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눈으로 잡아내는 범인" />
택시를 탔다. 비 오는 밤길을 달리던 택시가 사고를 낸다. 기사는 그저 개 한 마리를 쳤을 뿐이라고 말하며 황급히 뺑소니를 친다. 뒷좌석의 손님은 눈이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이 여자는 그냥 시각장애인은 아니다. 경찰대를 다니던 중 불의의 사고로 시력을 잃은 수아(김하늘)는 그 누구보다 예민한 감각의 소유자로 택시기사의 나이와 인상착의를 파악하고 택시가 친 것이 개가 아니고 사람이라고 진술한다. 하지만 같은 장소에 있었던 또 다른 사람이 등장한다. 피자배달을 하는 청년 기섭(유승호)은 자신의 멀쩡한 두 눈으로 똑똑히 사고를 목격했다며, 사고 차량은 택시가 아니라 외제차였다고 증언한다. 보이지 않는 자와 보이는 자. 누구의 말을 믿을 것인가, 아니 무엇이 진짜 그날 밤의 진실인가. │마음의 눈으로 잡아내는 범인" />
시력 +1.0의 스릴러 │마음의 눈으로 잡아내는 범인" />
“너 지금 나 보여? 나 지금 너 보고 있는데?” 범인이 바로 앞에 있지만 볼 수 없다는 공포. 시각체험을 위해 극장을 찾은 관객들에게 주인공의 시각장애는 반대로 가장 즉각적인 공포의 도구로서의 활용도가 높다. 물론 의 몇몇 장면은 올해 나온 어떤 영화보다 뛰어난 공포의 순간을 안겨주긴 한다. 하지만 이 영화는 식의 공포영화라기보다는 연쇄살인범과의 쫓고 쫓기는 쾌감을 안겨주던 액션스릴러 에 가족의 드라마를 얹은 형태에 가깝다. 이 영화가 액션보다는 구술을 통해, 동적이기보다는 정적인 리듬을 타고 흐를 거라고 예상했다면 그 예상은 기분 좋게 빗나갈 것이다.
시각장애인이자 동시에 여성. 일견 추격과 액션 장르를 가로막는 방해요소를 오히려 주인공에게 부여한 는 그 요소들이 결코 장르의 재미와 긴장을 가로막는 장애가 아님을 씩씩하게 증명시켜나간다. 대신 이 추격의 방향은 거꾸로다. 좋게 말해 능동적인 범인은 숨고 도망치기 보다는 쫓고 공격하고, 오히려 형사와 목격자들은 아슬아슬하게 기지를 발휘해 구출된다. 하지만 시각이란 오로지 빛이 있는 곳에서만 발휘되는 감각이다. 빛을 획득한 자와 그렇지 못한 자가 어둠 속의 뒤엉키는 순간, 이 결투의 헤게모니가 즉각적으로 전환되는 순간의 쾌감은 상당하다.
밤늦게 위험한 데 어딜 혼자 가느냐는 걱정에 수아는 대답한다. “나한텐 밤이나 낮이나 똑같아.” 이렇듯 두 눈을 똑바로 뜨고 스크린을 응시하는 관객들에게 수아가 살고 있는 암흑 세상을 함께 체험하게 만든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는 간단하지만 사려 깊은 장치를 통해 그 어둠의 시각화에 성공한다. 또한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니라는 것을 범인의 직업이나 안정감 있는 목소리를 통해서도 반론한다. 김하늘과 유승호는 보이지 않는 연기의 중앙선을 균형감 있게 잘 걸어내고, , 의 주인공이었던 ‘연기견’ 달이는 수아의 유일한 친구이자 보호자인 맹인안내견 ‘슬기’로 등장해 퇴장의 순간까지 인간을 뛰어넘는 열연을 펼친다. 우리의 시각이 속이고 있는 그 허술한 사각지대 가운데로 뛰어든 는 너무 잘 보여서 피곤하지도, 너무 안보여서도 답답하지도 않는, 말하자면 +1.0의 정도의 시력을 가진 영리한 스릴러다.
