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정 없는 정물화의 판타지" /> 11회 KBS2 월-화 밤 9시 55분
사랑의 가장 큰 적은 시간이다. 아무리 뜨거웠던 감정이라 해도 시간의 흐름 안에서 언젠가는 무덤덤한 일상의 일부가 되는 날이 오고야 만다. 는 이처럼 유효기간이 정해진 사랑의 운명을, 변치 않는 첫사랑의 신화로 거스르려 한다. 그것도 단 3초 만에 사랑에 빠지는 시간의 역설을 통해. 32년 전 윤희(윤아)가 인하(장근석)를 떠날 때 그에게 받은 시계를 돌려준 것은 사랑의 끝이 아닌 일시적 단절을 의미하며, 윤희(이미숙)와 재회한 인하(정진영)의 고백은 그것을 증명한다. “내 시간은 우리가 걸었던 바닷가 그 어딘가에 쭉 멈춰져 있었어요.” 한 여자와 오래 만나지 않기 때문에 “별명이 한 달 반”이라는 서준(장근석)의 인스턴트 연애관도 이 사랑의 신화를 강조하려는 한낱 설정에 불과하다.
하지만 잔인한 시간의 힘을 정지시키려는 의 의도는, 아이러니하게도 이 작품의 로맨스가 현실감 없는 무중력의 판타지로 다가오게 하는 주원인이 된다. “처음 만난 날부터 내 풍경은 쭉 당신이었”다는 인하의 고백처럼 이들의 사랑은 그저 화폭에 고정된 예쁜 정물화 같다. 인하의 캔버스와 서준의 카메라는 사랑의 가변성을 영원에 붙드는 상징적 매개체지만, 동시에 의도적인 프레임 안에 갇혀 생기를 잃어버린 로맨스의 근본적 한계를 드러내는 도구이기도 하다. 그래서 어제 준이 아버지의 첫사랑이 하나(윤아)의 어머니라는 사실을 알고 괴로워하던 끝에 이별을 고하는 극적인 순간에도 그 애절함에 몰입이 되기보다 풍경을 감상하듯 거리를 두게 된다. 신화적 멜로에 대한 강박은 시청자들의 시간 역시 자꾸만 멈추게 하기 때문이다.
글. 김선영(TV평론가)
사랑의 가장 큰 적은 시간이다. 아무리 뜨거웠던 감정이라 해도 시간의 흐름 안에서 언젠가는 무덤덤한 일상의 일부가 되는 날이 오고야 만다. 는 이처럼 유효기간이 정해진 사랑의 운명을, 변치 않는 첫사랑의 신화로 거스르려 한다. 그것도 단 3초 만에 사랑에 빠지는 시간의 역설을 통해. 32년 전 윤희(윤아)가 인하(장근석)를 떠날 때 그에게 받은 시계를 돌려준 것은 사랑의 끝이 아닌 일시적 단절을 의미하며, 윤희(이미숙)와 재회한 인하(정진영)의 고백은 그것을 증명한다. “내 시간은 우리가 걸었던 바닷가 그 어딘가에 쭉 멈춰져 있었어요.” 한 여자와 오래 만나지 않기 때문에 “별명이 한 달 반”이라는 서준(장근석)의 인스턴트 연애관도 이 사랑의 신화를 강조하려는 한낱 설정에 불과하다.
하지만 잔인한 시간의 힘을 정지시키려는 의 의도는, 아이러니하게도 이 작품의 로맨스가 현실감 없는 무중력의 판타지로 다가오게 하는 주원인이 된다. “처음 만난 날부터 내 풍경은 쭉 당신이었”다는 인하의 고백처럼 이들의 사랑은 그저 화폭에 고정된 예쁜 정물화 같다. 인하의 캔버스와 서준의 카메라는 사랑의 가변성을 영원에 붙드는 상징적 매개체지만, 동시에 의도적인 프레임 안에 갇혀 생기를 잃어버린 로맨스의 근본적 한계를 드러내는 도구이기도 하다. 그래서 어제 준이 아버지의 첫사랑이 하나(윤아)의 어머니라는 사실을 알고 괴로워하던 끝에 이별을 고하는 극적인 순간에도 그 애절함에 몰입이 되기보다 풍경을 감상하듯 거리를 두게 된다. 신화적 멜로에 대한 강박은 시청자들의 시간 역시 자꾸만 멈추게 하기 때문이다.
글. 김선영(TV평론가)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