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가와 감독을 포함한 제작진과 출연 배우들은 '철인왕후'처럼 넘어갈 줄 알았겠지만, 영리한 시청자들은 중국식 소품과 위인의 모욕 뒤에 동북공정이 있다는 걸 찾아냈다.
ADVERTISEMENT

놀랍게도 중국의 텐센트가 자산 인수한 아이플릭스(말레이시아 스트리밍 사이트)의 '조선구마사'는 조선 민주주의 인민공화국(북한의 공식명칭) 건국의 역사적 사실을 바탕을 그린 이야기라고 소개한다. 그리고 이 텐센트는 YG엔터테인먼트의 지분도 갖고 있다.

'조선구마사'는 한국판 엑소시즘이라는 거짓 뒤에 우리나라가 고려의 전통을 계승한 것을 부정한다. 박계옥은 '철인왕후'에서 조선왕조실록을 지라시라고 폄훼하며 조선의 역사를 한낱 지라시로 몰고 가더니, '조선구마사'에서는 조선에 이어 고려까지 흔들려는 속셈을 내비쳤다.
ADVERTISEMENT
'조선구마사'의 논란을 한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파면 팔수록 역사 왜곡과 동북공정에 대한 증거가 쏟아지고 있기 때문에 대중은 행동하고 있다. 일부는 이러한 움직임을 '반중 정서'로 몰아가기도 했다. 세종대왕이 만든 한글을 쓰면서 왜곡에 대한 분노를 반중 정서로 몰아가는 건 논점 흐리기다. 한국인이라면 당연히 분노할 역사 왜곡을 왜 반중정서라고 표현하나.
'조선구마사'는 한 주 결방하고 재정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안하지만 역사 왜곡은 중대한 사안이고 제작진과 배우가 나서서 사과하고 수정한다고 해서 해결될 일이 아니다.
ADVERTISEMENT
우빈 기자 bin0604@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