글. 백은하 기자 one@
편집. 장경진 three@
택시를 탔다. 비 오는 밤길을 달리던 택시가 사고를 낸다. 기사는 그저 개 한 마리를 쳤을 뿐이라고 말하며 황급히 뺑소니를 친다. 뒷좌석의 손님은 눈이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이 여자는 그냥 시각장애인은 아니다. 경찰대를 다니던 중 불의의 사고로 시력을 잃은 수아(김하늘)는 그 누구보다 예민한 감각의 소유자로 택시기사의 나이와 인상착의를 파악하고 택시가 친 것이 개가 아니고 사람이라고 진술한다. 하지만 같은 장소에 있었던 또 다른 사람이 등장한다. 피자배달을 하는 청년 기섭(유승호)은 자신의 멀쩡한 두 눈으로 똑똑히 사고를 목격했다며, 사고 차량은 택시가 아니라 외제차였다고 증언한다. 보이지 않는 자와 보이는 자. 누구의 말을 믿을 것인가, 아니 무엇이 진짜 그날 밤의 진실인가. │마음의 눈으로 잡아내는 범인" />
시력 +1.0의 스릴러 │마음의 눈으로 잡아내는 범인" />
“너 지금 나 보여? 나 지금 너 보고 있는데?” 범인이 바로 앞에 있지만 볼 수 없다는 공포. 시각체험을 위해 극장을 찾은 관객들에게 주인공의 시각장애는 반대로 가장 즉각적인 공포의 도구로서의 활용도가 높다. 물론 의 몇몇 장면은 올해 나온 어떤 영화보다 뛰어난 공포의 순간을 안겨주긴 한다. 하지만 이 영화는 식의 공포영화라기보다는 연쇄살인범과의 쫓고 쫓기는 쾌감을 안겨주던 액션스릴러 에 가족의 드라마를 얹은 형태에 가깝다. 이 영화가 액션보다는 구술을 통해, 동적이기보다는 정적인 리듬을 타고 흐를 거라고 예상했다면 그 예상은 기분 좋게 빗나갈 것이다.
시각장애인이자 동시에 여성. 일견 추격과 액션 장르를 가로막는 방해요소를 오히려 주인공에게 부여한 는 그 요소들이 결코 장르의 재미와 긴장을 가로막는 장애가 아님을 씩씩하게 증명시켜나간다. 대신 이 추격의 방향은 거꾸로다. 좋게 말해 능동적인 범인은 숨고 도망치기 보다는 쫓고 공격하고, 오히려 형사와 목격자들은 아슬아슬하게 기지를 발휘해 구출된다. 하지만 시각이란 오로지 빛이 있는 곳에서만 발휘되는 감각이다. 빛을 획득한 자와 그렇지 못한 자가 어둠 속의 뒤엉키는 순간, 이 결투의 헤게모니가 즉각적으로 전환되는 순간의 쾌감은 상당하다.
밤늦게 위험한 데 어딜 혼자 가느냐는 걱정에 수아는 대답한다. “나한텐 밤이나 낮이나 똑같아.” 이렇듯 두 눈을 똑바로 뜨고 스크린을 응시하는 관객들에게 수아가 살고 있는 암흑 세상을 함께 체험하게 만든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는 간단하지만 사려 깊은 장치를 통해 그 어둠의 시각화에 성공한다. 또한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니라는 것을 범인의 직업이나 안정감 있는 목소리를 통해서도 반론한다. 김하늘과 유승호는 보이지 않는 연기의 중앙선을 균형감 있게 잘 걸어내고, , 의 주인공이었던 ‘연기견’ 달이는 수아의 유일한 친구이자 보호자인 맹인안내견 ‘슬기’로 등장해 퇴장의 순간까지 인간을 뛰어넘는 열연을 펼친다. 우리의 시각이 속이고 있는 그 허술한 사각지대 가운데로 뛰어든 는 너무 잘 보여서 피곤하지도, 너무 안보여서도 답답하지도 않는, 말하자면 +1.0의 정도의 시력을 가진 영리한 스릴러다.
글. 백은하 기자 one@
편집. 장경진 three@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