람은 별로 못 본 것 같다. 아이들은 당연히 쉬는 게 좋고 노는 게 좋다"며 "부모가 아이들이 '공부하기 싫어요' 하면 인정을 하지 않는다. 부모의 입장을 본인이 정당화 한다. 아이를 지지하고 격려해주면 참 좋을 것 같다"고 강조했다.
정태건 텐아시아 기자 biggun@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