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소식을 들은 건 인사동의 한 술집에서였다. 잡지사 선후배들의 만남, 늘 그렇듯 영화에 대한 이런 저런 갑론을박이 오가고, 어떤 이의 최근 연애를 두고 이러쿵저러쿵 이야기를 나누었으며, 약간의 어색한 침묵 사이로 술잔을 홀짝거리고, 최신 유머 하나에 빵-터져 모두가 바보처럼 실실 웃으며 취해가던, 너무나도 일상적인 술자리였다. 그러나 그 밤이 더 이상 평범할 수 없었던 건 누군가의 휴대폰으로 도착한 한 통의 문자메시지 때문이었다.
“선배 … 장국영이 죽었대…”
“뻥 치지 마 …”
그것은 마치 한때 화장실도 같이 갈 정도로 죽고 못 살았지만 어느덧 소원해져 버린 중학교 동창의 비보 같았다. 300원짜리 ‘투유’ 초콜릿을 나눠먹고, 새소리 같은 중국 경극을 함께 따라 하던 옛 친구. 뇌를 통할 틈 없이 심장과 명치가 아려왔고, 동시에 비현실적인 기분이 들어 그 믿기지 않는 사실을 확인하고 또 확인했다. 2003년 4월 1일. 고약하게도 그 날은 만우절이었다.

그 이후로도 죽음이란 것은 늘 그렇게 뜬금없이 찾아왔다. 도통 우울이라는 것이 자리 잡을 틈 없이 유쾌하던 B오빠도, 언젠가 함께 앉아 장국영 이야기를 나누었던 정은임 아나운서도, 15년 지기 친구의 아버지도 모두 그렇게 갑작스럽게 떠나버렸다. 그들의 죽음은 만우절이 아니어서 더 슬펐다. 장국영은 외국 고전배우나 사돈의 팔촌의 외할아버지의 비보 같은 추상적인 죽음이 아니라, 내 옆에서 숨 쉬고 나와 어깨를 나란히 하고 걷던 사람들이 어느 날 아무런 인사도 없이 더 이상 말 붙일 수 없는 곳으로 떠날 수도 있구나, 하는 것을 느끼게 해준 최초의 인물이었던 셈이다.

‘장국영 메모리얼 필름 페스티벌’ 이 3월 27일부터 4월 23일까지 거의 한달 간 서울 허리우드극장과 드림시네마에서 열린다. <영웅본색 1, 2> <아비정전> <백발마녀전> <야반가성> <가유희사>를 비롯해 <해피 투게더>는 무삭제 버전으로 상영된다고 한다. 또한 그의 기일인 4월 1일 스폰지하우스 중앙에서는 <아비정전>이 상영된다. 장국영이 떠난 지도 벌써 6년 전이다. 그는 그 낡은 필름 속에서 여전히 팬티 바람에 홀로 맘보춤을 추고 있을 것이다. 사랑을 갈구하며 칭얼대고 아이처럼 토라질 것이다. 발 없는 새가 되어 이과수 폭포 상공을 훨훨- 날 고 있을 것이다. 간직한 것은, 그렇게 잊혀지지 않는다

글. 백은하 (one@10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