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귀를 기울인 마지막 즐거움" /> MBC 밤 12시 35분
가장 담백하면서도 가장 인상적인 마무리였다. (이하 )의 마지막 방송은 특별한 회고의 멘트로 낯 뜨겁게 스스로를 수식하기보다는 를 거쳐 갔던 수많은 뮤지션들의 무대를 선별해 보여주는 것으로 마무리했다. 이것은 약 2년 동안의 방송에 대한 일종의 다이제스트이기도 하지만 왜 이 프로그램이 존재했어야 했는지에 대한 자기 증명이기도 하다. 소녀시대 멤버들이 부르는 ‘Way Back Into Love’를 들을 수 있고, 이소라와 조규찬의 콜라보레이션 무대를 볼 수 있다는 것 때문만은 아니다. 다양한 기획과 섭외로 음악의 종 다양성을 확보한 것 역시 의 성과지만 분명 만의 것만은 아니다. 어제 방송에 등장한 서로 다른 뮤지션들의 공연은 별다른 설명이나 이음매 없이도 매끄럽게, 마치 눈을 감으면 컴필레이션 앨범을 듣는 것처럼 연결됐다. 그것은 이 프로그램이 방청객의 열광적 리액션을 포기하고 좁은 스튜디오 안에서만 진행했기에 가능한 일이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적 특성은 무대보다는 음악의 질감에 집중하게 한다. 분명 타 방송사의 심야 음악 프로그램 같은 라이브의 맛은 떨어지는 게 사실이지만 과연 가 아니었다면 신대철, 신윤철, 신석철 3형제의 ‘커피 한 잔’ 인스트루멘틀 합주에 귀를 기울일 수 있었을까. 그래서 어제 방영분 마지막을 장식한 김창완과 봄여름가을겨울의 콜라보레이션은, 공간감 가득한 김종진의 어쿠스틱 리듬 섹션을 깔고 흐르는 김창완의 일렉트릭 기타 애드리브는 이제 보고 들을 수 없을지 모른다. 그렇다. 마지막 회를 보며 드는 감정은 분명, 상실감이다.
글. 위근우 eight@
가장 담백하면서도 가장 인상적인 마무리였다. (이하 )의 마지막 방송은 특별한 회고의 멘트로 낯 뜨겁게 스스로를 수식하기보다는 를 거쳐 갔던 수많은 뮤지션들의 무대를 선별해 보여주는 것으로 마무리했다. 이것은 약 2년 동안의 방송에 대한 일종의 다이제스트이기도 하지만 왜 이 프로그램이 존재했어야 했는지에 대한 자기 증명이기도 하다. 소녀시대 멤버들이 부르는 ‘Way Back Into Love’를 들을 수 있고, 이소라와 조규찬의 콜라보레이션 무대를 볼 수 있다는 것 때문만은 아니다. 다양한 기획과 섭외로 음악의 종 다양성을 확보한 것 역시 의 성과지만 분명 만의 것만은 아니다. 어제 방송에 등장한 서로 다른 뮤지션들의 공연은 별다른 설명이나 이음매 없이도 매끄럽게, 마치 눈을 감으면 컴필레이션 앨범을 듣는 것처럼 연결됐다. 그것은 이 프로그램이 방청객의 열광적 리액션을 포기하고 좁은 스튜디오 안에서만 진행했기에 가능한 일이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적 특성은 무대보다는 음악의 질감에 집중하게 한다. 분명 타 방송사의 심야 음악 프로그램 같은 라이브의 맛은 떨어지는 게 사실이지만 과연 가 아니었다면 신대철, 신윤철, 신석철 3형제의 ‘커피 한 잔’ 인스트루멘틀 합주에 귀를 기울일 수 있었을까. 그래서 어제 방영분 마지막을 장식한 김창완과 봄여름가을겨울의 콜라보레이션은, 공간감 가득한 김종진의 어쿠스틱 리듬 섹션을 깔고 흐르는 김창완의 일렉트릭 기타 애드리브는 이제 보고 들을 수 없을지 모른다. 그렇다. 마지막 회를 보며 드는 감정은 분명, 상실감이다.
글. 위근우 eigh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