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덕여왕> MBC 월-화 밤 9시 55분우려했던 바가 현실로 드러났다. <선덕여왕>의 중심축이 화랑에서 다시 궁으로 넘어오며 우윳빛깔 알천랑(이승효)이 한 장면도 등장하지 않은 것이다. 그러나 위기에서 벗어난 덕만(이요원)이 천명(박예진)의 존재를 알게 되고 이들이 김유신(엄태웅)과 좀 더 견고한 연대를 결성하는 과정은 여전히 흥미롭다. 그리고 “권력은 있으나 정통성이 없으니 사람이 더 필요하다”는 날카로운 현실인식을 통해 김서현(정성모)의 숨은 권력욕을 일깨우며 자신의 사람을 더 만들려고 하는 미실(고현정) 역시 이 드라마의 가장 중요한 구조이기도 한 ‘누가 누구의 사람이 되느냐’ 하는 문제를 끊임없이 고민하며 설원랑(전노민), 보종(백도빈), 미생(정웅인)을 비롯한 자신의 사람들을 채찍질한다. 이렇듯 덕만 파와 미실 파가 각자 사람과 힘을 쌓아가는 굵직굵직한 사건 사이에는 자잘하면서도 눈길을 끌 만한 이야기가 배치된다. 애프터스쿨의 유이가 미실의 아역으로 얼굴을 비추고 KBS <너는 내 운명>의 ‘호세’ 박재정이 전설적인 미남 화랑 사다함으로 스치듯 등장해 보여주는 ‘사다함의 매화’ 에피소드는 로맨틱한 이름만으로도 판타지를 완성하기에 적절한 소재이며 그 비밀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길치임이 드러난 모범 화랑 김유신과 티격태격하는 덕만은 <커피 프린스 1호점>의 한결(공유)과 은찬(윤은혜)를 떠올리게 한다. 게다가 ‘사다함의 매화’ 때문에 사신에게 접근해야 하는 덕만의 입장과 졸지에 그들에게 ‘가리반(카레)’ 요리를 대접해야 하는 덕만의 처지는 <대장금>의 미션 수행과 흡사한 것을 보면 ‘하이브리드 사극’이라는 명명이야 말로 이 작품에 가장 걸맞은 것인지도 모른다.
글 최지은

<야심만만2> SBS 월 밤 11시 5분‘아이돌파’와 ‘개그맨파’의 대결. 그리고 ‘올 킬’의 복귀. 이 두 가지는 SBS <야심만만>의 현재를 보여준다. 특정 집단으로 분류되는 게스트가 최근 토크쇼의 흐름을 반영한 것이라면, 출연자들의 사연이 얼마나 독특한지에 따라 벌칙 여부가 결정되는 ‘올 킬’은 여전히 게스트의 웃기는 경험담을 말하는 것 이상의 대안이 없는 <야심만만>의 딜레마를 보여준다. 물론 모든 토크쇼들이 게스트의 경험담을 기반으로 하고, 유세윤-장동민-유상무슈퍼주니어의 재치 있는 경험담 재연은 종종 큰 웃음을 터뜨렸다. 그러나 <야심만만>은 이 좋은 멤버들이 그들 각각의 경험담을 반복하는 것 이상을 보여주지 못한다. 게스트 한 명이 경험담을 이야기하는 동안 다른 게스트는 토크에 끼어들 여지가 없고, MC몽과 최양락 같은 패널들은 끼어들 기회조차 잡지 못한다. MBC <황금어장>의 ‘라디오스타’는 흘러간 1990년대 댄스 그룹의 멤버들을 부활시키고, MBC <놀러와>가 김태원과 유현상의 ‘로커 개그’를 선보인 것과 비교하면 이 차이는 보다 분명해진다. 토크쇼가 다양한 콘셉트의 게스트를 통해 그들 사이의 공통적인 감각과 정서를 끌어내며 단편적인 경험담 이상의 유기적인 결합물을 끌어내는데 비해, <야심만만>은 경험담을 평면적으로 나열하는 것에 그친다. 지금 <야심만만>에 필요한 건 ‘올 킬’ 할 수 있는 게스트보다 제작진의 참신한 기획력과, 게스트의 특성을 완전히 파악할 수 있는 철저한 사전조사일지도 모른다.
글 강명석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